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삼미륵경소』를 문헌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상 파악의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루고자 하는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삼미륵경소』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6884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삼미륵경소』를 문헌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상 파악의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루고자 하는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삼미륵경소』 ...
본 연구에서는 『삼미륵경소』를 문헌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상 파악의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루고자 하는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삼미륵경소』 판본 및 편찬 과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일차적으로는 일본 『속장경』 판본과 한국불교전서 판본의 대조를 통해 삼미륵경소의 정확한 원문을 확보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재 일본에 현전하고 있는 경흥의 『미륵경소』와의 대조를 통해 『삼미륵경소』 저본의 원형을 복구해보도록 하겠다. 이 과정에서 현재 모습으로 『삼미륵경소』가 편찬된 시기와 과정에 대해서도 밝혀보고자 한다.
둘째, 『삼미륵경소』 인용 문헌의 성격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삼미륵경소』의 구절 하나하나를 분석하여 경흥이 참조한 인용문헌을 조사하여 구체적인 양상을 밝혀보도록 하겠다. 조사를 위해 현재 불교 문헌 연구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CBETA 및 SAT, 그리고 동국대 전자불전연구소, 고려대장경연구소 등의 검색 엔진을 적극 활용할 것이다. 그리고 조사 결과를 도표화하고 통계화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그 성격을 분석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셋째, 『삼미륵경소』 체제의 특징을 밝혀보도록 하겠다. 앞서 언급했듯이 『삼미륵경소』 전체의 체제를 밝힌 연구는 없다. 본 연구에서 세 저술을 개별적으로 다루지 않고 전체적으로 살펴보려고 하는 이유는 『삼미륵경소』 편찬 과정에서 이미 세 저술을 하나의 덩어리로 묶어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삼미륵경소』 전반부를 읽어보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경흥의 미륵사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체 구조에 대한 이해가 선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삼미륵경소』에 대한 해석이 필수적이므로, 번역 작업을 1차적으로 진행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