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현정, "향가 <도솔가> 해석 재고- 밀교 사상과 다라니인단법(陀羅尼印壇法)에 근거하여" 한국어문학연구소 (41) : 257-295, 2022
2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3 연세대학교 박물관, "파른본 삼국유사 교감" 혜안 2016
4 하일식, "파른본 삼국유사 교감" 혜안 2016
5 곽승훈, "통일신라시대 僧傳의 저술과 그 의의" 69 : 1992
6 成任, "태평통재"
7 권덕영, "재당 한인 묘지명 연구(역주편)"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1
8 윤소희, "월명사의 성범(聲梵)에 관한 연구" 국립국악원 (31) : 111-144, 2015
9 박남수, "신라 화백제도와 화랑도" 주류성 2013
10 진창영, "신라 향가 작자의 노장적 성격 고찰" 한국어문학회 (91) : 337-363, 2006
1 이현정, "향가 <도솔가> 해석 재고- 밀교 사상과 다라니인단법(陀羅尼印壇法)에 근거하여" 한국어문학연구소 (41) : 257-295, 2022
2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3 연세대학교 박물관, "파른본 삼국유사 교감" 혜안 2016
4 하일식, "파른본 삼국유사 교감" 혜안 2016
5 곽승훈, "통일신라시대 僧傳의 저술과 그 의의" 69 : 1992
6 成任, "태평통재"
7 권덕영, "재당 한인 묘지명 연구(역주편)"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1
8 윤소희, "월명사의 성범(聲梵)에 관한 연구" 국립국악원 (31) : 111-144, 2015
9 박남수, "신라 화백제도와 화랑도" 주류성 2013
10 진창영, "신라 향가 작자의 노장적 성격 고찰" 한국어문학회 (91) : 337-363, 2006
11 김복순, "신라 중고기 불교와 법화경, In 명예보다 求道를 택한 신라인" 31 : 2010
12 "시경, 장자, 中庸章句 (朱熹)"
13 "삼국유사"
14 서거정, "삼국사절요"
15 "삼국사절요"
16 "삼국사기"
17 權文海, "대동운부군옥"
18 곽승훈, "금석문을 통한 신라사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19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0 "고려사"
21 최치원, "계원필경집"
22 최연식, "高麗時代 僧傳의 서술 양상 검토 —『殊異傳』 『海東高僧傳』 『三國遺事』의 阿道와 圓光전기 비교—" 한국사상사학회 (28) : 161-191, 2007
23 張維, "谿谷集"
24 "漢籍リポリポジトリ(Kanseki Repository)"
25 張載, "正蒙"
26 崔瀣, "東人之文四六"
27 나경수, "月明師의 신분과 향가작품의 관계" 한국언어문학회 33 : 1994
28 김선주, "善德王 지기삼사(知幾三事)의 형성 시기와 배경"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5) : 215-251, 2017
29 趙東一, "『신편 한국사』 17-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2002
30 여성구, "『삼국유사』 월명사도솔가조의 구성과 편집 방식" 한국고대사탐구학회 (43) : 233-278, 2023
31 李文基, "『삼국유사』 기이편 「김유신」조의 再吟味, In 신라 中代 神異의 역사"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9 : 2018
32 김건곤, "『新羅殊異傳』의 作者와 著作背景" 34 : 1988
33 김창호, "『三國遺事』에 실린 我道本碑의 작성 시기" 20 : 2001
34 박광연, "『三國遺事』 ‘月明師 兜率歌’의 일고찰" 32 : 2011
35 염중섭, "「月明師兜率歌」 속 <祭亡妹歌>의 배경과 내포 의미 검토"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41) : 249-278, 2020
36 하정용, "≪日本帝紀≫와 ≪日本帝記≫를 통해서 본 ≪三國遺事≫의 사료비판—延烏郞細烏女條와 元聖大王條의 後註를 중심으로 한 原典論—" 신라사학회 (12) : 273-307, 2008
37 "CBETA 漢文大藏經"
38 남풍현, "<兜率歌>와 <祭亡妹歌>의 새로운 解讀" 진단학회 (130) : 1-26, 2018
39 윤경진, "7세기 초 신라의 對隋 군사외교에 대한 재검토 - 圓光 乞師表의 사실성 검증을 중심으로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71) : 47-84,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