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교원 전문성 강화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 2013년 10월 나이스(NEIS) 대국민서비스를 통해 전국 초․중․고 및 특수학교에서 교원능력평가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0414
-
201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교원 전문성 강화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 2013년 10월 나이스(NEIS) 대국민서비스를 통해 전국 초․중․고 및 특수학교에서 교원능력평가를 ...
최근 교원 전문성 강화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 2013년 10월 나이스(NEIS) 대국민서비스를 통해 전국 초․중․고 및 특수학교에서 교원능력평가를 집중 실시한다고 발표하였다. 교원 전문성 평가를 위해서 학생 관리능력, 행정 업무능력 등 다양한 평가 가 요구되지만 무엇보다 교사에게 가장 먼저 요구되는 능력은 수업 실행 능력이기 때문에 교사는 가장 먼저 자신의 수업 전문성을 갖추어야 하며, 교사의 전문성은 수업에서 드러나는 교사의 실제적 행위를 근거로 평가될 수 있어야 한다(오욱환, 2005). 일반적으로 PCK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의 지표로 체육과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는 신체 활동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수행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의도한 교육 내용을 효율적으로 의미 있게 전달 할 수 있는 수업 실행 지식이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즉, 체육과 PCK는 체육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이해하고 아울러 체육 수업 전문성 수준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기틀을 제공해줄 수 있다(Park & Oliver, 2008). 하지만 아직까지 교사의 수업 전문성 지표라 할 수 있는 PCK를 통하여 체육 교사의 전문성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체육교사 PCK 평가 분석틀 마련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실행지식인 PCK를 통하여 자신의 수업 실행 전문성 수준을 진단 할 수 있는 체육교사 PCK 평가분석틀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체육과 PCK 6가지 구성요소(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에 기초하여 세부 하위 요소를 구조화 하였다. 세부 하위요소는 PCK 6가지 구성요소별로(교과로서의 체육에 대한 지식, 체육과 교육과정 지식, 신체활동에 대한 학생의 학습 지식, 체육과 평가 지식, 체육과 교육환경지식) 최소 3개 이상이 되며, 총 24개의 하위요소가 제시되었다. 이후 2차적으로 세부 하위요소별 PCK 성취기준을 제시하였다. 성취기준은 체육 수업 전문성을 갖춘 교사로서 마땅히 갖추어야 할 능력과 지식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을 지도 할 수 있다’와 같은 진술형태를 띠고 있으며, 총 24개의 성취기준이 제시되었다. 이후 제시된 성취기준을 내용수준에 따라 상/중/하로 나누어 체육교사가 실질적으로 자신의 체육 수업 실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PCK 평가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PCK 수준 평가의 상위 수준을 만족하는 조건은 세부 하위요소에 대한 지식을 모두 충족하며, 지도 능력에 대한 구체성과 명확성 등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중간 단계의 수준은 지식 혹은 수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in Oct. 2013 that it would concentrate the evaluation on teachers’ competence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across the nation with the nationwide service, NEIS, in order ...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in Oct. 2013 that it would concentrate the evaluation on teachers’ competence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across the nation with the nationwide service, NEIS,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competence. Various evaluations including on student administration and administrative works are required to measure teachers’ competence, but the first and most required competence is the teaching performance. Therefore, teachers, first of all, must have the teaching competence for their own classes, and teachers’ competence should be evaluated based on the actual performance shown in a class (Oh, Wookwhan, 2005). In general,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an indicator of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and the PCK of physical education is the knowledge of teaching performance which helps effectively deliver the education contents intended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performing and appreciating of physical activit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7). In other words, the PCK of physical education can provide a useful groundwork to understand the teaching competen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Park & Oliver, 2008). However,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