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제주지역 문과 운영의 실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operation of civil service examinations in Jeju during th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21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시대 제주지역 문과(文科)의 제도적 변화와 실제 운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시대 제주는 지리적인 이유로 과거 운영에 있어 상당한 수준의 배려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조선시대 제주지역 문과(文科)의 제도적 변화와 실제 운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시대 제주는 지리적인 이유로 과거 운영에 있어 상당한 수준의 배려가 있었다. 과시의 일종인 승보시 정액 2인을 제주에 배정해 선발하였다. 승보시는 1639년(인조 17)부터 시행되었다. 승보시는 목사가 문관일 때 시행되었으며, 후에 목사가 무관이어도 판관이 문관이면 단시관(單試官)으로 시행하도록 완화하였다. 실제 승보시 운영 사례를 검토한 결과, 제주지역 생원·진사시 입격자 총 27명 가운데 7명이 제주 승보시를 거쳐 입격하였다. 제주 승보시는 초기 제술 2인만 선발하다가 후에 강경 1인도 추가 선발한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주문과초시는 전라도 향시 정원 중 1액을 배정하여 시행하였다. 이러한 규정이 법전에 명시되지는 않았으나, 『대전통편』에 제주삼시관 조목을 신설해 최소한의 법적 근거와 시행 장치를 마련하였다. 제주문과초시는 숙종대부터 시작하여 조선조 말까지 시행되었다. 그러나 자료를 검토한 결과 제주문과초시는 안정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미실행이 거듭되었다. 이는 제주문과 초시를 거쳐 급제한 인원이 확인되지 않는 점과도 무관하지 않으리라 판단된다. 제주 문과급제자의 약 93.7% 해당하는 인원이 외방별과와 제주별시를 통한 급제였다. 제주외방별과 시행의 주된 형태는 어사파견 외방별과로 총 16명의 어사가 시취하였다. 그리고 특지에 의해 한번 시행되었다. 철종대에는 외방별과가 외방별시로 승격되어 총 두 번 시행되었고 8명의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그동안 제주도 과거 운영 연구에서는 어사파견 외방별과에만 주목한 경향이 두드러졌다. 제주지역 문과 급제자를 중심으로 보았을 때 절대적 영향을 끼쳤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연구자는 여러 법규에 명시되어 원칙적으로 적용되었던 여러 제도에 주목해야 한다고 보았다. 즉 교육적 측면에서 볼 때 외방별과와 외방별시 같은 비정기 시험보다 정기 시험이 교육을 장려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훨씬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승보시와 제주문과초시가 정기적으로 운영되지는 못했지만 조선말까지 지속적으로 운영되었고 실제 입격자를 배출한 것을 확인한 것은 의미가 있다가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stitutional changes and actual operation of the national examination system in Jeju during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Joseon Dynasty, Jeju was a region that received considerable consideration concerning the adm...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stitutional changes and actual operation of the national examination system in Jeju during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Joseon Dynasty, Jeju was a region that received considerable consideration concerning the administration of national examinations for geographical reasons. Fixed number of individuals to be selected was two in 'Seungbo' in Jeju. 'Seungbo' started in 1639 (the 17th year of King Injo). ‘Seungbo (陞補)’ was implemented when the governor of Jeju was a civil servant. Afterwards, even when the governor was a soldier, if the administrative assistant was a civil servant, it was eased to be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prosecutor (單試官)’.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tual cases of operations of ‘Seungbo (陞補)’, 7 out of 27 people who passed the Jeju Saengwonjinsa appointment test (生員進士) were selected in the Jeju ‘Seungbo(陞補)’. It was also confirmed that ‘Seungbo (陞補)’ selected only two people initially but additionally one more person was selected by an oral test. The first step of the Jeju civil service test was conducted by allocating one person from the total number of passers in province examination held in Jeolla-do. Although these regulations were not stipulated by law, a clause concerning Jeju Samshigwan was newly added in『Daejeontongpyeon』to provide the minimal legal basis and institutional strategy. The first step of the Jeju civil service appointment test was conducted beggining from the time of King Sukjong to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ata, it was found that the first step of the Jeju civil service appointment test was not operated stably and was not conducted regularly. This might be also related to the fact that none of the final passers in civil service appointment test was known to have passed the first step of the test held in Jeju. About 93.7% of the final passers of the Jeju civil service appointment test were admitted through special local tests and Jeju Byeolsi(濟州別試). The most frequently adopted forms of the Jeju special examination is to send 16 eosas(御史) to Jeju for the test, and it was carried out once under the approval of a special document. In the era of Cheoljong, the local special exam was raised to Jeju Byeolsi(濟州別試), and a total of 8 students passed the final exam. In the meantim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civil service tests in Jeju Island have had tendency to focus on special exams and the concomitant dispatches of 'eosa(御史)' to local areas. This is because most of the final passers in civil service tests in Jeju area passed the special exam. However, in this research, the author claims that th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various systems stipulated by law and applied in principle. In other words,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regular exams have much more educational value than non-regular exams to encourage education. In this regard, although the first steps of the civil service tests in Jeju and 'Seungbo (陞補)' were not held regularly, it is noteworthy that they continued to be operated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were actually successful candidat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규복, "조선시대 제주지역 문과운영과 급제자 실태 분석"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1

      2 원창애, "조선시대 과거제도 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3 조미은, "제주지역 조사·수집 문중고문서의 현황과 특성 - 어도 진주강씨·조천 김해김씨·구좌 동래정씨를 중심으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34) : 38-102, 2015

      4 김찬흡, "제주사인명사전" 제주문화원 2002

      5 제주문화원, "역주 탐라기년"

      6 제주교육박물관, "譯註 耽羅賓興錄"

      7 담수계, "譯註 增補耽羅誌" 제주문화원 2005

      8 홍기표, "譯註 南槎錄 下(金尙憲, 1570-1652)"

      9 "課試謄錄(奎12959-v.1-2)"

      10 고창석, "耽羅誌草本(李衡祥, 1792-1871)"

      1 이규복, "조선시대 제주지역 문과운영과 급제자 실태 분석"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1

      2 원창애, "조선시대 과거제도 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3 조미은, "제주지역 조사·수집 문중고문서의 현황과 특성 - 어도 진주강씨·조천 김해김씨·구좌 동래정씨를 중심으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34) : 38-102, 2015

      4 김찬흡, "제주사인명사전" 제주문화원 2002

      5 제주문화원, "역주 탐라기년"

      6 제주교육박물관, "譯註 耽羅賓興錄"

      7 담수계, "譯註 增補耽羅誌" 제주문화원 2005

      8 홍기표, "譯註 南槎錄 下(金尙憲, 1570-1652)"

      9 "課試謄錄(奎12959-v.1-2)"

      10 고창석, "耽羅誌草本(李衡祥, 1792-1871)"

      11 李源祚, "耽羅誌草本"

      12 李元鎭, "耽羅志"

      13 국립제주박물관, "耽羅巡歷圖(李衡祥, 1653-1733)"

      14 "續大典"

      15 "科擧謄錄"

      16 김동전, "濟州濡脈六百年史" 學文社 1997

      17 "榜目(국립중앙古朝26)"

      18 양진건, "朝鮮朝 濟州敎育史 形成의 政策的 動因" 한국교육사학회 21 : 1999

      19 최진옥, "朝鮮時代 生員進士 硏究" 집문당 1998

      20 "春官通考"

      21 "承政院日記"

      22 "大典會通"

      23 "大全通編"

      24 제주교육박물관, "國譯 耽羅啓錄․濟州牧關牒"

      25 "國朝榜目"

      26 김경용, "四學課試 출신자의 생원·진사 진출실태 분석 - 1846년 식년생원진사시를 중심으로 -" 교육사학회 28 (28): 1-28, 2018

      27 "各司謄錄"

      28 "備邊司謄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Of Histor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57 1.215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