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록
- 1. 머리말
- 2. 인칭대명사의 역사적 배경
- 3. 일인칭 대명사
- 4. 이인칭 대명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83132
2004
-
830.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52-167(16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宅號와 從子名呼稱" 1989
2 "한국인의 친족호칭과 친족조직 아세아연구" 고려대학교 6 (6): 1963
3 이광규, "한국의 가족호칭 연구논총" 1971b
4 "한국 친족용어의 내적구조" 1988
5 "집의 이름과 친족관계에 대한 명칭" 28 : 1995
6 "이 탁 稱號의 말과 인사의 말에 대하여 국어연구소" 1989
7 "사회구조형성의 면에서 본 국어친족호칭어의 성격 연구" 3 : 1975
8 "국어 호칭의 실상과 대책 국어연구소" 1989
9 "韓國語의 親族呼稱에 對하여" 한국여성문제연 구소 효성여자대학교 1979
10 "韓國語と日本語の呼稱に關する社會言語學的硏究" 韓國日本學會 48집 : 2001
1 "宅號와 從子名呼稱" 1989
2 "한국인의 친족호칭과 친족조직 아세아연구" 고려대학교 6 (6): 1963
3 이광규, "한국의 가족호칭 연구논총" 1971b
4 "한국 친족용어의 내적구조" 1988
5 "집의 이름과 친족관계에 대한 명칭" 28 : 1995
6 "이 탁 稱號의 말과 인사의 말에 대하여 국어연구소" 1989
7 "사회구조형성의 면에서 본 국어친족호칭어의 성격 연구" 3 : 1975
8 "국어 호칭의 실상과 대책 국어연구소" 1989
9 "韓國語의 親族呼稱에 對하여" 한국여성문제연 구소 효성여자대학교 1979
10 "韓國語と日本語の呼稱に關する社會言語學的硏究" 韓國日本學會 48집 : 2001
11 "親族の 範 とその 呼 について -韓國を 中心とする一考察" 2001
12 "西兵衛と瓢簞" 1982
13 "母の死と新しい母" 1982
14 이광규, "家族과 親族" 1992
15 "大學生の呼 場面?上下?性の異なる相手からの呼ばれ方" 靑山學院女子短期大學總合文化硏究 7 : 1999
16 "大學 育會における呼" 明治書院 8 : 1998
17 "呼 について" 橫浜國立大學 營學會 17 : 1996
18 "呼 という論点:特集 人の呼び方" 明治書院 8 : 1998
『헤이케모노가타리』(平家物語)에 나타난 모치히토오(以仁王)의 거병사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5 | 0.25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5 | 0.23 | 0.565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