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론조사결과의 제 3자 효과 지각이 방어적 투표성향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Person Effect about Opinion Poll and Defensive voting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520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ested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person effect about opinion poll and defensive voting behavior. Until now, most of researches focused on how the third-person occurs. They neglected the third-person peception`s behavior effect. As results, this study finds ourt opinion poll reports offered by mass media can make the third-person effect. The audience who are sensitive to public opinion perceives the third-person effect. The person who feels the third-person effect eager to vote for candidates or parties which they support. The audience who sensitive to public opinion are possess high self-efficacy and more political knowledge. They are more educated. This study explains the opinion poll reports can make the audience reinforce their royalty to their supporting party or candidate. This study expands the area which relates to opinion poll and mass media effect research by giving the fact that the third-person effect can make defensive voting behavior.
      번역하기

      This study tested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person effect about opinion poll and defensive voting behavior. Until now, most of researches focused on how the third-person occurs. They neglected the third-person peception`s behavior effect. As resu...

      This study tested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person effect about opinion poll and defensive voting behavior. Until now, most of researches focused on how the third-person occurs. They neglected the third-person peception`s behavior effect. As results, this study finds ourt opinion poll reports offered by mass media can make the third-person effect. The audience who are sensitive to public opinion perceives the third-person effect. The person who feels the third-person effect eager to vote for candidates or parties which they support. The audience who sensitive to public opinion are possess high self-efficacy and more political knowledge. They are more educated. This study explains the opinion poll reports can make the audience reinforce their royalty to their supporting party or candidate. This study expands the area which relates to opinion poll and mass media effect research by giving the fact that the third-person effect can make defensive voting behavio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동숙, "여론조사 보도, In 선거와 미디어" 한국언론연구원 73-136, 1995

      2 차배근, "미디어 효과이론" 나남 2003

      3 양승찬, "한국의 선거 여론조사와 그 보도에 대한 이슈 고찰" 한국언론학회 3 (3): 83-119, 2007

      4 김동규, "표집조사방법 미숙에 속보경쟁까지: 15대 총선 여론조사보도의문제점" (305) : 26-33, 1996

      5 윤호진, "텔레비전 선거 여론조사 보도 쟁점과 대안 : 제 16대 대통령 선거보도를 중심으로" 한국방송진흥원 2002

      6 양승찬, "제3자 효과 가설과 침묵의 나선 이론의 연계성: 여론조사 보도에대한 제3자 효과 지각과 공개적 의견표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43 (43): 109-141, 1998

      7 김용호, "유권자의 선거관련 매체이용이 선거판세 인식과 전략적투표행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조사연구" 45 (45): 91-120, 2000

      8 김용호, "유권자 선거판세인식과 전략투표행동에 대한 매체이용 효과의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9 (9): 243-280, 2009

      9 정일권, "온라인 여론조사에 대한 수용자의 평가와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3 (23): 247-285, 2009

      10 이준웅, "여론환경에 대한 인식과 정치적 의견 표명: 제 16대 총선 예측조사실패에 대한 정치 커뮤니케이션적 논의" 15 : 199-236, 2001

      1 박동숙, "여론조사 보도, In 선거와 미디어" 한국언론연구원 73-136, 1995

      2 차배근, "미디어 효과이론" 나남 2003

      3 양승찬, "한국의 선거 여론조사와 그 보도에 대한 이슈 고찰" 한국언론학회 3 (3): 83-119, 2007

      4 김동규, "표집조사방법 미숙에 속보경쟁까지: 15대 총선 여론조사보도의문제점" (305) : 26-33, 1996

      5 윤호진, "텔레비전 선거 여론조사 보도 쟁점과 대안 : 제 16대 대통령 선거보도를 중심으로" 한국방송진흥원 2002

      6 양승찬, "제3자 효과 가설과 침묵의 나선 이론의 연계성: 여론조사 보도에대한 제3자 효과 지각과 공개적 의견표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43 (43): 109-141, 1998

      7 김용호, "유권자의 선거관련 매체이용이 선거판세 인식과 전략적투표행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조사연구" 45 (45): 91-120, 2000

      8 김용호, "유권자 선거판세인식과 전략투표행동에 대한 매체이용 효과의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9 (9): 243-280, 2009

      9 정일권, "온라인 여론조사에 대한 수용자의 평가와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3 (23): 247-285, 2009

      10 이준웅, "여론환경에 대한 인식과 정치적 의견 표명: 제 16대 총선 예측조사실패에 대한 정치 커뮤니케이션적 논의" 15 : 199-236, 2001

      11 양승목, "여론조사와 제3자 효과: 여론조사의 영향에 대한 국회의원의 지각적 편향을 중심으로" (18) : 6-28, 1997

      12 유재천, "여론조사보도의 문제와 관제: 언론사의 보도관행을 중심으로, In 언론과 커뮤니케이션의 제문제" 나남 1993

      13 김성태, "여론조사보도에 대한 제3자효과 검증 : 온라인 여론조사를 주목하며" 한국언론정보학회 32 : 51-84, 2006

      14 허병기, "여론조사가 선거결과에 미친 영향 연구 : 16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4

      15 양승찬, "여론조사 보도의 문제점과 개선을 위한 제언" 한국언론학회 2002

      16 윤태일, "안티 사이트의 제3자 효과: 타인반응에 대한 지식과 동의수준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7 (47): 2-55, 2003

      17 조성겸, "선거여론조사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2006년 지방선거 전화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8 (8): 31-54, 2007

      18 박광온, "선거여론조사와 보도의 문제" (83) : 83-94, 2002

      19 이준웅, "선거여론조사 보도의 문제점과 공정성 확보방안" (82) : 39-52, 2002

      20 조성겸, "선거여론조사 보도의 개선방안" (83) : 97-105, 2002

      21 황용석, "선거시기 언론사 여론조사의 기능에 관한 연구: 16대 총선 여론조사 보도의 조사항목 분석을 중심으로" (15) : 117-151, 2000

      22 권혁남, "선거법에 묶인 언론자유: 선거기간 중 여론조사 공표 금지는 유권자 모독" (5) : 32-41, 2002

      23 강미은, "선거 여론조사 결과 발표가 투표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개인의 정보처리 동기와 능력을 중심으로" 44 (44): 5-39, 2000

      24 조성겸, "새로운 사회여론조사 방법: 모바일 조사방법의 가능성 검토" 한국조사연구학회 4 (4): 1-29, 2003

      25 이준웅, "본래 의미 왜곡 논조 정당화에 이용: 의견 왜곡한 여론조사 보도" (401) : 8-11, 2004

      26 김헌태, "보도의 공정성, 정확성, 여론조사의 함수관계" (83) : 15-35, 2002

      27 조성겸, "국내 신문의 여론조사 보도분석, In 여론조사보도" 한국언론연구원 213-285, 1993

      28 박정순, "‘다원적 무지 현상과 제3자 효과에 대한 논의:남북문제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와 여론인식의 사례 연구’" (22) : 5-28, 1987

      29 Price, V., "The perceived impact of polls" 1999

      30 Converse, P., "The nature of belief systems in mass publics, In Ideology and discontent" Free press 1964

      31 Davison, W., P., "The Third-Person Effect in Communication" 47 (47): 1-15, 1983

      32 Neumann, N., E., "The Spiral of Silence: Public Opinion - Our Social Ski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4

      33 Noelle-Neumann, E., "The Spiral of Silence: Public Opinion - Our Social Ski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4

      34 Kenney, P., J., "The Psychology of Political Momentum" 47 (47): 923-938, 1997

      35 Patterson, T., E., "The Mass Media Election: How Americans choose Their President" Praeger 1980

      36 Klapper, J., T., "The Effects of Mass Communication" Free Press 1960

      37 Fiske, S. T., "Social Cognition"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84

      38 Fass, T., "Polls the mattered: effects of media polls on voters' coalition expectations and party preferences in the 2005 German parliamentary election" 20 (20): 299-325, 2008

      39 Gunther, A. C., "Perceived persuasice effects of product commercials and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 Third-person effects in new domains" 19 : 574-596, 1992

      40 Cohen, J., "Perceive Impact of Defamation" 52 : 161-173, 1988

      41 아이옌가, "News that matter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42 Chen, S., "Motivated Heuristic and Systematic Processing" 10 (10): 44-49, 1999

      43 Beaudoin, C. E., "Media effects on public safety following a natural disaster:testing lagged dependent variable models" 84 (84): 695-712, 2007

      44 Bryant, J.,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Lawrence Erlbaum 2008

      45 Mutz, D., "Mechanisms of Momentum: Does Thinking Make it So?" 59 (59): 104-125, 1997

      46 McQuai, l D., "Mass Communication Theory An Introduction" Sage London 2009

      47 Ceci, S., J., "Jumping on the Bandwagon with the Underdog" 46 (46): 228-242, 1982

      48 Bartels, L., M., "Expectations and Preferences in Presidential Nominating Campaigns" 79 (79): 804-815, 1985

      49 Federico, C. M., "Epistemic motivation and the uses of political knowledge" University of California 2001

      50 Skalaban, A., "Do the Polls Effect Elections?" 10 (10): 136-150, 1988

      51 Blais, A., "Do Polls Influence the Vote?, In Capturing campaign Effects"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6

      52 Daigle, T., "Catching the Big Wave: Public opinion Polls and Bandwagons in US and Canadian Elections" Ohio Stat University. 2010

      53 Bartels, L., M., "Candidate Choice and the Dynamics of the Presidential Nominating Process" 31 (31): 1-30, 1987

      54 Lau, R., R., "Advantages and disadvantage of cognitive heuristics in political decision making" 45 (45): 951-971, 2001

      55 이준웅, "2007년 대선 선거 여론조사의 개선방안: 신뢰받는 여론조사를위하여" 2007

      56 양승찬, "16대 대선 신문 여론조사보도, TV토론보도, 사설 분석"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 한국지역언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2 1.59 2.18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