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 재현 방식의 변화 = The Change of Representatiion Style of Regional ldentity in Seoul Regional Textbo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663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paying attention to the regional identity as a part of individual identity and analyzing how the representation style of regional identity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urriculum. Perceiving a certain scale of a space as a region is possible when the scale has internal homogeneity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regional identity is divided ‘making a distinction’ that is the process of drawing a boundary of a region in people's mind and ‘making a connection’ that is the process of arousing a sense of unity toward their region through equating them-self with the region's typical landscapes.
      The objects of analysis are the regional textbooks published during the 5th - revised 7th curriculum periods in Seoul. The methods of analysis are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and qualitative document analysis. By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counter the frequence of occurrences of ‘making a distinction’ and ‘making a connection’. By qualitative document analysis, consider the meaning made from the interrelation among the representation methods.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ynthetically the order of frequency of regional identity represented in Seoul regional textbook was the 6th curriculum, the revised 7th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the 5th curriculum. The order of frequency of regional identity represented by making a distinction in Seoul regional textbook was the revised 7th curriculum, the 6th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the 5th curriculum. The order of frequency of regional identity represented by making a connection in Seoul regional textbook was the 6th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the revised 7th curriculum, the 5th curriculum. To represent regional identity, making a connection has been used more than making a distinction generally. It is because when people do not know the boundary of a region making a distinction is useful but after being familiar with the location and boundary of a region making a connection is more effective to represent a region.
      Second, there were something in common with representation methods of regional identity that appeared in Seoul regional textbook through every curriculum period. The identities of Seoul represented in every Seoul regional textbook commonly were 'a region in which many people has lived together from old times, and which has been expanded over again.', 'the center of the country', 'global city', 'a modernized region that has developed continuously on the basis of beautiful natural landscapes and a long tradition'. The key elements of making a connection were physical geographic symbols like Han River, Namsan et cetera, and modern constructions like the bridges over the Han River, Hangang Park, the Children's Grand Park, the National Assembly Building, the Seoul Tower etc. Making a distinction was done in the relations with the local scale and national scale. The common strategies of making a distinction that appeared in Seoul regional textbook through every curriculum period were exposing the boundary and scale of a region in local scale by process of expansion of Seoul, showing images of a region that has status of 'capital' and 'center' in national scale, showing a regional identity as a 'global city' that exchanging internationally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es, economy and culture in global scale.
      Third, there were differentiated representation methods of regional identity that appeared in Seoul regional textbook of each curriculum period. The emphasis of a regional identity has been changed from the developed image of Seoul in the 5th curriculum period, the coexist of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in the 6th curriculum period, the development which is in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in the 7th curriculum period, to the international exchange in the revised 7th curriculum period.
      When the regional textbook is developed, writers need to use common representation methods that were appeared every curriculum period evenly after drilling them well, and make a new identity that is suitable for current of the times.

      Key words : region, regional identity, representation, making a distinction, making a connection
      번역하기

      This study is paying attention to the regional identity as a part of individual identity and analyzing how the representation style of regional identity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urriculum. Perceiving a certain scale of a space ...

      This study is paying attention to the regional identity as a part of individual identity and analyzing how the representation style of regional identity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urriculum. Perceiving a certain scale of a space as a region is possible when the scale has internal homogeneity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regional identity is divided ‘making a distinction’ that is the process of drawing a boundary of a region in people's mind and ‘making a connection’ that is the process of arousing a sense of unity toward their region through equating them-self with the region's typical landscapes.
      The objects of analysis are the regional textbooks published during the 5th - revised 7th curriculum periods in Seoul. The methods of analysis are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and qualitative document analysis. By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counter the frequence of occurrences of ‘making a distinction’ and ‘making a connection’. By qualitative document analysis, consider the meaning made from the interrelation among the representation methods.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ynthetically the order of frequency of regional identity represented in Seoul regional textbook was the 6th curriculum, the revised 7th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the 5th curriculum. The order of frequency of regional identity represented by making a distinction in Seoul regional textbook was the revised 7th curriculum, the 6th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the 5th curriculum. The order of frequency of regional identity represented by making a connection in Seoul regional textbook was the 6th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the revised 7th curriculum, the 5th curriculum. To represent regional identity, making a connection has been used more than making a distinction generally. It is because when people do not know the boundary of a region making a distinction is useful but after being familiar with the location and boundary of a region making a connection is more effective to represent a region.
      Second, there were something in common with representation methods of regional identity that appeared in Seoul regional textbook through every curriculum period. The identities of Seoul represented in every Seoul regional textbook commonly were 'a region in which many people has lived together from old times, and which has been expanded over again.', 'the center of the country', 'global city', 'a modernized region that has developed continuously on the basis of beautiful natural landscapes and a long tradition'. The key elements of making a connection were physical geographic symbols like Han River, Namsan et cetera, and modern constructions like the bridges over the Han River, Hangang Park, the Children's Grand Park, the National Assembly Building, the Seoul Tower etc. Making a distinction was done in the relations with the local scale and national scale. The common strategies of making a distinction that appeared in Seoul regional textbook through every curriculum period were exposing the boundary and scale of a region in local scale by process of expansion of Seoul, showing images of a region that has status of 'capital' and 'center' in national scale, showing a regional identity as a 'global city' that exchanging internationally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es, economy and culture in global scale.
      Third, there were differentiated representation methods of regional identity that appeared in Seoul regional textbook of each curriculum period. The emphasis of a regional identity has been changed from the developed image of Seoul in the 5th curriculum period, the coexist of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in the 6th curriculum period, the development which is in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in the 7th curriculum period, to the international exchange in the revised 7th curriculum period.
      When the regional textbook is developed, writers need to use common representation methods that were appeared every curriculum period evenly after drilling them well, and make a new identity that is suitable for current of the times.

      Key words : region, regional identity, representation, making a distinction, making a conne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인의 정체성을 이루고 있는 한 부분으로서 지역정체성에 주목하고,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의 재현 방식이 교육과정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분석한다. 공간의 여러 가지 스케일들 중에서 어느 특정 범위까지를 ‘지역’으로 인식하는 것은 외부와는 구별되고 내부적으로는 동일한 특성을 가질 때 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사람들의 인식 속에서 특정 범위를 한 지역의 경계로 설정하는 과정인 ‘구별 짓기’와 지역의 상징으로 대표되는 경관에의 동일시를 통해 지역에의 일체감을 유발하는 과정인 ‘연계 짓기’로 지역정체성의 재현 방법을 나누어 분석한다.
      분석 대상은 제 5차 교육과정 시기에서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시기에 발행된 서울 지역교과서이며,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양적 내용분석법과 질적 내용분석법이다. 양적 내용분석을 통해 구별 짓기와 연계 짓기가 발생하는 빈도를 확인하고, 질적 내용분석을 통해 그들 상호간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의미를 고찰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적으로 볼 때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빈도가 높았던 순서는 제 6차 교육과정,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5차 교육과정 순으로 나타났다. 구별 짓기의 방법으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빈도가 높았던 순서는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6차 교육과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5차 교육과정 순이었으며, 연계 짓기의 방법으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빈도가 높았던 순서는 제 6차 교육과정, 제 7차 교육과정,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5차 교육과정 순이었다. 전반적으로 지역정체성을 재현함에 있어 구별 짓기보다 연계 짓기에 더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어떤 지역에 대한 경계가 분명하지 않을 때는 지역정체성을 재현함에 있어 구별 짓기가 유용하지만, 그 지역의 위치와 경계에 대한 인식이 어느 정도 분명해지고 나면 지역 상징에의 동일시를 통하여 지역 내부의 결속력을 단단히 다져주는 연계 짓기가 더 효과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교육과정 시기별로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방식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었다. 각 교육과정 시기별 지역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서울의 정체성은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아왔으며, 확장을 거듭해온 지역’, ‘우리나라의 중심지’, ‘국제적인 도시’,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오랜 전통을 바탕으로 계속 발전하여 현대화된 지역’이었다. 연계 짓기를 위하여 가장 주목한 요소는 한강, 남산 등과 같은 자연 지리적 상징과 한강 다리, 한강 시민공원, 어린이 대공원, 국회 의사당, 서울 타워 등과 같은 현대 건축물이었다. 구별 짓기는 주로 국지 및 국가 스케일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공통적으로 나타난 구별 짓기의 전략은 서울의 확장 과정을 통해 국지 스케일에서 지역의 경계와 범위를 드러내기, 국가 스케일에서 ‘수도’,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차지하는 지역의 모습 나타내기, 정치, 경제, 문화 등 다방면에서 국제적으로 교류하는 ‘국제적인 도시’로서의 정체성을 지구 스케일에서 나타내기였다.
      셋째, 교육과정 시기별로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방식에는 차이점도 있었다. 제 5차 교육과정 때는 서울의 발전된 모습에, 제 6차 교육과정 때는 전통과 현대성의 공존에, 제 7차 교육과정 때는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발전에,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때는 국제적인 교류에 조금 더 주목하는 방향으로 강조점이 변화되었다.
      지역교과서를 개발할 때는 각 교육과정별 지역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구별 짓기의 전략들과 연계 짓기의 매개 요소들을 더욱 정련하여 균형 있게 활용하는 가운데 시대적 흐름을 고려하여 그에 적합한 정체성을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

      주요어 : 지역, 지역정체성, 재현, 구별 짓기, 연계 짓기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개인의 정체성을 이루고 있는 한 부분으로서 지역정체성에 주목하고,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의 재현 방식이 교육과정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분석한다. 공간...

      본 연구는 개인의 정체성을 이루고 있는 한 부분으로서 지역정체성에 주목하고,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의 재현 방식이 교육과정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분석한다. 공간의 여러 가지 스케일들 중에서 어느 특정 범위까지를 ‘지역’으로 인식하는 것은 외부와는 구별되고 내부적으로는 동일한 특성을 가질 때 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사람들의 인식 속에서 특정 범위를 한 지역의 경계로 설정하는 과정인 ‘구별 짓기’와 지역의 상징으로 대표되는 경관에의 동일시를 통해 지역에의 일체감을 유발하는 과정인 ‘연계 짓기’로 지역정체성의 재현 방법을 나누어 분석한다.
      분석 대상은 제 5차 교육과정 시기에서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시기에 발행된 서울 지역교과서이며,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양적 내용분석법과 질적 내용분석법이다. 양적 내용분석을 통해 구별 짓기와 연계 짓기가 발생하는 빈도를 확인하고, 질적 내용분석을 통해 그들 상호간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의미를 고찰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적으로 볼 때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빈도가 높았던 순서는 제 6차 교육과정,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5차 교육과정 순으로 나타났다. 구별 짓기의 방법으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빈도가 높았던 순서는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6차 교육과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5차 교육과정 순이었으며, 연계 짓기의 방법으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빈도가 높았던 순서는 제 6차 교육과정, 제 7차 교육과정,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5차 교육과정 순이었다. 전반적으로 지역정체성을 재현함에 있어 구별 짓기보다 연계 짓기에 더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어떤 지역에 대한 경계가 분명하지 않을 때는 지역정체성을 재현함에 있어 구별 짓기가 유용하지만, 그 지역의 위치와 경계에 대한 인식이 어느 정도 분명해지고 나면 지역 상징에의 동일시를 통하여 지역 내부의 결속력을 단단히 다져주는 연계 짓기가 더 효과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교육과정 시기별로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방식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었다. 각 교육과정 시기별 지역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서울의 정체성은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아왔으며, 확장을 거듭해온 지역’, ‘우리나라의 중심지’, ‘국제적인 도시’,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오랜 전통을 바탕으로 계속 발전하여 현대화된 지역’이었다. 연계 짓기를 위하여 가장 주목한 요소는 한강, 남산 등과 같은 자연 지리적 상징과 한강 다리, 한강 시민공원, 어린이 대공원, 국회 의사당, 서울 타워 등과 같은 현대 건축물이었다. 구별 짓기는 주로 국지 및 국가 스케일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공통적으로 나타난 구별 짓기의 전략은 서울의 확장 과정을 통해 국지 스케일에서 지역의 경계와 범위를 드러내기, 국가 스케일에서 ‘수도’,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차지하는 지역의 모습 나타내기, 정치, 경제, 문화 등 다방면에서 국제적으로 교류하는 ‘국제적인 도시’로서의 정체성을 지구 스케일에서 나타내기였다.
      셋째, 교육과정 시기별로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방식에는 차이점도 있었다. 제 5차 교육과정 때는 서울의 발전된 모습에, 제 6차 교육과정 때는 전통과 현대성의 공존에, 제 7차 교육과정 때는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발전에,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때는 국제적인 교류에 조금 더 주목하는 방향으로 강조점이 변화되었다.
      지역교과서를 개발할 때는 각 교육과정별 지역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구별 짓기의 전략들과 연계 짓기의 매개 요소들을 더욱 정련하여 균형 있게 활용하는 가운데 시대적 흐름을 고려하여 그에 적합한 정체성을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

      주요어 : 지역, 지역정체성, 재현, 구별 짓기, 연계 짓기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3
      • 3. 연구의 제한점 3
      • 4. 선행 연구의 검토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3
      • 3. 연구의 제한점 3
      • 4. 선행 연구의 검토 4
      • Ⅱ. 이론적 배경 7
      • 1. 지역의 개념과 지역정체성의 의미 7
      • 가. 지역의 스케일적 이해와 경관 7
      • 나. 지역정체성의 의미 12
      • 2. 재현의 의미와 지역정체성의 재현 방법 15
      • 가. 재현의 의미 15
      • 나. 지역정체성의 재현 방법 17
      • Ⅲ. 연구 방법 22
      • 1. 분석 대상 22
      • 2. 분석 방법 23
      • 가. 양적 내용분석법 23
      • 나. 질적 내용분석법 25
      • Ⅳ. 연구 결과 27
      • 1. 제 5차 교육과정에서의 지역정체성 재현 방식 27
      • 가. 양적 내용분석 결과 27
      • 나. 질적 내용분석 결과 29
      • 2. 제 6차 교육과정에서의 지역정체성 재현 방식 32
      • 가. 양적 내용분석 결과 32
      • 나. 질적 내용분석 결과 34
      • 3.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지역정체성 재현 방식 38
      • 가. 양적 내용분석 결과 38
      • 나. 질적 내용분석 결과 40
      • 4. 개정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지역정체성 재현 방법 45
      • 가. 양적 내용분석 결과 45
      • 나. 질적 내용분석 결과 46
      • 5. 종합: 교육과정 시기별 지역정체성 재현 방식의 변화 양상 비교 51
      • Ⅴ. 결론 56
      • Ⅵ. 참고 문헌 58
      • Abstract 61
      • 부록 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