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도시경관 기록화사업을 위한 민간사진기록 수집 활성화 방안: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quisition Methods of Private Photographs for The Urban Landscape Documentation Project: Focusing on Daegu Metropolit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95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hotographic records capturing the changes of a city are vital parts of local history archives. They were, however, not collected properly for the local history archives even by local governments. Therefore, as a solution for this problem, seven major cities (Seoul, Incheon, Gwangju, Ulsan, Daejeon, Busan, and Daegu) initiated the urban landscape documentation project for archiving the photographic records of each c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urban landscape documentation project and found that Daegu metropolitan city’s project only holds some of the contest photos and a few old photos from the local government. A proper donating process is urgently needed to preserve valuable photographic records of Daegu, and this study aims solutions for the Daegu metropolitan city’s urban landscape documentation project to improve the acquisition methods of photographic records. This study suggests the process for photographic records donation from citizens and a metadata set for donated photographs.
      번역하기

      Photographic records capturing the changes of a city are vital parts of local history archives. They were, however, not collected properly for the local history archives even by local governments. Therefore, as a solution for this problem, seven major...

      Photographic records capturing the changes of a city are vital parts of local history archives. They were, however, not collected properly for the local history archives even by local governments. Therefore, as a solution for this problem, seven major cities (Seoul, Incheon, Gwangju, Ulsan, Daejeon, Busan, and Daegu) initiated the urban landscape documentation project for archiving the photographic records of each c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urban landscape documentation project and found that Daegu metropolitan city’s project only holds some of the contest photos and a few old photos from the local government. A proper donating process is urgently needed to preserve valuable photographic records of Daegu, and this study aims solutions for the Daegu metropolitan city’s urban landscape documentation project to improve the acquisition methods of photographic records. This study suggests the process for photographic records donation from citizens and a metadata set for donated photograph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의 변화를 포착하는 사진 기록은 지역 역사 기록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기록이다. 국내에서는 7개 주요 도시(서울, 인천, 광주, 울산, 대전, 부산, 대구)에서 각 도시의 사진기록을 보관하는 도시경관 기록화사업에 착수하여 진행되고 있지만 도시변화를 담고 있는 사진기록을 적절하게 수집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사업을 중심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시경관 기록화사업의 현황을 조사하였는데 대구광역시의 경우 일부 공모전 사진과 지방자치단체의 오래된 사진만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구광역시 변화를 포착한 중요한 사진 기록물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기증 절차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어, 이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도시경관 기록화사업을 위해 기증을 기반으로 한 사진 기록물의 수집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증 기반 사진기록물 수집 개선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시민의 사진기록 기증 절차와 기증된 사진에 대한 메타데이터 세트를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도시의 변화를 포착하는 사진 기록은 지역 역사 기록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기록이다. 국내에서는 7개 주요 도시(서울, 인천, 광주, 울산, 대전, 부산, 대구)에서 각 도시의 사진기록을 ...

      도시의 변화를 포착하는 사진 기록은 지역 역사 기록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기록이다. 국내에서는 7개 주요 도시(서울, 인천, 광주, 울산, 대전, 부산, 대구)에서 각 도시의 사진기록을 보관하는 도시경관 기록화사업에 착수하여 진행되고 있지만 도시변화를 담고 있는 사진기록을 적절하게 수집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사업을 중심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시경관 기록화사업의 현황을 조사하였는데 대구광역시의 경우 일부 공모전 사진과 지방자치단체의 오래된 사진만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구광역시 변화를 포착한 중요한 사진 기록물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기증 절차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어, 이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도시경관 기록화사업을 위해 기증을 기반으로 한 사진 기록물의 수집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증 기반 사진기록물 수집 개선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시민의 사진기록 기증 절차와 기증된 사진에 대한 메타데이터 세트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규목, "한국의 도시경관: 우리 도시의 모습, 그 변천⋅이론전망" 열화당 2002

      2 김자경, "참여형축제사진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 대구시 축제기록 사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 19 (19): 49-70, 2019

      3 고정서, "지방지 편찬 기록물 관리방안 연구 : 광산구사편찬위원회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1

      4 이진아, "부산지역 축제기록 관리와 활용방안 : 부산문화관광축제조직위원회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3

      5 임성규, "도시경관 기록화사업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7

      6 문희수, "도시경관 기록화 사업의 사진기록물에 관한 연구: 인천, 대전광역시의 도시경관 기록화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7 전유정, "대구의 도시정체성 보존을 위한 도시경관 사진기록화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8 김인아, "국내 지자체 사진 기록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 및 기계학습 기반 자동 인덱싱 방법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20 (20): 67-83, 2020

      9 강영선, "국내 지자체 사진 기록물의 효율적 검색을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 45 (45): 189-191, 2018

      10 김용, "광역자치단체의 영상기록물 DB 구축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9 (9): 197-219, 2009

      1 이규목, "한국의 도시경관: 우리 도시의 모습, 그 변천⋅이론전망" 열화당 2002

      2 김자경, "참여형축제사진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 대구시 축제기록 사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 19 (19): 49-70, 2019

      3 고정서, "지방지 편찬 기록물 관리방안 연구 : 광산구사편찬위원회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1

      4 이진아, "부산지역 축제기록 관리와 활용방안 : 부산문화관광축제조직위원회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3

      5 임성규, "도시경관 기록화사업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7

      6 문희수, "도시경관 기록화 사업의 사진기록물에 관한 연구: 인천, 대전광역시의 도시경관 기록화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7 전유정, "대구의 도시정체성 보존을 위한 도시경관 사진기록화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8 김인아, "국내 지자체 사진 기록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 및 기계학습 기반 자동 인덱싱 방법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20 (20): 67-83, 2020

      9 강영선, "국내 지자체 사진 기록물의 효율적 검색을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 45 (45): 189-191, 2018

      10 김용, "광역자치단체의 영상기록물 DB 구축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9 (9): 197-219, 2009

      11 민성혜, "광명시의 민간기록물 관리를 위한 지방기록물관리협의회 설립 방안 연구 : 푸른광명21실천협의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12 한국경관협의회, "경관법과 경관계획" 보문당 2008

      13 하승용, "6대 특·광역시 도시경관 기록화사업의 기록화 체계 및 방법 비교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9 (19): 769-784,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4-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7-04-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e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6 1.607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