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피로조절 척도 개발과 그 타당도 = The Development and Its Validity of the Fatigue Regulation Sca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201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Fatigue Regulation Scale(FRS) based on two processes(regulation of functional response & regulation of emotional response) of Self-Regulation Theory. In the 1st survey,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scribe what they do to regulate fatigue on an open-ended questionnaire. The content analysis of their descriptions yielded 95 items. In the 2nd survey, participants were asked to indicate the degree to which they would/do use each item for the purpose of regulating functional / emotional response. In the 3rd survey, the 95-item questionnair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and Physical Symptom Questionnaire(PSQ) were administered to 557 adults. All of these item selection processes distilled two factors containing 22 items related to: 1) regulation of emotional response(13 items); and 2) regulation of functional response(9 items). There wer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s of the FRS and the Positive Affect subscale scores of PANAS. A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s of the FRS and the Negative Affect subscale scores of PANAS were not significant. And a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s of the FRS and PSQ were not significant.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Fatigue Regulation Scale(FRS) based on two processes(regulation of functional response & regulation of emotional response) of Self-Regulation Theory. In the 1st survey,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scribe what ...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Fatigue Regulation Scale(FRS) based on two processes(regulation of functional response & regulation of emotional response) of Self-Regulation Theory. In the 1st survey,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scribe what they do to regulate fatigue on an open-ended questionnaire. The content analysis of their descriptions yielded 95 items. In the 2nd survey, participants were asked to indicate the degree to which they would/do use each item for the purpose of regulating functional / emotional response. In the 3rd survey, the 95-item questionnair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and Physical Symptom Questionnaire(PSQ) were administered to 557 adults. All of these item selection processes distilled two factors containing 22 items related to: 1) regulation of emotional response(13 items); and 2) regulation of functional response(9 items). There wer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s of the FRS and the Positive Affect subscale scores of PANAS. A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s of the FRS and the Negative Affect subscale scores of PANAS were not significant. And a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s of the FRS and PSQ were not significant.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Leventhal(1970)의 자기조절 모델을 이론적 기초로 하여 피로할 때 피로를 조절하는 방법을 탐색하고 평가하는 척도를 제작한 후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모두 세 차례의 조사가 실시되었는데 개방형 질문지로 이루어진 1차 조사에서는 성인 남녀 61명을 대상으로 피로할 때 어떻게 하는지를 조사하고 기존의 연구 문헌을 참고로 95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성인 남녀 63명을 대상으로 조사 1에서 도출된 피로조절 문항을 기능적 반응의 조절과 정서적 반응의 조절을 목적으로 활용하는 정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3차 조사에서는 성인 남녀 557명을 대상으로 피로조절 척도 예비 문항,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척도, 그리고 신체화 증상 척도를 함께 실시하였다. 그 결과 2개 요인(‘정서적 반응의 조절’ 요인, ‘기능적 반응의 조절’ 요인)의 22문항으로 이루어진 피로조절 척도를 구성하였다. 이 척도와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척도,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피로조절 척도와 정적 정서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부적 정서나 신체적 증상과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은 최종 척도의 이론적 의의와 임상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Leventhal(1970)의 자기조절 모델을 이론적 기초로 하여 피로할 때 피로를 조절하는 방법을 탐색하고 평가하는 척도를 제작한 후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모두 세 차례의 ...

      본 연구는 Leventhal(1970)의 자기조절 모델을 이론적 기초로 하여 피로할 때 피로를 조절하는 방법을 탐색하고 평가하는 척도를 제작한 후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모두 세 차례의 조사가 실시되었는데 개방형 질문지로 이루어진 1차 조사에서는 성인 남녀 61명을 대상으로 피로할 때 어떻게 하는지를 조사하고 기존의 연구 문헌을 참고로 95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성인 남녀 63명을 대상으로 조사 1에서 도출된 피로조절 문항을 기능적 반응의 조절과 정서적 반응의 조절을 목적으로 활용하는 정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3차 조사에서는 성인 남녀 557명을 대상으로 피로조절 척도 예비 문항,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척도, 그리고 신체화 증상 척도를 함께 실시하였다. 그 결과 2개 요인(‘정서적 반응의 조절’ 요인, ‘기능적 반응의 조절’ 요인)의 22문항으로 이루어진 피로조절 척도를 구성하였다. 이 척도와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척도,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피로조절 척도와 정적 정서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부적 정서나 신체적 증상과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은 최종 척도의 이론적 의의와 임상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은, "화학요법 암환자의 피로조절 행위에 관한 구조모형" 1997

      2 송미령, "항암 화학 요법 환자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조사" 1992

      3 양광희, "피로의 개념 분석" 7 (7): 270-278, 1995

      4 김옥숙, "중년의 피로조절 행위에 대한 인식" 1998

      5 양광희, "중년기 여성 피로 모형 개발" 1996

      6 류은정, "중년기 성인과 노인의 피로와 대처유형" 15 (15): 387-397, 2001b

      7 김남성, "인지적 행동수정" 교육과학사 1991

      8 권영은, "성인의 피로 대응유형에 관한 연구" 4 : 140-157, 1999

      9 김숙영, "성인병 환자들의 건강과 관련된 자기조절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1995

      10 이유정, "성격특질이 기분의 수준 및 변화성에 미치는 영향" 1994

      1 권영은, "화학요법 암환자의 피로조절 행위에 관한 구조모형" 1997

      2 송미령, "항암 화학 요법 환자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조사" 1992

      3 양광희, "피로의 개념 분석" 7 (7): 270-278, 1995

      4 김옥숙, "중년의 피로조절 행위에 대한 인식" 1998

      5 양광희, "중년기 여성 피로 모형 개발" 1996

      6 류은정, "중년기 성인과 노인의 피로와 대처유형" 15 (15): 387-397, 2001b

      7 김남성, "인지적 행동수정" 교육과학사 1991

      8 권영은, "성인의 피로 대응유형에 관한 연구" 4 : 140-157, 1999

      9 김숙영, "성인병 환자들의 건강과 관련된 자기조절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1995

      10 이유정, "성격특질이 기분의 수준 및 변화성에 미치는 영향" 1994

      11 한금선, "만성피로환자의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131-146, 2004

      12 신호철, "만성피로증후군의 개요" 42 (42): 179-192, 2000

      13 한금선, "만성피로 환자의 증상관리 구조모형 구축" 34 (34): 333-343, 2004

      14 김철환, "만성피로 및 만성피로 증후군의 유병률" 21 (21): 1288-1298, 2000

      15 정복희,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와 정상인의 피로도 및 피로 조절 행위 비교" 6 (6): 51-72, 1999

      16 한덕웅, "대학생들의 생활부적응에 대한 연구 - 불안 우울 및 신체형 장애를 중심으로" 1992

      17 류은정, "노인의 피로조절행위 유형에 관한 연구" 21 (21): 1-14, 2001a

      18 고호정, "교대근무간호사의 피로경험" 18 (18): 103-118, 2004

      19 신호철, "가정의학과 외래에 피로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분석-전향적 연구를 위한 기초조사" 833-842, 1993

      20 Le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scale to assess fatigue" & ni (& ni): 291-298, 1991

      21 Glimcher,L.M, "Use of symptoms by schizophrenics to monitor and regulate their illness" 37 (37): 929-933, 1986

      22 Mens-Verhulst, J, "The self-regulation of fatigue and associated complaints: An exploratory simulation" 49 : 53-57, 2003

      23 Suls,J, "The relative effects of avoidant and nonavoidant coping strategies:A meta-analysis" 3 : 249-288, 1985

      24 Chen,M.K, "The epidemiology of self-perceived fatigue among adults" 15 : 74-81, 1986

      25 Leventhal, "The effects of preparatory information about sensations threat of pain and attention on cold pressor distr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8-714, 1979

      26 Johnson, J. E, "The effects of nursing care guided by self-regulation theory on coping with radiation therapy" 24 : 1041-1050, 1997

      27 "The Development and Its Validity of the Fatigue Regulation Scale"

      28 Piper, "Subjective fatigue in women receiving six cycles of adjuvant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University of Californ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92

      29 Klumpp,T.G, "Some thoughts on fatigue in the older patient" 104 (104): 87-93, 1976

      30 Fieler,V.K, "Side effects in the patients receiving radiation therapy for prostate cancer" 18 (18): 353-, 1991

      31 Johnson,J.E, "Self-regulation theory and coping with physical illness" 22 : 435-448, 1999

      32 Wood, "Self-regulation of health status Paper presented at the third annual conference of the southern nursing research society" 1989

      33 Stoyva, J, "Self-regulation and the stress related disorders" Aldine Publishers 3-12, 1977

      34 Richardson, A, "Self-care behaviors initiated by chemotherapy patient in response to fatigue" 33 (33): 519-529, 1997

      35 Johnson, "Reducing the negative impact of radiation theory on functional status" 46-51, 1988

      36 Keller, "Processes of self-car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54-66, 1989

      37 Skelton, "Mental Representation in Health and Illness" Springer-Verlag 1-9, 1991

      38 Herman, "Implication for nursing practice Paper presented at the third annual conference of The Southern Nursing Research Society" 1989

      39 Gilbert,J.R, "Highlights from a recent seminar on fatigue" 105 (105): 309-310, 1971

      40 Leventhal,H, "Findings and theory in the study of fear communications" 5 : 119-186, 1970

      41 Rhoten,D, "Fatigue:Its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ignificance" 11 : 427-436, 1982

      42 Piper, "Fatigue mechanism in cancer patients" 17-23, 1987

      43 Cancer Nursing, "Fatigue in cancer patient" 13-19, 1991

      44 Nail,L.M.,, "Fatigue" 3 (3): 257-262, 1987

      45 Leventhal, "Development of a theory of self-regulation" Mosby 1983189-162

      46 Wats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63-1070, 1988

      47 Bartels, "Decision of the chronically Ill 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1990

      48 Jones, "Correlates fatigue and related outcomes in individuals with cancer undergoing treatment with chemotherapy University of New Yor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93

      49 Ahles, "Cognitive control of pain Attention to the sensory aspects of the cold presser stimulus" 159-178, 1983

      50 Leventhal, "Behavioral theories and the problem of compliance" 117-138, 1987

      51 Carver, "A useful conceptual framework for personality - social" 111-135,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8-05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Health Psychological Associ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 한국건강심리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Health Psycholog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4 1.62 2.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