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죄와 벌의 시각화: 일제강점기 김윤보(1865~1938)의 《형정도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Crime and Punishment: Focused on the Album of Punishments of Kim Yun‒bo (1865~1938) under the Japanese colonial er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lbum of Punishments (《刑政圖帖》) is a painting album created by Pyongyang painter Kim Yun‒bo(金允輔, 1865‒1938) for Matsudera Takeo(松寺竹雄, 1870‒1935) who served as the chief prosecutor of the Pyongyang High Court of Korea ...

      The Album of Punishments (《刑政圖帖》) is a painting album created by Pyongyang painter Kim Yun‒bo(金允輔, 1865‒1938) for Matsudera Takeo(松寺竹雄, 1870‒1935) who served as the chief prosecutor of the Pyongyang High Court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from 1918 to 1920. The Album of Punishments, which covers the crime and punishment that took place in the Joseon Dynasty, had no choice but to reveal its political intentions as it was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Matsudera carried out his duties as the chief prosecutor of the High Court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he led various projects in line with the policy direction set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seize the colonial Joseon and its people. In other words, the Establishment of Penalty Association(治刑協會, 1923) and the participation in Chosun Exhibition(朝鮮博覽會, 1929) was an attempt to emphasize the modernized penal administration(刑政)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comparison with the premodern penal administration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make it known at home and abroad. Through Nakahashi(中橋政吉)’s writing the penal administration of the Joseon Dynasty (󰡔朝鮮舊時の刑政󰡕), he tried to reveal not only the historical roots of the penal administration in the Joseon Dynasty, but also the development of the penal administration that had greatly advanced with Japanese peoples’ help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seems that Kim Yun‒bo’s Album of Punishments, Matsudera received, played a major role in his actions. This is because the Album of Punishments contains almost all pictures in Annual report on the judicial system (󰡔司法制度沿革圖譜󰡕)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well as in the penal administration of the Joseon Dynasty so that it could expand the negative image of the Joseon criminal justice system that Matsudera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onstantly wanted to emphasize. In particular, the ‘Korean Era’, which refers to the Empire of Daehan(1897~1910), was juxtaposed with the ‘Tokugawa Period’ in Annual report on the judicial system in order to show that they were also reforming the ‘Korean Era’ into a new Joseon, just as a feudal country Tokugawa Period was reformed through the Meiji Restoration. Moreover, the illustrations of the ‘Tokugawa Period’ depicted law enforcement officers as dynamic and courageous, whereas The Album of Punishments depicted the law enforcement officers in the ‘Korean Era’ as those who took brides and undermined the rule of law in. Since this message is conveyed through pictures not text, the images are considered to have been deeply impressed on the minds of those who read and see the pictu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형정도첩(刑政圖帖)》은 평양화가 김윤보(1865~1938)가 1918~1920년에 평양복심법원검사장으로 재직했던 마츠데라 다케오(松寺竹雄, 1870~1935)를 위해 제작한 화첩이다. 옛 조선에서 벌어진 죄와...

      《형정도첩(刑政圖帖)》은 평양화가 김윤보(1865~1938)가 1918~1920년에 평양복심법원검사장으로 재직했던 마츠데라 다케오(松寺竹雄, 1870~1935)를 위해 제작한 화첩이다. 옛 조선에서 벌어진 죄와 벌을 망라한 《형정도첩(刑政圖帖)》은 일제강점기라는 정치적 상황과 결부되면서 정치적 의도를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마츠데라는 조선총독부 법원검사장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해 나가면서 조선총독부가 식민지 조선의 땅과 조선인들을 장악해 나가기 위한 정책 기조에 발맞추어 다양한 사업을 이끌었다. 즉 1923년 치형협회의 창립, 1929년 조선박람회의 참여 등을 통해서 옛 조선의 전근대적 형정과 비교하여 일제 강점 이후의 근대화된 형정을 부각시켜 국내외에 알리고, 치형협회에서 발간한 나카하시의 󰡔조선구시의 형정󰡕의 저술을 통해 옛 조선 형정의 역사적 근원을 밝히고 일제강점 전후로 일본인들의 도움으로 크게 진보한 형정 발전을 드러내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마츠데라의 일련의 행보의 근저에는 평양복심법원검사장 시절에 받았던 김윤보의 《형정도첩》이 큰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형정도첩》은 󰡔조선구시의 형정󰡕뿐 아니라 조선총독부에서 간행한 󰡔사법제도연혁도보󰡕에도 거의 전 그림이 실려 마츠데라와 조선총독부가 끊임없이 강조하고자 했던 옛 조선의 형정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사법제도연혁도보󰡕는 대한제국(1897~1910)을 일컫는 ‘한국시대’를 ‘도쿠가와시대’와 병치하여 놓음으로써 봉건제 국가인 도쿠가와시대를 메이지 유신을 통해 개혁하였듯이, ‘한국시대’ 역시 일제강점을 통해 새로운 조선으로 개혁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도쿠가와시대’의 삽도들는 역동적이고 용맹한 법 집행인들의 모습을 강조했던 반면에 ‘한국시대’ 《형정도첩》에서 법 집행인들은 뇌물로 받음으로써 법질서를 혼란시키는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메시지는 글이 아니라 그림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그 이미지는 그림을 보고 읽는 사람의 뇌리에 강렬하게 새겨졌을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성, "형벌을 그리다 : 잔인한 구원과 미술의 기억"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2 서울특별시립박물관, "한성판윤전" 서울특별시립박물관 1997

      3 김성돈, "한국사법의 근대성과 근대화를 생각한다 : 신화와 우상을 넘어선 성찰적 법의 역사를 위하여" 세창출판사 2013

      4 도면회, "한국 근대 형사재판제도사" 푸른역사 2014

      5 헨드릭 하멜, "하멜표류기" 스타북스 2020

      6 김소연, "풍속화의 근대적 전개 -고전의 복제와 복고적 재현-" 인문과학연구소 (49) : 85-111, 2017

      7 혼마 규스케, "조선잡기" 김영사 2008

      8 서일교, "조선왕조형사제도연구" 박영사 1974

      9 신선영, "조선시대 형벌 그림의 전개와 의미" 11 : 34-57, 2019

      10 조선미술가동맹, "조선미술사" 한마당 1989

      1 박종성, "형벌을 그리다 : 잔인한 구원과 미술의 기억"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2 서울특별시립박물관, "한성판윤전" 서울특별시립박물관 1997

      3 김성돈, "한국사법의 근대성과 근대화를 생각한다 : 신화와 우상을 넘어선 성찰적 법의 역사를 위하여" 세창출판사 2013

      4 도면회, "한국 근대 형사재판제도사" 푸른역사 2014

      5 헨드릭 하멜, "하멜표류기" 스타북스 2020

      6 김소연, "풍속화의 근대적 전개 -고전의 복제와 복고적 재현-" 인문과학연구소 (49) : 85-111, 2017

      7 혼마 규스케, "조선잡기" 김영사 2008

      8 서일교, "조선왕조형사제도연구" 박영사 1974

      9 신선영, "조선시대 형벌 그림의 전개와 의미" 11 : 34-57, 2019

      10 조선미술가동맹, "조선미술사" 한마당 1989

      11 샤를 바라, "조선기행: 백여 년 전에 조선을 다녀간 두 외구인의 여행기" 눈빛 2001

      12 장시원, "일제하의 농가계층구조" 한국농경제연구원 363-398, 2003

      13 전민정, "일제시기 조선박람회(1929년) 연구 : 조선인의 근대적 시각 체험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14 나와 유미오, "일본 고문형벌사" 도서출판 자작 2002

      15 임명수, "에도시대의 고문형벌" 어문학사 2009

      16 지그프리트 겐테, "신선한 나라 조선, 1901" 책과함께 2007

      17 아손 그렙스트, "스웨덴의 기자 아손, 100년 전 한국을 걷다" 책과함께 2004

      18 김장춘, "세밀한 일러스트와 희귀 사진으로 본 근대 조선" 살림 2008

      19 펠릭스 클레르 리델, "나의 서울 감옥 생활 1878" 살림 2008

      20 까를로 로제티, "꼬레아 꼬레아니" 숲과나무 1996

      21 김복기, "근대 平壤美術史(1)" 51 : 120-125, 1991

      22 A. H. 새비지‒랜도어,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 한말외국인 기록 19" 집문당 1998

      23 김복기, "개화의 요람 平壤화단의 半世紀" 42 : 98-108, 1987

      24 국립중앙박물관, "韓國近代繪畵百年 : 1850~1950" 국립중앙박물관 1987

      25 신선영, "箕山 金俊根 繪畫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2

      26 伊能秀明, "江戸小伝馬町牢屋敷の世界‒明治大学刑事博物館蔵 『牢内深秘録』 『徳川幕府刑事図譜』に見る牢法" 67 : 383-426, 1995

      27 氏家幹人, "江戶時代の罪と罰" 草思社 2015

      28 石井良助, "江戶の刑罰" 吉川弘文館 2013

      29 "每日申報"

      30 이태호, "朝鮮시대 刑政圖帖" 39 : 113-122, 1986

      31 中稿政吉, "朝鮮舊時の刑政" 治刑協會 1936

      32 "朝鮮總督府官報"

      33 박현수, "朝鮮總督府中樞院의 社會・文化" 12 : 70-92, 1980

      34 "朝鮮王朝實錄"

      35 "朝鮮時報"

      36 朝鮮總督府, "朝鮮博覽會紀念寫眞帖"

      37 조선총독부, "朝鮮刑務所寫眞帖"

      38 治刑協會, "朝鮮刑務所寫眞帖" 京城刑務所 1924

      39 藤田新太郎, "徳川幕府刑事図譜"

      40 朝鮮總督府, "司法制度沿革圖譜"

      41 江戸町奉行所, "刑罪大秘錄"

      42 "中外日報"

      43 차인배, "19세기 刑政風俗圖에 나타난 형벌의 특징에 관한 고찰" 한국역사민속학회 (44) : 178-214,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 -> 한국학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3-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7-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
      외국어명 : Korean Studies Quarterl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2 1.267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