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한국 기록관리학 대학원 교육지침서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Guideline Model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95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ole of an archivist should include not only traditional archives management but also new archives management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electronic records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this study, to verify the adequacy and content validity of the components, knowledge categories, and knowledge contents of the guideline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the Delphi survey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the components of the guideline consisted of “preface,” “curriculum,” “faculty,” “structure of the learning process,” “administrative resources,” and “conclusions,” and the educational content consisted of 8 knowledge categories and 44 knowledge content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minimum components to be followed in the graduate program of archival scienc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guideline model and present educational contents to educate archivists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capabilities. The model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a future guideline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번역하기

      The role of an archivist should include not only traditional archives management but also new archives management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electronic records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this study, to verify the adequacy and content validity of...

      The role of an archivist should include not only traditional archives management but also new archives management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electronic records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this study, to verify the adequacy and content validity of the components, knowledge categories, and knowledge contents of the guideline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the Delphi survey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the components of the guideline consisted of “preface,” “curriculum,” “faculty,” “structure of the learning process,” “administrative resources,” and “conclusions,” and the educational content consisted of 8 knowledge categories and 44 knowledge content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minimum components to be followed in the graduate program of archival scienc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guideline model and present educational contents to educate archivists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capabilities. The model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a future guideline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록관리전문가의 역할은 전통적인 기록관리 뿐 아니라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전자기록관리까지 주도적으로 실행하는 역할로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리전문가 양성과정인 기록관리학 대학원 교육지침서의 구성요소, 지식범주, 지식내용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델파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평가 결과 교육지침서의 구성요소는 서문, 교육 내용, 교원 요건, 교육 과정, 행정적 지원, 결론이고 교육 내용은 8개 지식범주와 44개 지식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지침서 모형 개발을 통해 기록관리학 대학원에서 준수해야 하는 최소한의 기준인 구성요소를 제시하고, 이론과 실무 역량을 갖춘 기록관리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모형은 향후 교육지침서 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기록관리전문가의 역할은 전통적인 기록관리 뿐 아니라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전자기록관리까지 주도적으로 실행하는 역할로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리전문가 양성과정인 기...

      기록관리전문가의 역할은 전통적인 기록관리 뿐 아니라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전자기록관리까지 주도적으로 실행하는 역할로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리전문가 양성과정인 기록관리학 대학원 교육지침서의 구성요소, 지식범주, 지식내용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델파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평가 결과 교육지침서의 구성요소는 서문, 교육 내용, 교원 요건, 교육 과정, 행정적 지원, 결론이고 교육 내용은 8개 지식범주와 44개 지식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지침서 모형 개발을 통해 기록관리학 대학원에서 준수해야 하는 최소한의 기준인 구성요소를 제시하고, 이론과 실무 역량을 갖춘 기록관리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모형은 향후 교육지침서 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주광,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의 기록관리 방안" 2020

      2 김익한, "전문요원제도와 기록관리 교육의 질적 제고" 한국기록학회 (7) : 129-148, 2003

      3 정연경, "북미 기록관리교육지침서에 관한 비교 분석" 10 : 31-48, 2003

      4 정연경, "미국의 기록관리학 지식 범주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3 (3): 34-51, 2003

      5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용어사전" 역사비평사 2008

      6 김유승, "기록전문직 교육제도 개선 방안 연구: 인증제도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 20 (20): 159-175, 2020

      7 국가기록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능력 분석 및 시험평가영역⋅기준 개발 연구 최종보고서" 국가기록원 2012

      8 성주영,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양성제도 현황과 전망: 교육원 과정을 중심으로" 2020

      9 박지영, "기록관리 전문직 양성제도 혁신 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21 (21): 19-40, 2021

      10 김순희, "기록관리 전문가의 실무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0 (40): 271-293, 2009

      1 이주광,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의 기록관리 방안" 2020

      2 김익한, "전문요원제도와 기록관리 교육의 질적 제고" 한국기록학회 (7) : 129-148, 2003

      3 정연경, "북미 기록관리교육지침서에 관한 비교 분석" 10 : 31-48, 2003

      4 정연경, "미국의 기록관리학 지식 범주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3 (3): 34-51, 2003

      5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용어사전" 역사비평사 2008

      6 김유승, "기록전문직 교육제도 개선 방안 연구: 인증제도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 20 (20): 159-175, 2020

      7 국가기록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능력 분석 및 시험평가영역⋅기준 개발 연구 최종보고서" 국가기록원 2012

      8 성주영,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양성제도 현황과 전망: 교육원 과정을 중심으로" 2020

      9 박지영, "기록관리 전문직 양성제도 혁신 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21 (21): 19-40, 2021

      10 김순희, "기록관리 전문가의 실무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0 (40): 271-293, 2009

      11 김장환, "기록관리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에 대한 짧은 생각" 17-40, 2019

      12 이윤정, "기록관리 교육지침서 개발을 위한 핵심 범주와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20 (20): 27-46, 2020

      13 정연경, "기록 전문직 양성 프로그램의 현황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0 (10): 99-118, 2010

      14 이윤정, "국내외 기록관리학 대학원 교육과정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5 (55): 567-591, 2021

      15 Hoy, M., "Understanding the Role, Place and Potential of the Statement of Knowledge for Recordkeeping Professionals" 36 (36): 8-30, 2008

      16 Benoit, E., "One Size does not Fit All : Graduate Archival Educ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82 (82): 24-52, 2019

      17 Linn, M., "Not Waiting for Godot : The History of the Academy of Certified Archivists and the Professionalization of the Archival Field" 78 (78): 96-132, 2015

      18 Ngulube, P., "Guidelines and Standards for Records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 A Model for Anglophone Africa" 11 (11): 155-173, 2001

      19 Landeta, J., "Current Validity of the Delphi Method on Social Sscience" 73 (73): 467-482, 2006

      20 Bastian, J., "Are We There Yet? Professionalism and the Development of an Archival Core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46 (46): 95-114, 2005

      21 Eastwood, T., "A Personal Reflection on the Development of Archival Education" 33 (33): 75-88,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4-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7-04-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e ->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6 1.607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