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1920년대에 대구 제일교회 이만집 목사를 중심으로 일어난 교회자치운동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해석을 목적으로 한다. 대구에서 3 1 만세운동을 주도한 혐의로 3년 징역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595071
-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1920년대에 대구 제일교회 이만집 목사를 중심으로 일어난 교회자치운동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해석을 목적으로 한다. 대구에서 3 1 만세운동을 주도한 혐의로 3년 징역형...
이 연구는 1920년대에 대구 제일교회 이만집 목사를 중심으로 일어난 교회자치운동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해석을 목적으로 한다.
대구에서 3 1 만세운동을 주도한 혐의로 3년 징역형을 받았던 이만집은 출소 후 당시 미국선교사가 주도하던 예수교장로회 경북노회에 반기를 들고 교회 자치선언 함으로써 일본을 상대로 한 정치적인, 그리고 미국선교사를 상대로 한 교권의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당시 반선교사와 반교권은 곧 친일로 여겨졌으며, 자치선언 후 교회당 소유권을 둘러싼 법정싸움과 폭력사건 등 사건의 부정적 측면은 자치선언사건을 자치파동으로 격하시켰다. 또한, 경북노회를 계승한 대부분 교회의 기록은 이만집 목사와 자치선언파를 부정적으로 기록해왔다.
이만집 목사의 민족자립과 교회 자치사상의 형성과정에 중점을 둔 이 이 연구에서는 우선 그가 주도한 3 1독립만세운동과 교회 자치운동에 대한 객관적 사실을 밝히는 데 주력하는 한편 그가 남긴 몇몇 안 되는 글과 그의 삶에 대한 기록, 그리고 그를 반대하던 사람들이 남겨둔 모든 기록을 통하여 그의 사상 형성과정의 일면을 지식사회학적인 해석학적 방법론을 가지고 추적하고자 한다. 즉, 그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는 물론 교회내의 여러 가지 복합적인 상황들이 어떻게 그의 사상을 형성하고 이를 행동으로 표현하는 동기적 상황(motivational situation)을 제공하였는가 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 이만집과 그 일파의 자치사상은 31운동과 계성고등학교의 동맹휴학 등 당시 선교사들의 보수적 학교운영과 탈정치적인 태도에 대한 조선 청년들의 저항 사건 등을 통해 형성되었기에 사건은 사상과 상황의 선택적 친화력이 있은 곳에서 발생하며 역으로 사상의 역사적 발전을 수반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