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전자무역 단일창구를 통한 전자선화증권의 권리이전에 관한 고찰 = Transfer of Right of the Electronic Bill of Lading through the Electronic Trade Single Windo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479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국제무역거래활동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전통적 종이문서 기반의 무역관행을 대신하여 데이터 메시지로서의 전자문서 기반의 무역관행을 개발하고 사용하기 위한 시도가 많이 있었다.
      선화증권은 권리증권으로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선화증권은 주요한 무역문서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그 기능을 종이기반에서 전자적인 것으로 전환하는 것은 국제무역업계의 주요한 이슈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선화증권을 전자선화증권으로 전환에서의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싱글윈도우 방식에 의한 전자선화증권의 권리양도와 유통성을 달성하기 위한 체계를 제공함으로써 전자선화증권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국제무역거래활동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전통적 종이문서 기반의 무역관행을 대신하여 데이터 메시지로서의 전자문서 기반의 무역관행을 개발하고 사용하기 위...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국제무역거래활동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전통적 종이문서 기반의 무역관행을 대신하여 데이터 메시지로서의 전자문서 기반의 무역관행을 개발하고 사용하기 위한 시도가 많이 있었다.
      선화증권은 권리증권으로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선화증권은 주요한 무역문서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그 기능을 종이기반에서 전자적인 것으로 전환하는 것은 국제무역업계의 주요한 이슈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선화증권을 전자선화증권으로 전환에서의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싱글윈도우 방식에 의한 전자선화증권의 권리양도와 유통성을 달성하기 위한 체계를 제공함으로써 전자선화증권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made an impact on the way of cross-border trade practice, there are many attempts to develop and use electronic trade documents as data message instead of traditional paper documents.
      Bill of Lading is one of the main trade papers because it has the function of document of title, changing the function from paper based one to electronic one is major issue of the international trad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activate electronic bill of lading by investigating the problems in the conversion of bill of lading to electronic alternative one, and proposing scheme to achieve the transfer of right and negotiability of the Electronic Bill of Lading by Single Window method.
      번역하기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made an impact on the way of cross-border trade practice, there are many attempts to develop and use electronic trade documents as data message instead of traditional paper documents. Bill of Lading is ...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made an impact on the way of cross-border trade practice, there are many attempts to develop and use electronic trade documents as data message instead of traditional paper documents.
      Bill of Lading is one of the main trade papers because it has the function of document of title, changing the function from paper based one to electronic one is major issue of the international trad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activate electronic bill of lading by investigating the problems in the conversion of bill of lading to electronic alternative one, and proposing scheme to achieve the transfer of right and negotiability of the Electronic Bill of Lading by Single Window meth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전자무역 단일창구의 개념 및 효과
      • Ⅲ. 전자무역 단일창구를 통한 전자선화증권의 권리이전
      • Ⅳ. 전자선화증권 권리이전의 해결과제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전자무역 단일창구의 개념 및 효과
      • Ⅲ. 전자무역 단일창구를 통한 전자선화증권의 권리이전
      • Ⅳ. 전자선화증권 권리이전의 해결과제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석범, "한국에서의 전자선화증권관련 법률도입의 문제점에 관한 소고" 한국전자무역연구소 6 (6): 2008

      2 "한국무역협회 전자무역 추진센터, Korea's Progress Report on Paperless Trading"

      3 한국무역협회 전자무역 추진센터, "전자무역 3차사업 소개"

      4 강원진, "전자결제시스템" 삼영사 2000

      5 오병철, "전자거래법" 법원사 1999

      6 양재훈, "선화증권의 위기문제와 전자선화증권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 : 2004

      7 최기원, "상법학신론, 제 12판" 박영사 2003

      8 최석범, "볼레로 서비스와 볼레로 선화증권의 권리등록의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무역연구소 1 : 2003

      9 한국무역협회 전자무역추진센터, "e-Nego 서비스 소개"

      10 Ziegler Alexander von, "Transfer of Rights and Transport Documents"

      1 최석범, "한국에서의 전자선화증권관련 법률도입의 문제점에 관한 소고" 한국전자무역연구소 6 (6): 2008

      2 "한국무역협회 전자무역 추진센터, Korea's Progress Report on Paperless Trading"

      3 한국무역협회 전자무역 추진센터, "전자무역 3차사업 소개"

      4 강원진, "전자결제시스템" 삼영사 2000

      5 오병철, "전자거래법" 법원사 1999

      6 양재훈, "선화증권의 위기문제와 전자선화증권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 : 2004

      7 최기원, "상법학신론, 제 12판" 박영사 2003

      8 최석범, "볼레로 서비스와 볼레로 선화증권의 권리등록의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무역연구소 1 : 2003

      9 한국무역협회 전자무역추진센터, "e-Nego 서비스 소개"

      10 Ziegler Alexander von, "Transfer of Rights and Transport Documents"

      11 Laryea Emmanuel T., "The Technological challenges facing developing countries in the move to paperless international trade" 12 (12): 2000

      12 Morse B., "The BOLERO Service Business Requirements Specification Verson 2.0"

      13 UN/CEFACT, "Recommendation and Guidelines on Establishing a Single Window" (33) :

      14 Ivamy Hardy E.R., "Payne and Ivamy's Carriage of Goods by Sea, 11th ed" Butterworths & CO. (Publishing) LTD. 1979

      15 Laryea Emmanuel T., "Paperless Trade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Solutions" Kluwer Law International 2002

      16 Cragge Gordon, "Overview of Single Window Concept"

      17 Todd Paul., "Modern Bills of Lading" William Collins Sons & Co. Ltd 1986

      18 Schermer Bart W., "Legal Issues of Single Windows Facilities for International??????? Trade" 2007

      19 Ivascanu Daniela, "Legal Issues in Electronic Commerce in the Western Hemisphere" 2000

      20 Sorieul R., "Establishing a Legal Framework for Electronic Commerce: The Work for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UNCITRAL)" 35 (35): 2001

      21 Boss Amelia H., "Electronic Data Interchange Agreements"

      22 Kalofolia Panagiota, "Electronic Bills of Lading: Legal Obstacles and Solutions" 12 (12): 2004

      23 Diana Faber, "Electronic Bills of Lading, Lloyd's Maritime and Commercial Law" Quarterly 1996

      24 김장호, "11" 한국??? 전자무역연구소 2 :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Electronic Trade Institute -> Korea E-Trad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 0.485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