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논문 : 광주광역시 신, 구도심의 기능분포특성 비교 = The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Functions between Old and New City Centers in Gwang-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61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계획적인 신도심 조성으로 두 도심을 갖게 된 광주에서 두 도심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형성의 주요한 단위인 기능들의 분포와 집적을 통해 두 도심이 수행하고 있는...

      본 연구는 계획적인 신도심 조성으로 두 도심을 갖게 된 광주에서 두 도심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형성의 주요한 단위인 기능들의 분포와 집적을 통해 두 도심이 수행하고 있는 기능의 특성을 찾는데 역점을 두었다. 또 두 도심의 기능분포에는 어떤 유사성과 차별성이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인구, 사업체수와 종사자수, 중심성지수 등을 지표로 두 도심의 범위를 정하였다. 구도심은 충장동과 서남동, 신도심은 치평동이 추출되었다. 산업대(중)분류를 이용하여 18개 기능에 대한 사업체수와 종사자수를 이용하여 두 도심의 기능분포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두 도심 간 기능분포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시도했다. 회귀선에 가깝게 위치한(표준잔차가 적은) 기능들은 두 도심간 유사한 기능이라 할 수 있으며, 멀리 위치한(표준잔차가 큰) 기능들은 한 도심의 특화된 기능으로 볼 수 있다. 도심은 원래 다종다양한 기능이 집적하는 곳이기 때문에 다수의 기능들이 두 도심에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었지만, 구도심에서는 소매업과 제조업, 교육서비스업기능이 특화되어 있는 반면 신도심은 금융보험업과 공공행정기능이 특화되어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1990,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Gwang-ju has changed from a single-nucleus to double-nuclei.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similarities or differentiation of two city centers from 1995 to 2010. At first, the range...

      Since 1990,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Gwang-ju has changed from a single-nucleus to double-nuclei.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similarities or differentiation of two city centers from 1995 to 2010. At first, the ranges of Old and New city centers were decided by the population, the number of establishment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Through investigating 18 urban functions by the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it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functions on two city centers. And the similarity and differentiation of two city centers were identified by the regression analysis. The functions close to a regression line (small standard residual) reflect the similarity of two city centers, the functions far from a regression line (big standard residual) describe the differentiation. As the city center is originally a multi-functional spot, many functions appear in those two city centers alike. However, the Old city center is specialized in retail and manufacturing business, and educational service, but the New city center is particularized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financial and insurance busin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중, "한국 도시쇠퇴의 원인과 특성" 한국도시지리학회 13 (13): 43-58, 2010

      2 계기석, "지방 대도시 도심의 기능활성화와 쾌적성 제고 방안" 국토연구원 2003

      3 김광우, "중심시가지활성화 : 미·영·독의 18개 도시 사례연구"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2

      4 임병호, "신·구도심의 업종분포특성 비교연구 - 대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0 (20): 149-168, 2008

      5 서민철, "서울의 도심 및 부심 설정과 특화 기능 탐색" 대한지리학회 49 (49): 275-298, 2014

      6 김주일, "서울의 도시구조와 도심체계" 한국학술정보 2008

      7 김태호, "서울시 도심공간의 토지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종로, 중구를 대상으로 -" 국토지리학회 46 (46): 213-225, 2012

      8 전명진, "서울시 도심 및 부도심의 성장과 쇠퇴: 1981~1991년간의 변화를 중심으로" 31 (31): 33-45, 1996

      9 서민철, "서울 중심업무지구의 기능 변화: 1997년과 2013년" 국토지리학회 47 (47): 303-321, 2013

      10 박영한, "서울 도심지역의 설정과 내부구조에 관한 연구" 8 : 51-62, 1973

      1 김광중, "한국 도시쇠퇴의 원인과 특성" 한국도시지리학회 13 (13): 43-58, 2010

      2 계기석, "지방 대도시 도심의 기능활성화와 쾌적성 제고 방안" 국토연구원 2003

      3 김광우, "중심시가지활성화 : 미·영·독의 18개 도시 사례연구"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2

      4 임병호, "신·구도심의 업종분포특성 비교연구 - 대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0 (20): 149-168, 2008

      5 서민철, "서울의 도심 및 부심 설정과 특화 기능 탐색" 대한지리학회 49 (49): 275-298, 2014

      6 김주일, "서울의 도시구조와 도심체계" 한국학술정보 2008

      7 김태호, "서울시 도심공간의 토지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종로, 중구를 대상으로 -" 국토지리학회 46 (46): 213-225, 2012

      8 전명진, "서울시 도심 및 부도심의 성장과 쇠퇴: 1981~1991년간의 변화를 중심으로" 31 (31): 33-45, 1996

      9 서민철, "서울 중심업무지구의 기능 변화: 1997년과 2013년" 국토지리학회 47 (47): 303-321, 2013

      10 박영한, "서울 도심지역의 설정과 내부구조에 관한 연구" 8 : 51-62, 1973

      11 주경식, "서울 도심의 경계, 기능 및 내부구조" 33 (33): 41-56, 1998

      12 이명훈, "서울 도심부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도심부 쇠퇴를 중심으로 하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 (37): 289-298, 2002

      13 광주광역시 서구청, "서구통계연보, 서구사업체통계조사보고서" 2010

      14 시민의 소리, "상무대 주둔사"

      15 광주광역시 북구청, "북구통계연보, 북구사업체통계조사보고서" 2010

      16 유강은, "미국 대도시의 죽음 과 삶" 그린비 2010

      17 광주광역시 동구청, "동구통계연보, 동구사업체통계조사보고서" 2010

      18 강병주, "도심공동화의 원인과 활성화 대책" 1-15, 2000

      19 변병설, "도시생태학에 의한 서울시 중심부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 35 (35): 75-90, 2001

      20 이희연, "도시 내부의 쇠퇴실태와 공간패턴" 한국도시지리학회 13 (13): 13-26, 2010

      21 최봉문, "대전광역시의 두 개 도심 간 도심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1994년과 1999년 두 시점의 변화를 중심으로" 16 (16): 63-78, 2003

      22 주경식, "대도시‘신도심’지구의 형성과 발달" 한국도시지리학회 6 (6): 1-15, 2003

      23 광주광역시 남구청, "남구통계연보, 남구사업체통계조사보고서" 2010

      24 이현욱, "광주시 지가분포의 변천과 공간분화" 32 : 1-16, 1985

      25 이현욱, "광주시 신시가지구의 성장과 공간구조의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 10 (10): 69-87, 2007

      26 광주시·국토연구원, "광주광역시 도심활성화 방안연구(종합계획요약보고서)" 2003

      27 염일열, "광주광역시 도심공동화의 접근시각과 활성화전략" 16 (16): 213-239, 2003

      28 광주광역시 광산구청, "광산구통계연보, 광산구사업체통계조사보고서" 2010

      29 권대환,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도심쇠퇴 연구 : 전주시 도심의 전북도청 이전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30 服部鍷二郞, "都市 人類最高の傑作" 古今書院 1992

      31 高橋勇悅, "大都市社會のリストラチヤリング" 日本評論社 1992

      32 Johnson, L., "Centrality within a Metropolis" 40 (40): 324-336, 196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1.01 1.261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