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Strategies to Promote Cultural Voucher Program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846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문화복지 정책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국민의 문화복지 증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복지는 전국민의 문화권 증진과 문화소외계층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국가 정책으로 볼 수 있다. 문화복지의 특성으로는 목표, 수혜대상, 역사적 발전과정, 유형, 구체적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 중 문화이용권사업은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나눔사업의 일환으로 복권기금을 활용하여 2005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문화이용권사업의 추진기관은 주최기관, 주관기관, 후원기관등 3개영역으로 구분되며, 사업초기에 비해 문화이용권 사업의 성과는 수혜자수 및 예산투입 대비 수혜자수를 기준으로 볼 때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문화이용권사업의 문제점으로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목표에 대한 혼란, 전달체계 및 전문성있는 매개인력 미흡, 전달체계의 모니터링 한계에 따른 감시감독체계의 한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극복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복지 목표실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대상자를 경제적 소외계층에서 문화적 소외계층으로 확대해야 하며, 다양한 문화향유 기회확대와 문화관련 시설확충을 위한 관련 예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이용권 사업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공급자측면에서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가들의 참여와 수요자 측면에서의 홍보 및 문화교육강화를 통한 소비자선택강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화복지 전달체계와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유기적 연계를 바탕으로 실질적 문화 복지 전문가 양성프로그램개발을 통해 전문성과 합리성에 기초한 전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문화복지 정책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국민의 문화복지 증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

      본 연구는 문화복지 정책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국민의 문화복지 증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복지는 전국민의 문화권 증진과 문화소외계층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국가 정책으로 볼 수 있다. 문화복지의 특성으로는 목표, 수혜대상, 역사적 발전과정, 유형, 구체적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 중 문화이용권사업은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나눔사업의 일환으로 복권기금을 활용하여 2005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문화이용권사업의 추진기관은 주최기관, 주관기관, 후원기관등 3개영역으로 구분되며, 사업초기에 비해 문화이용권 사업의 성과는 수혜자수 및 예산투입 대비 수혜자수를 기준으로 볼 때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문화이용권사업의 문제점으로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목표에 대한 혼란, 전달체계 및 전문성있는 매개인력 미흡, 전달체계의 모니터링 한계에 따른 감시감독체계의 한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극복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복지 목표실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대상자를 경제적 소외계층에서 문화적 소외계층으로 확대해야 하며, 다양한 문화향유 기회확대와 문화관련 시설확충을 위한 관련 예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이용권 사업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공급자측면에서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가들의 참여와 수요자 측면에서의 홍보 및 문화교육강화를 통한 소비자선택강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화복지 전달체계와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유기적 연계를 바탕으로 실질적 문화 복지 전문가 양성프로그램개발을 통해 전문성과 합리성에 기초한 전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for opportunity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in regards to cultural welfare. Cultural welfare is the policy for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well as quality of cultural life of all citizens.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began as a public policy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y lottery funding for the Arts in 2005. This program has developed in terms of finance and participation of recipients and providers. However, this program has a few problems such as confusion about the policy goal, shortage of public delivery system and practitioners and limitation of surveillance.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government make an effort to include the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recipients of cultural voucher program and secure budget for cultural facilities. As well, government needs to gather the art providers of various cultural genres and to strengthen the consumer rights via active promotion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Finally, it is needed to build the productive service delivery systems through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community and the social welfare community.
      번역하기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for opportunity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in regards to cultural welfare. Cultural welfare is the policy for opportunity expansion to...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for opportunity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in regards to cultural welfare. Cultural welfare is the policy for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well as quality of cultural life of all citizens.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began as a public policy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y lottery funding for the Arts in 2005. This program has developed in terms of finance and participation of recipients and providers. However, this program has a few problems such as confusion about the policy goal, shortage of public delivery system and practitioners and limitation of surveillance.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government make an effort to include the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recipients of cultural voucher program and secure budget for cultural facilities. As well, government needs to gather the art providers of various cultural genres and to strengthen the consumer rights via active promotion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Finally, it is needed to build the productive service delivery systems through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community and the social welfare commun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문화복지 정책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국민의 문화복지 증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복지는 전국민의 문화권 증진과 문화소외계층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국가 정책으로 볼 수 있다. 문화복지의 특성으로는 목표, 수혜대상, 역사적 발전과정, 유형, 구체적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 중 문화이용권사업은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나눔사업의 일환으로 복권기금을 활용하여 2005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문화이용권사업의 추진기관은 주최기관, 주관기관, 후원기관등 3개영역으로 구분되며, 사업초기에 비해 문화이용권 사업의 성과는 수혜자수 및 예산투입 대비 수혜자수를 기준으로 볼 때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문화이용권사업의 문제점으로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목표에 대한 혼란, 전달체계 및 전문성있는 매개인력 미흡, 전달체계의 모니터링 한계에 따른 감시감독체계의 한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극복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복지 목표실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대상자를 경제적 소외계층에서 문화적 소외계층으로 확대해야 하며, 다양한 문화향유 기회확대와 문화관련 시설확충을 위한 관련 예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이용권 사업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공급자측면에서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가들의 참여와 수요자 측면에서의 홍보 및 문화교육강화를 통한 소비자선택강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화복지 전달체계와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유기적 연계를 바탕으로 실질적 문화 복지 전문가 양성프로그램개발을 통해 전문성과 합리성에 기초한 전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문화복지 정책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국민의 문화복지 증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

      본 연구는 문화복지 정책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국민의 문화복지 증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복지는 전국민의 문화권 증진과 문화소외계층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국가 정책으로 볼 수 있다. 문화복지의 특성으로는 목표, 수혜대상, 역사적 발전과정, 유형, 구체적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 중 문화이용권사업은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나눔사업의 일환으로 복권기금을 활용하여 2005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문화이용권사업의 추진기관은 주최기관, 주관기관, 후원기관등 3개영역으로 구분되며, 사업초기에 비해 문화이용권 사업의 성과는 수혜자수 및 예산투입 대비 수혜자수를 기준으로 볼 때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문화이용권사업의 문제점으로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목표에 대한 혼란, 전달체계 및 전문성있는 매개인력 미흡, 전달체계의 모니터링 한계에 따른 감시감독체계의 한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극복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복지 목표실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대상자를 경제적 소외계층에서 문화적 소외계층으로 확대해야 하며, 다양한 문화향유 기회확대와 문화관련 시설확충을 위한 관련 예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이용권 사업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공급자측면에서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가들의 참여와 수요자 측면에서의 홍보 및 문화교육강화를 통한 소비자선택강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화복지 전달체계와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유기적 연계를 바탕으로 실질적 문화 복지 전문가 양성프로그램개발을 통해 전문성과 합리성에 기초한 전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for opportunity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in regards to cultural welfare. Cultural welfare is the policy for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well as quality of cultural life of all citizens.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began as a public policy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y lottery funding for the Arts in 2005. This program has developed in terms of finance and participation of recipients and providers. However, this program has a few problems such as confusion about the policy goal, shortage of public delivery system and practitioners and limitation of surveillance.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government make an effort to include the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recipients of cultural voucher program and secure budget for cultural facilities. As well, government needs to gather the art providers of various cultural genres and to strengthen the consumer rights via active promotion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Finally, it is needed to build the productive service delivery systems through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community and the social welfare community.
      번역하기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for opportunity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in regards to cultural welfare. Cultural welfare is the policy for opportunity expansion to...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for opportunity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in regards to cultural welfare. Cultural welfare is the policy for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well as quality of cultural life of all citizens.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began as a public policy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y lottery funding for the Arts in 2005. This program has developed in terms of finance and participation of recipients and providers. However, this program has a few problems such as confusion about the policy goal, shortage of public delivery system and practitioners and limitation of surveillance.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government make an effort to include the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recipients of cultural voucher program and secure budget for cultural facilities. As well, government needs to gather the art providers of various cultural genres and to strengthen the consumer rights via active promotion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Finally, it is needed to build the productive service delivery systems through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community and the social welfare commu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머리말
      • II. 문화복지에 대한 개요
      • III. 문화이용권 사업의 현황 및 문제점
      • IV.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
      • V. 맺음말
      • I. 머리말
      • II. 문화복지에 대한 개요
      • III. 문화이용권 사업의 현황 및 문제점
      • IV.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
      • 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광호, "정부신뢰" 법문사 2011

      2 양혜원, "정부-지자체 문화복지 정책사업의 개선방향 : 문화바우처를 중심으로" 2011

      3 김현주, "여행바우처 제도 시범사업 운영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4 정무성, "복권기금 문화나눔사업 수혜대상 수요조사 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2

      5 양난주, "바우처 정책집행연구 : 노인돌보미바우처 사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6 서우석, "문화적 박탈감을 통해 살펴본 문화복지 대상 범위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7 (27): 165-197, 2013

      7 현택수, "문화복지와 문화복지정책의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6 (26): 101-122, 2006

      8 권영옥, "문화복지 전달체계의 개선방향에 대한 토론2 : (사)한국문화복지협의회 사업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2011

      9 최옥채, "문화복지 전달체계" 2011

      10 조현성, "문화복지 인식과 수요조사 결과" 2011

      1 정광호, "정부신뢰" 법문사 2011

      2 양혜원, "정부-지자체 문화복지 정책사업의 개선방향 : 문화바우처를 중심으로" 2011

      3 김현주, "여행바우처 제도 시범사업 운영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4 정무성, "복권기금 문화나눔사업 수혜대상 수요조사 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2

      5 양난주, "바우처 정책집행연구 : 노인돌보미바우처 사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6 서우석, "문화적 박탈감을 통해 살펴본 문화복지 대상 범위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7 (27): 165-197, 2013

      7 현택수, "문화복지와 문화복지정책의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6 (26): 101-122, 2006

      8 권영옥, "문화복지 전달체계의 개선방향에 대한 토론2 : (사)한국문화복지협의회 사업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2011

      9 최옥채, "문화복지 전달체계" 2011

      10 조현성, "문화복지 인식과 수요조사 결과" 2011

      1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복지 인식과 수요조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12 최종혁, "문화복지 개념 정립을 위한 질적 연구 - 휴먼서비스 실천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145-182, 2009

      13 정광호, "문화격차 분석과 문화바우처 정책설계" 한국지방정부학회 10 (10): 63-89, 2007

      14 용호성, "문화 바우처 정책의 쟁점과 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6 (26): 98-125, 2012

      15 Steuerle, C. E., "Common Issues for Voucher Programs, In Vouchers and the Provision of Public Services" Brookings Institution Press, Committee for Economic Development, Urban Institute Press 2000

      16 O'Hagan, J. W., "Access to and Participation in the Arts : The Case of Those with Low Incomes/Educational Attainment" 20 : 269-282, 1996

      17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0 복권기금 문화나눔사업 성과평가 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3 1.36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