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 기획특집 > 국정관리연구 10주년 기획: 지속 가능한 사회와 국정관리 : 조직 내 인사제도가 노동조합가입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노조수단성 비교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HR practices and intention of employees to join labor unions: With a focus on the role of union instrumentality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노조가입자 및 노조가입의향의 감소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노동패널 15차부터 17차까지 3개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조직 내 인사제...

      본 논문은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노조가입자 및 노조가입의향의 감소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노동패널 15차부터 17차까지 3개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조직 내 인사제도와 노조수단성이 노조가입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조직의 경우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던 조직 내 인사제도 대부분이 노조가입 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민간조직의 경우 조직 내 인사제도가 노조가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에서 운영되고 있는 조직 내 인사제도 현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민간조직의 경우 3개년도 모두에서 노조수단성이 노조가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현재 만연해있는 민간조직 노조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노조가 특정 집단의 이익만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성 관리 측면에서 조직 내 관련 정책들을 도입, 운영하는데 노조의 영향력을 행사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공공조직의 경우, 노조에 대한 법적, 제도적 보호와 노조의 노력이 민간보다 활발하게 일어나기는 하나, 가입자가 하위직 공무원들로 제한되어 있어 노조가 공공조직의 근로자를 대표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에 노조대표성 확보 차원에서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bing the antecedent factors that would affect intention of employees to join labor unions as members. this research draws upon a survey of from the 15th to 17th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to confirm the relationship among HR practices (i.e.,...

      Probing the antecedent factors that would affect intention of employees to join labor unions as members. this research draws upon a survey of from the 15th to 17th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to confirm the relationship among HR practices (i.e., four major public insurance, family friendly policy, and support for individual growth), union instrumentality, and intention to join unions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Our findings suggest that HR practices designated as a dependent variable do not affect intention to join unions in the public sector, whereas HR practices provide significant and meaningful impacts on intention to join union in the private sector. Specifically, union instrumental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join union in the private sector for three years in a row. To diminish the negative perceptions on labor unions, we suggest that unions should not only stand for the interests of specific groups, but also design, implement, and manage WLB and diversity policies within organizations. While public sector unions are more actively involved with legal and institutional issues than private sector unions, we also recognize that, as the union membership is only available to low-level employees,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to represent and actualize core interests of the whole public sector employees. Additio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explain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