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통일신라................................1 개관 [불교편]...........................1 [유교편]...........................6 1.원측 ......................................8 2.원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00412
200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I. 통일신라................................1 개관 [불교편]...........................1 [유교편]...........................6 1.원측 ......................................8 2.원효...............
I. 통일신라................................1
개관 [불교편]...........................1
[유교편]...........................6
1.원측 ......................................8
2.원효...................................... 17
3.의상...................................... 49
4.선불교의 수용........................66
5.최치원 ..................................79
II. 고려 ....................................84
개관 [불교편] .........................84
[유교편]...........................90
1.균여 ......................................97
2.의천 ......................................106
3.지눌 ......................................123
4.이색 ......................................158
III. 조선전기 .............................168
개관 [불교편] ..........................168
[유교편] ..........................171
1.정도전 ...................................191
2.권근........................................203
3.기화 ......................................209
4.서경덕 ...................................257
5.조식 ......................................287
6.이황 ......................................306
7.보우 ......................................359
8.휴정 ......................................397
9.이이 ......................................410
IV. 조선 후기 ...........................489
개관 [불교편] ..........................489
[유교편].......................... 491
1.권극중 ...................................493
2.송시열 ...................................507
3.윤휴 ......................................527
4.박세당 ...................................537
5.정제두 ...................................558
6.김창협 ...................................577
7.이익 ......................................599
8.한원진 ...................................622
9.임성주 ...................................642
10.홍대용 .................................662
11.정약용 .................................676
12.긍선 ....................................719
13.의순 ....................................730
14.최한기 .................................741
국문 초록 (Abstract)
각 사상가의 약력 및 저술을 소개하고, 철학적 의의가 있는 글을 선정하여 번역하였다. 번역 원문은 출처와 함께 번역문 아래에 부기하였다. 번역된 자료에 대해서는 자료가 지니는 철학적 ...
각 사상가의 약력 및 저술을 소개하고, 철학적 의의가 있는 글을 선정하여 번역하였다. 번역 원문은 출처와 함께 번역문 아래에 부기하였다. 번역된 자료에 대해서는 자료가 지니는 철학적 의의를 소개하는 자료에 대한 해제를 실었다. 선정된 자료에 대해서는 원문의 제목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철학적 주제가 드러날 수 있도록 별도의 주제어를 사용하였다. 자료가 많은 경우에는 보다 큰 주제하에 항목화하였다.
국문 초록 (Abstract)
-수록 체재 가. 개 요 시대 및 사상에 의해 구분한 각 항목에 대한 종합적 해설로 각 시대별 사상별 철학의 특징과 의의가 드러날 수 있도록 서술하였다. 나. 인 물 먼저...
-수록 체재
가. 개 요
시대 및 사상에 의해 구분한 각 항목에 대한 종합적 해설로 각 시대별 사상별 철학의 특징과 의의가 드러날 수 있도록 서술하였다.
나. 인 물
먼저 인물의 생몰 년과 자 호 본관을 소개하고, 저자의 학문 과정 사승 및 교유 관계, 사상 내용 및 저술과 사상의 철학사적 의의 등을 위주로 서술하였다.
다. 자료 해제 및 번역문
선정된 자료에 대해서는 자료의 철학사적 의의가 분명히 드러날 수 있도록 해제를 하였다.
라. 원 문
직역을 위주로 하되, 철학적 맥락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의역도 허용하였다.
경어 사용이 자연스러운 내용의 글은 경어체로 번역하였다. (예 : 상소문, 편지글)
번역문은 국문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한자 사용이 필요한 경우는 괄호 한자로 하였다.
원문은 마침표, 느낌표, 물음표 등의 부호를 표시하고 맨 뒤에는 자료의 출처를 표기하였다.
마. 번역문의 주석
주석은 최대한 상세히 하며 인용된 문헌의 출처는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