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3년 한국사전학이 발간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사전학』에 등재된 논문들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사전학이 변혁기를 거쳐 온 과정과 발전상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86720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7-139(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3년 한국사전학이 발간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사전학』에 등재된 논문들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사전학이 변혁기를 거쳐 온 과정과 발전상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본 연구는 2003년 한국사전학이 발간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사전학』에 등재된 논문들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사전학이 변혁기를 거쳐 온 과정과 발전상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사전학의 발전 방향성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2003년 한국사전학회의 창립 전후부터 지금까지 한국사전학이 도출한 성과를 양적으로 분석하고(2장), 사전학 관련 논문에서 사전학의 연구 경향을 각각 거시구조적 측면과 미시구조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3장), 최근 20년간의 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전학계가 말뭉치 혁명과 컴퓨터와 IT의 발달, 사용자의 참여 확장 등 사회 변화에 따른 요구를 한국사전학계가 어떻게 수용해 갈 것인지를 함께 논의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사전학』에 등재된 모든 논문이 주요 대상이나, 『한국사전학』 이전에 사전학 전문지로서 관련 주제들을 담당했던 『사전편찬학연구』와 이외 KCI 학술지 중 현대 한국사전학의 주요 성과를 모두 포함한다. 또 분석의 체계는 사전학 이론의 내적 체계인 이론사전학과 사전편찬학의 체계를 따르는 한편, 국내외 사전학계의 주요 연구 동향을 참고하기 위해 한국사전학회, 아시아사전학회, 유럽사전학회의 주요 연구 분야를 고려하여 논의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길임, "확장된 어휘 단위에 대한 연구 동향과 한국어의 기술" 한국사전학회 (18) : 75-100, 2011
2 유현경, "한국어사전 편찬의 현황과 이론적 전개" 한국사전학회 (17) : 186-208, 2011
3 안의정, "한국어 표현 사전 편찬의 현황과 전망 -정보 항목별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사전학회 (25) : 162-182, 2015
4 남길임, "한국어 사전학의 현황과 과제- 말뭉치 혁명과 사용자 참여를 중심으로 -" 언어정보연구원 47 : 61-86, 2019
5 유현경, "한국어 사전 편찬학 개론" 역락 2008
6 조재수, "한국어 사전 편찬의 발자취: 우리말 거두기와 정리의 역사" 한글학회 2021
7 이운영, "표준국어대사전 연구 분석" 국립국어원 2002
8 이성현, "세종 전자사전 개발의 성과와 전망" 국립국어원 19 (19): 2009
9 안의정, "사전과 정보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10 봉미경, "사전 목적의 변화를 말하다: 특수 사전 편찬 사례를 중심으로" 2021
1 남길임, "확장된 어휘 단위에 대한 연구 동향과 한국어의 기술" 한국사전학회 (18) : 75-100, 2011
2 유현경, "한국어사전 편찬의 현황과 이론적 전개" 한국사전학회 (17) : 186-208, 2011
3 안의정, "한국어 표현 사전 편찬의 현황과 전망 -정보 항목별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사전학회 (25) : 162-182, 2015
4 남길임, "한국어 사전학의 현황과 과제- 말뭉치 혁명과 사용자 참여를 중심으로 -" 언어정보연구원 47 : 61-86, 2019
5 유현경, "한국어 사전 편찬학 개론" 역락 2008
6 조재수, "한국어 사전 편찬의 발자취: 우리말 거두기와 정리의 역사" 한글학회 2021
7 이운영, "표준국어대사전 연구 분석" 국립국어원 2002
8 이성현, "세종 전자사전 개발의 성과와 전망" 국립국어원 19 (19): 2009
9 안의정, "사전과 정보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10 봉미경, "사전 목적의 변화를 말하다: 특수 사전 편찬 사례를 중심으로" 2021
11 Aiden, E., "빅데이터 인문학: 진격의 서막" 사계절 2015
12 홍종선, "민족어의 통합 통일과 <겨레말큰사전> 남북 공동 편찬" 민족문화연구원 (59) : 291-313, 2013
13 이희자, "말뭉치 기반 초등국어사전 알기" 한국사전학회 6 : 35-67, 2005
14 남길임, "말뭉치 기반 사전 편찬의 동향과 지향 방향 -최근 30년간의 사전편찬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16) : 75-98, 2005
15 안의정, "디지털 인문학 시대의 사전 편찬- 전자사전 편찬의 연구 동향에 대하여 -" 한국사전학회 (24) : 206-225, 2014
16 홍종선, "국어사전학 개론" 제이앤씨 2009
17 이상섭, "국어사전 사용자 설문에서 드러난 몇 가지 사실" 10 (10): 2000
18 김현철, "국내 중한사전 작업의 새로운 모색 및 활용 방안 -『다락원 중한사전』의 편찬을 중심으로-" 동양학연구원 (71) : 75-115, 2018
19 이익환 ; 안의정, "『연세 현대한국어사전』 편찬 프로젝트" 한국사전학회 (9) : 7-22, 2007
20 Fuertes-Olivera, P. A., "Theory and practice of specialised online dictionaries" de Gruyter 2014
21 Akins, B. T. S., "Theoretical lexicography and its relation to dictionary-making" 14 : 4-43, 1992
22 Rundell, M., "The corpus revolution revisited" 24 (24): 23-27, 2008
23 Hanks, P., "The corpus revolution in lexicography" 25 (25): 398-436, 2012
24 Rundell, M., "The corpus revolution" 8 (8): 45-51, 1992
25 Hartmann, R. R. K., "Teaching and researching lexicography" Routledge 2001
26 Tarp, S., "Studies on multilingual lexicography" De Gruyter 47-66, 2020
27 Gouws, R. H., "Metalexicography, dictionaries and culture" 36 : 3-9, 2020
28 Wierzbicka, A., "Lexicography and conceptual analysis" Karoma 1985
29 Wiegand, H. E., "Lexicographica, Series Maior 1" 13-30, 1984
30 de Schryver, G. D., "Lexicographers’ dreams in the electronic‐dictionary age" 16 (16): 143-199, 2003
31 Gouws, R. H., "Information overload and data overload in lexicography" 30 (30): 389-415, 2017
32 Landau, S. I., "Dictionaries: The art and craft of lexic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33 Rundell, M., "Crowd-sourcing, wikis, and user-generated content, and their potential value for dictionaries"
중국 지명에 대한 한국어 표기 현황 고찰 및 대안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