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천연식품성분에 의한 발암성 니트로사민생성인자 분해작용 l. 야채유출물의 아질산염 분해작용 =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1.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141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paper was investigated to elucidate the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vegetable extracts. Vegetable extracts possessed the scavenging ability of nitrite. By fractionatioh of vegetable extracts,nitrite-scavenging ability of garlic (Allitum ...

      The present paper was investigated to elucidate the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vegetable extracts. Vegetable extracts possessed the scavenging ability of nitrite. By fractionatioh of vegetable extracts,nitrite-scavenging ability of garlic (Allitum sativum for. Pekinense), chinese pepper (Zanthexylum schinifolium), onion (Allium cepa), welsh onion (Allium fistulosum) and ginger (Zingiber officinale) extracts were effective in the water-soluble fraction, but carrot (Daucus carota uar. sativa) in the methanol-soluble fraction.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vegetable extracts was also pH-dependent, highest at pH 1.2 and lowest at pH 6.0. Particularly,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water-soluble fractions obtained from garlic and chinese pepper were similar to that of L-ascorbic acid at pH 1.2. After vegetable extracts were treated with sodium borohydride, nitrite-scavenging ability was remarkably decreased at pH 1.2. It is assumed that reducing powers of vegetable extracts participated in their nitritescavenging 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상 식생활에서 널리 섭취하고 있는 야채류를 사용하여 니트로사민의 직접적인 생성인자인 아질산염 분해작용에 관하여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마늘, 산초, 생...

      일상 식생활에서 널리 섭취하고 있는 야채류를 사용하여 니트로사민의 직접적인 생성인자인 아질산염 분해작용에 관하여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마늘, 산초, 생강, 양파 및 파 둥은 수용성획분에서 당근은 methanol 가용성획분에서 각각 아질산염 분핵능이 높게 나타났다. 2. 반응용액의 pH변화에 따른 아질산염 분해능은 pH 1.2에서 가장 컸으며, pH가 증가할수록 분해능은 감소하였다. 3. 각 시료를 10mg씩 취하여 얻은 아질산염 분해능을 동량의 L-ascorbic acid와 비교한 경우, 마늘과 산초가 수용성획분에서 L-ascorbic acid와 거의 비슷한 분해능을 나타내었다. 4. 각 시료를 $NaBH_4$로 처리하여 환원능을 소실시킨 후에 측정한 아질산염 분해능은 pH 1.2에서 시료 모두 모두 그 값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