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왕양명의 ‘양지(良知)’와 길버트 라일의 ‘Intelligence’를 바탕으로 한 ‘마음이 고와야 춤이 곱다’라는 한국전통춤 테제 해석 = Based on Wang Yang-Ming’s “liangzhi 良知” and Gilbert Ryle’s “intelligence”, the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Theme of “The Dance is Beautiful when the Heart is Beautif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604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terprets the theme of “The dance is beautiful when the heart is beautiful.” emphasized i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world based on the mind theory of Wang Yang-Ming and Gilbert Ryle. ⑴ The meaning of the word “good-hearted” was examined, ⑵ the reason why the dance is beautiful was examined, ⑶ how the emotions of dancers and audience were possible.
      In “The dance is beautiful when the heart is beautiful.” according to Wang Yang-Ming, the heart is a pure, precise, clean, clear and bright, and the condition is “truthfulness[誠]” that is not hidden by individual desires by “heart.” According to Ryle, since the propensity of the actor can be known by looking at the action, the intelligence of the dancer must be exercised so that he can dance according to the dancer’s tendency. And liangzhi 良知’s “awareness,” the viewer can recognize the dancer’s mind. The concept of liangzhi is closely related to Wang’s organic worldview, in which he sees the entire universe as one whole organism.
      번역하기

      This paper interprets the theme of “The dance is beautiful when the heart is beautiful.” emphasized i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world based on the mind theory of Wang Yang-Ming and Gilbert Ryle. ⑴ The meaning of the word “good-hearted” w...

      This paper interprets the theme of “The dance is beautiful when the heart is beautiful.” emphasized i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world based on the mind theory of Wang Yang-Ming and Gilbert Ryle. ⑴ The meaning of the word “good-hearted” was examined, ⑵ the reason why the dance is beautiful was examined, ⑶ how the emotions of dancers and audience were possible.
      In “The dance is beautiful when the heart is beautiful.” according to Wang Yang-Ming, the heart is a pure, precise, clean, clear and bright, and the condition is “truthfulness[誠]” that is not hidden by individual desires by “heart.” According to Ryle, since the propensity of the actor can be known by looking at the action, the intelligence of the dancer must be exercised so that he can dance according to the dancer’s tendency. And liangzhi 良知’s “awareness,” the viewer can recognize the dancer’s mind. The concept of liangzhi is closely related to Wang’s organic worldview, in which he sees the entire universe as one whole organ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전통춤계 원로들이 한목소리로 강조하는 ‘마음이 고와야 춤이 곱다.’라는 테제를 왕양명의 양지(良知)과 길버트 라일의 예지(睿知, intelligence) 이론을 바탕으로 해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⑴ 마음이 곱다는 말의 의미, ⑵ 마음이 고와야 춤이 고운 이유, ⑶ 무자(舞者)와 감상자의 감응 관계를 살펴보았다.
      ‘마음이 고와야 춤이 곱다.’라는 테제는 왕양명에 의하면 ‘순수하고, 정밀하고, 정결하고, 맑고 밝은 양지(良知)가 발현된 것으로[精明]’, 개인의 욕망에 가려지지 않은 ‘마음[心]’의 ‘진실성[誠]’이 그 조건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라일은 우리가 마음이라고 말하는 것은 그의 ‘성향’이 드러난 것으로, 행위를 보고 행위자의 성향[propensities]을 알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라일에 의하면 ‘마음이 고와야 춤이 곱다.’라는 테제는 무자가 예지를 발휘하여 성향에 맞는 춤을 출 때, 고운 춤을 추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양지의 ‘알아차림(awareness)’과 무자의 ‘제2의 본성’의 발현으로 인해 감상자는 무자의 마음을 알아차릴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무자와 감상자의 감응이 가능한 것은 만물동체(萬物同體)와 일기유통(一氣流通)을 전제로 한 우리의 몸이 타자들과의 감응을 위한 계기[感應之幾]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한국전통춤계 원로들이 한목소리로 강조하는 ‘마음이 고와야 춤이 곱다.’라는 테제를 왕양명의 양지(良知)과 길버트 라일의 예지(睿知, intelligence) 이론을 바탕으로 해석한 것이다...

      이 글은 한국전통춤계 원로들이 한목소리로 강조하는 ‘마음이 고와야 춤이 곱다.’라는 테제를 왕양명의 양지(良知)과 길버트 라일의 예지(睿知, intelligence) 이론을 바탕으로 해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⑴ 마음이 곱다는 말의 의미, ⑵ 마음이 고와야 춤이 고운 이유, ⑶ 무자(舞者)와 감상자의 감응 관계를 살펴보았다.
      ‘마음이 고와야 춤이 곱다.’라는 테제는 왕양명에 의하면 ‘순수하고, 정밀하고, 정결하고, 맑고 밝은 양지(良知)가 발현된 것으로[精明]’, 개인의 욕망에 가려지지 않은 ‘마음[心]’의 ‘진실성[誠]’이 그 조건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라일은 우리가 마음이라고 말하는 것은 그의 ‘성향’이 드러난 것으로, 행위를 보고 행위자의 성향[propensities]을 알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라일에 의하면 ‘마음이 고와야 춤이 곱다.’라는 테제는 무자가 예지를 발휘하여 성향에 맞는 춤을 출 때, 고운 춤을 추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양지의 ‘알아차림(awareness)’과 무자의 ‘제2의 본성’의 발현으로 인해 감상자는 무자의 마음을 알아차릴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무자와 감상자의 감응이 가능한 것은 만물동체(萬物同體)와 일기유통(一氣流通)을 전제로 한 우리의 몸이 타자들과의 감응을 위한 계기[感應之幾]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인화, "춤과 그들" 동아시아 2008

      2 "지윤석 기자 블로그"

      3 신정근, "중용: 극단의 시대를 넘어 균형의 시대로" 사계절 2010

      4 왕양명, "전습록" 청계출판사 2007

      5 김세정, "왕양명의 생명철학"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6 정갑임, "왕양명의 ‘良知’와 게슈탈트 치료의 ‘알아차림(awareness)’ 비교 연구" 한국양명학회 (34) : 5-28, 2013

      7 김미영, "예술가는 제2의 본성으로 ‘眞知’를 얻는다"

      8 길버트 라일, "마음의 개념" 문예출판사 2004

      9 다리아 할프린, "동작중심 표현예술치료: 움직임, 은유 그리고 의미의 세계" 시그마프레스 2006

      10 김정규, "게슈탈트 심리치료" 학지사 2015

      1 유인화, "춤과 그들" 동아시아 2008

      2 "지윤석 기자 블로그"

      3 신정근, "중용: 극단의 시대를 넘어 균형의 시대로" 사계절 2010

      4 왕양명, "전습록" 청계출판사 2007

      5 김세정, "왕양명의 생명철학"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6 정갑임, "왕양명의 ‘良知’와 게슈탈트 치료의 ‘알아차림(awareness)’ 비교 연구" 한국양명학회 (34) : 5-28, 2013

      7 김미영, "예술가는 제2의 본성으로 ‘眞知’를 얻는다"

      8 길버트 라일, "마음의 개념" 문예출판사 2004

      9 다리아 할프린, "동작중심 표현예술치료: 움직임, 은유 그리고 의미의 세계" 시그마프레스 2006

      10 김정규, "게슈탈트 심리치료" 학지사 2015

      11 "禮記"

      12 김미영, "王陽明의 心學 이론으로 본 한국전통춤의 私欲과 天理體認+" 무용역사기록학회 48 : 27-47, 2018

      13 "王文成全書"

      14 "林泉高致"

      15 최재서, "印象과 思索" 연세대학교출판부 1977

      16 "傳習錄"

      17 한정원, "G. 라일의 '마음' 개념과 성향으로서 도덕적 행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예술연구소 -> 인문예술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Humanities and Art -> Humanities and Art Socie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