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자유주의 한국 사회에서 연애하기 = 2008년 이후 한국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재현을 통해 본 연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872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한국 사회에는 연애 욕구를 생성해내는 분위기가 존재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연애에 대한 담론이 삼포 세대를 중심으로 한 세대론에 포섭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연애정상화 ...

      최근 한국 사회에는 연애 욕구를 생성해내는 분위기가 존재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연애에 대한 담론이 삼포 세대를 중심으로 한 세대론에 포섭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연애정상화 담론이나 연애불가능 담론이 지닌 단면성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오늘날 신자유주의 한국 사회에서 연애하기의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낭만적 사랑 복합체에서 유동적인 합류적 사랑 담론으로 이어지는 서구의 연애 담론에 대한 답습이나 통계상으로 파악되는 친밀성 영역의 변화로는 미처 다 설명되지 못하는, 한국 사회에서의 연애하기의 특수성을 포착하기 위해 한국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재현에 주목한다. 최근 한국 로맨틱코미디 영화는 종래의 로맨틱 코미디 문법에서는 조금씩 벗어난 특징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로부터 신자유주의 한국 사회에서 연애하기가 어떠한 사회경제적 맥락 하에 특수한 양상을 지니고 실천되고 있는가를 읽어낼 수 있다. 오늘날의 연애주체는 신자유주의에 의해 형성된 물적 조건 위에서 상충하고 유동하는 가치체계 속에 놓여있다. 그로 인해 연애관계 속에는 도구적 연애관, 썸과 같은 새로운 관계의 문화, 첫사랑에 대하 노스탤지어, 남성성의 변화 등 다양한 면모가 존재한다. 이로부터 삼포세대나 연애불가능 세대라는 비관적 호명을 벗어나 젊은 세대가 친밀성 영역에서 보여주는 감수성과 실천에 대한 구체적 논의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aspects and meanings of romantic relationship in neoliberal Korean society. In South Korea, ‘love’ carries a distinguished meaning, as Korean society’s particular context should be considered. The term ‘N-po gener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aspects and meanings of romantic relationship in neoliberal Korean society. In South Korea, ‘love’ carries a distinguished meaning, as Korean society’s particular context should be considered. The term ‘N-po generation’ is a striking example that reflects the structural poverty of contemporary Korea’s young generation, which leads to the formation of the discourse on the impossibility of love. On the other hand, society encourages the youth to engage in romantic relationship as the media actively deals with romance and sexual issues. This paradox between the impossibility of love and the normalization of love in today’s Korean youth culture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To grasp the particularity of romantic relationship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is study analyzes the representa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in Korean romantic comedy movies since 2008, which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conventional romantic comedy movies. Through text analysis and discourse analysis, we can find out that the recent socioeconomic structure situates romantic relationship in the fluctuating and contradictory values, resulting in new practices, norms, and sensitivities in romantic relationship. The subjectivity of the individual in romantic relationship implies a silver lining against all the superficial and pessimistic discourses that surround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 2.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4. 2008년 이후 한국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경향
      • 5. 신자유주의 한국 사회에서 연애하기
      • 1. 들어가며
      • 2.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4. 2008년 이후 한국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경향
      • 5. 신자유주의 한국 사회에서 연애하기
      • 5.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