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국유사』 月明師兜率歌조의 原典과 그 편찬자 = A Review of the Original Data and Its Compiler of Wolmyeongsa Dosolga Item of Samguk Yus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284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l-yeon took the method of quoting the Original Data and self-writing while editing the Wolmyeongsa Dosolga Item. This study examined expressions and terms in order to deduce the form and author by focusing on the quotation part of the Original Data.
      In this section, the deeds and thoughts of Wolmyeongsa are very sketchy, and the description is not in the order of the times. Looking at these, I think that the Original Data is an article that focuses on the production of Hyangga Dosolga and Jemangmaega, and it is not a series of biographies of Wolmyeongsa.
      I think that the original source is not an oral data but a literature data. The lyrics of the Dosolga and Jemangmaega seem to have used a separate collection of songs.
      The compiler of the Original Data thought that Dosolga was Sanhwaga, and made a Chinese translation poem about it. In addition, he used expressions that were often used in funeral Oration[昭假] or expressions[至誠・至德・至聖] that seemed to think of rhyme. The compiler of the original data is considered to be a person who has used funeral Oration.
      In addition, the contents mentioned in Confucian scriptures such as the Book Odes, Zhong Yong, etc., such as utmost sincerity[至聖], sacredness and brightness[誠明], are confirmed. The compiler of the original data is a person with knowledge of Confucianism, and is thought to be a Confucian scholar who is well versed in funeral Oration and Chinese poetry.
      The Maitreya Bodhisattva is expressed differently as Ji Sung[至聖], Dae Sun[大僊], and Kuk Sun[國仙], respectively, showing consideration and concern for Buddhism and Taoism even though they are Confucian scholars. He sought to integrat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hile distinguishing them.
      번역하기

      Il-yeon took the method of quoting the Original Data and self-writing while editing the Wolmyeongsa Dosolga Item. This study examined expressions and terms in order to deduce the form and author by focusing on the quotation part of the Original Data. ...

      Il-yeon took the method of quoting the Original Data and self-writing while editing the Wolmyeongsa Dosolga Item. This study examined expressions and terms in order to deduce the form and author by focusing on the quotation part of the Original Data.
      In this section, the deeds and thoughts of Wolmyeongsa are very sketchy, and the description is not in the order of the times. Looking at these, I think that the Original Data is an article that focuses on the production of Hyangga Dosolga and Jemangmaega, and it is not a series of biographies of Wolmyeongsa.
      I think that the original source is not an oral data but a literature data. The lyrics of the Dosolga and Jemangmaega seem to have used a separate collection of songs.
      The compiler of the Original Data thought that Dosolga was Sanhwaga, and made a Chinese translation poem about it. In addition, he used expressions that were often used in funeral Oration[昭假] or expressions[至誠・至德・至聖] that seemed to think of rhyme. The compiler of the original data is considered to be a person who has used funeral Oration.
      In addition, the contents mentioned in Confucian scriptures such as the Book Odes, Zhong Yong, etc., such as utmost sincerity[至聖], sacredness and brightness[誠明], are confirmed. The compiler of the original data is a person with knowledge of Confucianism, and is thought to be a Confucian scholar who is well versed in funeral Oration and Chinese poetry.
      The Maitreya Bodhisattva is expressed differently as Ji Sung[至聖], Dae Sun[大僊], and Kuk Sun[國仙], respectively, showing consideration and concern for Buddhism and Taoism even though they are Confucian scholars. He sought to integrat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hile distinguishing th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연은 ‘월명사도솔가’조를 편집하면서 原典 인용과 자기 집필이라는 방법을 취했다. 본고는 원전 인용 부분을 중심으로 그 형태와 撰者를 추론하기 위해 표현과 용어를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월명사도솔가’조에서 월명사의 행적과 사상이 소략하고, 서사 전개도 시대순이 아닌 것을 보면, 원전은 도솔가와 제망매가 제작에 초점 맞춘 글이 분명하고, 월명사의 行狀에 기반한 열전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왕궁 구조의 구체성을 보면, 구전자료가 아닌 문헌자료이고, 󰡔고본수이전󰡕의 원광법사전처럼 異跡・영험담의 중심의 傳奇類 문헌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散花’라는 표현이 항목 전체를 관통하고 있음을 보면, 원전은 여러 자료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문헌이라고 생각된다.
      원전 찬자는 일연과 달리 兜率歌를 ‘散花歌’라고 생각했고, 그에 대한 漢譯詩를 지었다. 또 祭文에서 자주 쓰인 昭假이나, 至誠・至德・至聖 등 운율을 고려한 듯한 표현을 사용했다. 원전 찬자는 제문을 써 본 경험자이거나, 漢詩에도 능했던 인물이라고 생각된다.
      또 至聖・誠明 등 󰡔시경󰡕・󰡔중용󰡕 등 유교 경전의 내용이 확인되고 있어 찬자는 유학의 소양이 있는 인물로서 啓文・祭文・한시에 조예가 있는 유학자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미륵보살을 각각 至聖, 大僊, 國仙이라고 달리 표현하였는데, 유학자임에도 불교와 도교에 대한 배려와 관심을 보여주고 있고, 유불도 三敎를 구별하면서도 아우르고자 한 성향도 확인된다.
      번역하기

      일연은 ‘월명사도솔가’조를 편집하면서 原典 인용과 자기 집필이라는 방법을 취했다. 본고는 원전 인용 부분을 중심으로 그 형태와 撰者를 추론하기 위해 표현과 용어를 검토 대상으로 ...

      일연은 ‘월명사도솔가’조를 편집하면서 原典 인용과 자기 집필이라는 방법을 취했다. 본고는 원전 인용 부분을 중심으로 그 형태와 撰者를 추론하기 위해 표현과 용어를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월명사도솔가’조에서 월명사의 행적과 사상이 소략하고, 서사 전개도 시대순이 아닌 것을 보면, 원전은 도솔가와 제망매가 제작에 초점 맞춘 글이 분명하고, 월명사의 行狀에 기반한 열전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왕궁 구조의 구체성을 보면, 구전자료가 아닌 문헌자료이고, 󰡔고본수이전󰡕의 원광법사전처럼 異跡・영험담의 중심의 傳奇類 문헌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散花’라는 표현이 항목 전체를 관통하고 있음을 보면, 원전은 여러 자료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문헌이라고 생각된다.
      원전 찬자는 일연과 달리 兜率歌를 ‘散花歌’라고 생각했고, 그에 대한 漢譯詩를 지었다. 또 祭文에서 자주 쓰인 昭假이나, 至誠・至德・至聖 등 운율을 고려한 듯한 표현을 사용했다. 원전 찬자는 제문을 써 본 경험자이거나, 漢詩에도 능했던 인물이라고 생각된다.
      또 至聖・誠明 등 󰡔시경󰡕・󰡔중용󰡕 등 유교 경전의 내용이 확인되고 있어 찬자는 유학의 소양이 있는 인물로서 啓文・祭文・한시에 조예가 있는 유학자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미륵보살을 각각 至聖, 大僊, 國仙이라고 달리 표현하였는데, 유학자임에도 불교와 도교에 대한 배려와 관심을 보여주고 있고, 유불도 三敎를 구별하면서도 아우르고자 한 성향도 확인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정, "향가 <도솔가> 해석 재고- 밀교 사상과 다라니인단법(陀羅尼印壇法)에 근거하여" 한국어문학연구소 (41) : 257-295, 2022

      2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3 연세대학교 박물관, "파른본 삼국유사 교감" 혜안 2016

      4 하일식, "파른본 삼국유사 교감" 혜안 2016

      5 곽승훈, "통일신라시대 僧傳의 저술과 그 의의" 69 : 1992

      6 成任, "태평통재"

      7 권덕영, "재당 한인 묘지명 연구(역주편)"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1

      8 윤소희, "월명사의 성범(聲梵)에 관한 연구" 국립국악원 (31) : 111-144, 2015

      9 박남수, "신라 화백제도와 화랑도" 주류성 2013

      10 진창영, "신라 향가 작자의 노장적 성격 고찰" 한국어문학회 (91) : 337-363, 2006

      1 이현정, "향가 <도솔가> 해석 재고- 밀교 사상과 다라니인단법(陀羅尼印壇法)에 근거하여" 한국어문학연구소 (41) : 257-295, 2022

      2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3 연세대학교 박물관, "파른본 삼국유사 교감" 혜안 2016

      4 하일식, "파른본 삼국유사 교감" 혜안 2016

      5 곽승훈, "통일신라시대 僧傳의 저술과 그 의의" 69 : 1992

      6 成任, "태평통재"

      7 권덕영, "재당 한인 묘지명 연구(역주편)"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1

      8 윤소희, "월명사의 성범(聲梵)에 관한 연구" 국립국악원 (31) : 111-144, 2015

      9 박남수, "신라 화백제도와 화랑도" 주류성 2013

      10 진창영, "신라 향가 작자의 노장적 성격 고찰" 한국어문학회 (91) : 337-363, 2006

      11 김복순, "신라 중고기 불교와 법화경, In 명예보다 求道를 택한 신라인" 31 : 2010

      12 "시경, 장자, 中庸章句 (朱熹)"

      13 "삼국유사"

      14 서거정, "삼국사절요"

      15 "삼국사절요"

      16 "삼국사기"

      17 權文海, "대동운부군옥"

      18 곽승훈, "금석문을 통한 신라사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19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0 "고려사"

      21 최치원, "계원필경집"

      22 최연식, "高麗時代 僧傳의 서술 양상 검토 —『殊異傳』 『海東高僧傳』 『三國遺事』의 阿道와 圓光전기 비교—" 한국사상사학회 (28) : 161-191, 2007

      23 張維, "谿谷集"

      24 "漢籍リポリポジトリ(Kanseki Repository)"

      25 張載, "正蒙"

      26 崔瀣, "東人之文四六"

      27 나경수, "月明師의 신분과 향가작품의 관계" 한국언어문학회 33 : 1994

      28 김선주, "善德王 지기삼사(知幾三事)의 형성 시기와 배경"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5) : 215-251, 2017

      29 趙東一, "『신편 한국사』 17-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2002

      30 여성구, "『삼국유사』 월명사도솔가조의 구성과 편집 방식" 한국고대사탐구학회 (43) : 233-278, 2023

      31 李文基, "『삼국유사』 기이편 「김유신」조의 再吟味, In 신라 中代 神異의 역사"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9 : 2018

      32 김건곤, "『新羅殊異傳』의 作者와 著作背景" 34 : 1988

      33 김창호, "『三國遺事』에 실린 我道本碑의 작성 시기" 20 : 2001

      34 박광연, "『三國遺事』 ‘月明師 兜率歌’의 일고찰" 32 : 2011

      35 염중섭, "「月明師兜率歌」 속 <祭亡妹歌>의 배경과 내포 의미 검토"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41) : 249-278, 2020

      36 하정용, "≪日本帝紀≫와 ≪日本帝記≫를 통해서 본 ≪三國遺事≫의 사료비판—延烏郞細烏女條와 元聖大王條의 後註를 중심으로 한 原典論—" 신라사학회 (12) : 273-307, 2008

      37 "CBETA 漢文大藏經"

      38 남풍현, "<兜率歌>와 <祭亡妹歌>의 새로운 解讀" 진단학회 (130) : 1-26, 2018

      39 윤경진, "7세기 초 신라의 對隋 군사외교에 대한 재검토 - 圓光 乞師表의 사실성 검증을 중심으로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71) : 47-84,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