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두 곳의 중학교에 재학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52195
2018
-
300
KCI등재
학술저널
743-751(9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두 곳의 중학교에 재학 ...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두 곳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4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463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질문지 21부를 제외하고 총 442부를 사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은 자신의 관계적 공격성을 낮추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쪽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 자녀의 관계적 공격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부모 중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 자녀의 관계적 공격성에 더 큰 부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은 자신의 관계적 공격성을 낮추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아버지 및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을 높이는 부정적 요인으로 제시되어,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을 낮추는데 있어서 청소년 개인과 부모에 대한 임상적 개입이 모두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s self-control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adolescent. For this purpose,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5 to November, 2015. I left out 21 copi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s self-control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adolescent. For this purpose,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5 to November, 2015. I left out 21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hich were insincere answer sheets. 442 responses attending two middle schools located in the Gyeonggi-do or the metropolitan area from the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elf-control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relational aggression of adolescent was set as a independent variable.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f the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adolescent’s relational aggression. Self-control also has a significant negative-correlation on the
adolescent’s relational aggression. In conclusi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adolescents’ self-control have the effects of on their relational aggress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하연,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중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233-258, 2014
2 J. E, Hyun,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ocialanxiety and Relational agg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10
3 Dodge, K. A., "Social-information-processing factors in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in children's peer groups" 53 (53): 1146-1158, 1987
4 "Self portrait of young people in our lifetime, young people"
5 Kuppens, S., "Relational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d childhook relational aggression: Reciprocal in naturer" 38 (38): 117-131, 2009
6 Crick,N.R., "Relational aggression, gender, and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66 (66): 710-722, 1995
7 Y. K. Han, "Relation of Psychological Variables to Relational Aggression in Early Adolescence" Ajou University 2008
8 Marsee, M. A., "Peer conflict scale" 30 (30): 430-439, 2004
9 Barber, B. K.,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67 (67): 3296-3319, 1996
10 Tangney, J. P.,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success" 72 : 271-324, 2004
1 이하연,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중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233-258, 2014
2 J. E, Hyun,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ocialanxiety and Relational agg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10
3 Dodge, K. A., "Social-information-processing factors in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in children's peer groups" 53 (53): 1146-1158, 1987
4 "Self portrait of young people in our lifetime, young people"
5 Kuppens, S., "Relational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d childhook relational aggression: Reciprocal in naturer" 38 (38): 117-131, 2009
6 Crick,N.R., "Relational aggression, gender, and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66 (66): 710-722, 1995
7 Y. K. Han, "Relation of Psychological Variables to Relational Aggression in Early Adolescence" Ajou University 2008
8 Marsee, M. A., "Peer conflict scale" 30 (30): 430-439, 2004
9 Barber, B. K.,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67 (67): 3296-3319, 1996
10 Tangney, J. P.,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success" 72 : 271-324, 2004
비장애청소년의 통합체육경험과 스페셜올림픽 청소년회의경험에 따른 장애수용도 분석과 방향성 제시에 관한 연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Corticotropin releasing hormone receptor 1 (CRHR1) 유전자 다형성의 관련성 연구
문화공연 아트마켓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기공연예술페스타를 중심으로
중년 남성의 자아 존중감, 삶의 만족도 및 우울 정도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 탈락 (기타)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32 | 0.407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