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행동경제학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는 주요 개념 중에서 근시안적 손실회피(myopic loss aversion)관점에서 이중정보처리 이론(dual information processing 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07400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행동경제학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는 주요 개념 중에서 근시안적 손실회피(myopic loss aversion)관점에서 이중정보처리 이론(dual information processing t...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행동경제학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는 주요 개념 중에서 근시안적 손실회피(myopic loss aversion)관점에서 이중정보처리 이론(du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현상유지 편향(status quo bias) 그리고, 시기추론이론temporal construal theory)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비일관된 행동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이용에 있어 업데이트 요청에 대한 거부감, 즉 현재 버전에 대해서 움직이려하지 않는 측면에서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으며, 실증 연구를 기반으로 관성(inertia)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시스템 1의 무의식적 유발요인 (Subconscious triggers of system 1 thinking)과 시스템 2의 의식적 유발요인(Conscious triggers of system 2 thinking)들을 추출하고 이들 간의 관계가설을 설정하고자 한다. 더불어 시기추론 이론을 적용하여 사용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관성이 어떠한 시점에서 업데이트 의지로 변화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모형 및 가설 검증을 위해서 실험과 설문조사를 병행하며, 이를 바탕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할 예정이며, 해당 분석은 Baron and Kenny(1986)의 분석방법과 Shrout and Bolger(2002)의 분석방법을 각각 순차적으로 활용하여 분석해 봄으로써, 해당변수의 완전 매개 혹은 부분 매개 효과 등을 검증할 예정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시기추론이론에서의 바람직성과 실현가능성에 대한 조절효과를 Sharma et al.(1981)의 조절효과 검증방법을 통해 살펴볼 예정이다. 더불어, 구조방정식 모델링 기법 중의 하나인 Partial Least Squares (PLS)를 사용하여, 앞서 살펴본 두 가지 방법과 일관된 결과가 도출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견고한 연구결과를 도출할 계획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사례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행동변화를 규명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연구의 공헌점을 기대할 수 있다. 우선, 이론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이중처리이론, 근시안적 손실회피 관점, 현상유지 편향 등의 행동경제학 이론의 통합과 연계를 통해서 사용자의 행동변화를 실증 규명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사용자 행동 규명연구는 기존의 IS 행동적 연구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사용자의 가치평가, 행동변화를 설명하는데 있어 보다 정확하고 현실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본다. 다음으로, 실무적인 측면에서 사용자의 행동변화에 대한 주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IT 개발자에게 다양한 현실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변화에 대한 사용자의 가치평가가 달라지는 이유, 사용자의 판단이나 선택이 일관되지 않고, 사용자의 선호가 바뀌는 원인 등 사용자의 일관되지 못한 행동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것이 사용자의 문제인지, 사용자를 바라보는 개발자의 문제인지 등을 확인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