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국어에서 간접 지시화행이 나타나는 양상을 고찰하고, 그러한 양상들에서 축자적 의미 이외에 전달되는 의미인 함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언어 현상의 연구 방법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012486
1996
Korean
810.000
학술저널
3-29(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국어에서 간접 지시화행이 나타나는 양상을 고찰하고, 그러한 양상들에서 축자적 의미 이외에 전달되는 의미인 함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언어 현상의 연구 방법은 ...
본 논문은 국어에서 간접 지시화행이 나타나는 양상을 고찰하고, 그러한 양상들에서 축자적 의미 이외에 전달되는 의미인 함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언어 현상의 연구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탈맥락적 상황에서 언어의 형식과 의미를 연구하는 것으로, 이 방법에는 구조주의 언어학, 생성문법 등이 속한다. 둘째는 언어가 사용되는 상황 속에서 언어의 형식과 의미를 연구하는 것으로, 이 방법에는 화용론, 사회언어학 등이 속한다. 이 두 방법론은 언어관에서부터 차이점을 보이고 있으나, 언어 현상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두가지 방법이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