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대승기신론」의 특수교육 교사론적 함의를 구명하기 위해 다음 세 갈래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즉, 첫째는 오늘의 한국특수교육에서 교직과 교사론의 함정은 무엇인가? 둘째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대승기신론」의 특수교육 교사론적 함의를 구명하기 위해 다음 세 갈래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즉, 첫째는 오늘의 한국특수교육에서 교직과 교사론의 함정은 무엇인가? 둘째는 ...
본 연구는「대승기신론」의 특수교육 교사론적 함의를 구명하기 위해 다음 세 갈래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즉, 첫째는 오늘의 한국특수교육에서 교직과 교사론의 함정은 무엇인가? 둘째는 본성회복 혹은 심성함양으로서 (특수)교육본질의 복원을 위해 기신론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가? 셋째, 기신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특수교육 교사론의 정립 과제는 무엇인가? 오늘의 한국 특수교육은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본말이 전도되어 있다. 체용(體用)의 논리에서 보면, 몸짓(用)에 현혹된 나머지 몸(體)를 간과한 형국을 초래하고 말았다. 즉, 장애아동의 ‘장애’만 보고 사람을 놓친 격이다.「대승기신론」은 심성함양으로서의 교육본질을 함축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중생이 곧 부처라는 불퇴신(不退信)을 전제로 하는 기신론은 특수교육을 ‘희망과 믿음’의 교육으로 정초한다. 붓다는 중중 정신지체인인 출라판타카(周利槃特)에게 깨우침을 얻게 함으로써, 희망과 믿음의 교육을 입증해 보였다. 그러기 위해 특수교육교사는 “중생인 장애학생을 자신과 동일한 존재로 생각하면서도 그 자신이 그들과 동일한 존재로 되지 않는”(取一體衆生 如己身故 而易不取衆生相) 바로 그 여래의 모습을 띠어야 한다. 그래서 특수교육은 ‘교육 중의 교육’이고, 특수교사는 ‘교사 중의 교사’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ly, what is a pitfall on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our country? Secondly, What is implication fo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the viewpoint by Mahayana sutra(大乘起信...
This paper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ly, what is a pitfall on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our country? Secondly, What is implication fo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the viewpoint by Mahayana sutra(大乘起信論)? Lastly, What is tasks for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the viewpoint of the sutra?Currently, Korean special education mistake the means and ends with exaggeration on the ‘handicap’ of children with disability. Educaion is the cultivation of natural mind, and the Mhayana sutra was presented us to keep the mind. Budda demonstrated the educability for the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a real case by Ksullapathake. In this poin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should be ‘teacher of teachers'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문화연구회, "희망의 교육학" 아침이슬 2002
2 신창호, "함양과 체찰" 미다스북스 2010
3 박성배, "한국사상과 불교" 도서출판 혜안 2009
4 김병하, "특수(교육)교사는 ‘교사’다" 도서출판 해동 35-45, 2005
5 길희성, "지눌의 선사상" 소나무 2006
6 김종철, "일리치의 혹" (111) : 48-77, 2010
7 법륜, "인간붓다: 그 위대한 삶과 사상" 정토출판 2010
8 김형효, "원효의 대승철학" 소나무 2006
9 이기영, "원효사상" 원음각 1967
10 고영섭, "원효: 한국의 사상가 10인" 예문서원 2006
1 교육문화연구회, "희망의 교육학" 아침이슬 2002
2 신창호, "함양과 체찰" 미다스북스 2010
3 박성배, "한국사상과 불교" 도서출판 혜안 2009
4 김병하, "특수(교육)교사는 ‘교사’다" 도서출판 해동 35-45, 2005
5 길희성, "지눌의 선사상" 소나무 2006
6 김종철, "일리치의 혹" (111) : 48-77, 2010
7 법륜, "인간붓다: 그 위대한 삶과 사상" 정토출판 2010
8 김형효, "원효의 대승철학" 소나무 2006
9 이기영, "원효사상" 원음각 1967
10 고영섭, "원효: 한국의 사상가 10인" 예문서원 2006
11 한형조, "왜 동양철학인가" 문학동네 2009
12 김병하, "본말전도(本末顚倒)의 특수교육"
13 박성배, "몸과 몸짓의 논리" 민음사 2007
14 이홍우, "마음과 교과" 성경제 2002
15 이홍우, "대승기신론통석" 김영사 2006
16 은정희, "대승기신론강의" 예문서원 2008
17 정화, "대승기신론1, 2" 도서출판 법공양 2009
18 윤원철, "깨침과 깨달음" 예문서원 2008
19 이희승,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1982
20 김병하, "교육의 역사․철학적 기초" 대구대학교출판부 1992
21 정범모, "교육과 교육학" 배영사 1968
22 Bloom, B., "The 2 sigma problem: The search for methods of group instruction as effective as one-to-one tutoring" 13 (13): 4-16, 1984
23 Freire, P., "Pedagogy of the oppressed" Th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Inc 2000
24 Freire, P., "Pedagogy of hope: Reliving pedagogy of oppressed" The Continnum Publishing Company 1996
25 Walberg,H,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America's Schools" 41 (41): 19-30, 1984
26 Green, E., "Building a better teacher"
27 Park, S. B., "Buddhist faith and sudden enlightenment"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3
음운인식, 빠른 자동 이름대기, 자모지식, 단기기억, 작동기억과 한글 단어인지 능력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읽기장애 조기선별을 위한 기초연구
정신지체아동의 장애정도 결정을 위한 진단․평가 퍼지 프로그램 개발
자기결정 기술이 포함된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이 통합된 학습장애 아동의 학업성취 및 자기결정 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국제적 동향과 시사점 고찰 -총론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8-0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 ![]() |
2005-01-2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9 | 0.99 | 1.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3 | 1.3 | 1.503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