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포츠문화의 위대한 전환: 학교체육법 = Great transition of sports culture: Physical education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91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nactment of physical education act reflecting reality of physical education is the present practical effort considering future sports cul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look back on parts discussed in the rejected process of enacting physical education act and to argue its justification. The study examined discussions on enactment of physical education act in two viewpoints. First of all, the study argued that physical education act should be understood by only enactment of individual law for promotion of specific subjects and grasped in public level to make healthy society by narrowing a gap in health polarization in the future. The study also pointed out that, differing from partial arguments that execution of the lowest scholarship system and derivative meaning stated clearly in physical education act would give damage to elite sports, the future of elite sports was hopeful when elite sports were supported by related preceding researches and made a foundation for healthy physical education as an alternative. Considering examination of the lowest physical strength system, opening of contests limited on weekend and in vacation and reality that sports talent was assigned to only sports related department, the study examined it as supplementa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modern society, sports are a social system to improve quality in life by satisfying basic desire of humans. Therefore, the study suggested that physical education act should be approached in social welfare level of non-economic security.
      번역하기

      Enactment of physical education act reflecting reality of physical education is the present practical effort considering future sports cul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look back on parts discussed in the rejected process of enacting...

      Enactment of physical education act reflecting reality of physical education is the present practical effort considering future sports cul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look back on parts discussed in the rejected process of enacting physical education act and to argue its justification. The study examined discussions on enactment of physical education act in two viewpoints. First of all, the study argued that physical education act should be understood by only enactment of individual law for promotion of specific subjects and grasped in public level to make healthy society by narrowing a gap in health polarization in the future. The study also pointed out that, differing from partial arguments that execution of the lowest scholarship system and derivative meaning stated clearly in physical education act would give damage to elite sports, the future of elite sports was hopeful when elite sports were supported by related preceding researches and made a foundation for healthy physical education as an alternative. Considering examination of the lowest physical strength system, opening of contests limited on weekend and in vacation and reality that sports talent was assigned to only sports related department, the study examined it as supplementa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modern society, sports are a social system to improve quality in life by satisfying basic desire of humans. Therefore, the study suggested that physical education act should be approached in social welfare level of non-economic secur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학교체육의 현실성을 반성한 학교체육법의 제정은 미래 스포츠문화를 염려하는 현재의 실천적 노력인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학교체육법 제정의 부결과정에서 논쟁이 되었던 부분을 되짚어 보고, 정당성을 피력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체육법 부결의 논쟁거리를 두 가지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우선 학교체육법은 특정과목 진흥을 위한 개별 법률의 제정만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향후 발생될 건강양극화의 격차를 좁혀 건강한 사회를 조성하려는 공적차원임을 주장하였다. 또한 학교체육법에서 명시된 최저학력제의 실시와 파생적 의미가 엘리트스포츠를 저해시킨다는 일부 주장과는 달리 그동안 관련 선행연구들에 의해 지지된 대안으로써 건강한 학교체육에 기반을 둘 때 엘리트스포츠의 미래가 희망적임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의 정당성 부여이외에 최저체력제의 검토, 주말과 방학기간에 한정한 대회 개최, 체육특기생이 체육관련 학과에만 배정되고 있는 현실 고려 등을 학교체육법의 보완으로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현대사회에서 스포츠는 인간의 기본욕구를 충족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사회제도로써 학교체육법이 비경제적 보장의 사회복지 차원에서 접근될 필요가 있음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학교체육의 현실성을 반성한 학교체육법의 제정은 미래 스포츠문화를 염려하는 현재의 실천적 노력인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학교체육법 제정의 부결과정에서 논쟁이 되었던 부분을 되...

      학교체육의 현실성을 반성한 학교체육법의 제정은 미래 스포츠문화를 염려하는 현재의 실천적 노력인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학교체육법 제정의 부결과정에서 논쟁이 되었던 부분을 되짚어 보고, 정당성을 피력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체육법 부결의 논쟁거리를 두 가지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우선 학교체육법은 특정과목 진흥을 위한 개별 법률의 제정만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향후 발생될 건강양극화의 격차를 좁혀 건강한 사회를 조성하려는 공적차원임을 주장하였다. 또한 학교체육법에서 명시된 최저학력제의 실시와 파생적 의미가 엘리트스포츠를 저해시킨다는 일부 주장과는 달리 그동안 관련 선행연구들에 의해 지지된 대안으로써 건강한 학교체육에 기반을 둘 때 엘리트스포츠의 미래가 희망적임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의 정당성 부여이외에 최저체력제의 검토, 주말과 방학기간에 한정한 대회 개최, 체육특기생이 체육관련 학과에만 배정되고 있는 현실 고려 등을 학교체육법의 보완으로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현대사회에서 스포츠는 인간의 기본욕구를 충족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사회제도로써 학교체육법이 비경제적 보장의 사회복지 차원에서 접근될 필요가 있음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규, "한국 엘리트스포츠 정책의 사회철학적 진단과 발전과제" 38 (38): 59-71, 1999

      2 김영갑, "한국 스포츠문화의 현실과 과제: 학교체육" 한국체육철학회 18 (18): 241-252, 2010

      3 류태호, "학원스포츠의 과제와 전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2 (12): 91-108, 2005

      4 박정근, "학원 스포츠의 개혁을 위한 장기발전 전략" 한국코칭능력개발원 6 (6): 89-110, 2004

      5 이학준, "학생운동선수를 생각한다" 한국체육학회 42 (42): 61-70, 2003

      6 이학준, "학생선수의 학습권 보장: 근거와 대안" 한국체육학회 48 (48): 35-44, 2009

      7 강신욱, "학교 운동부의 운동과 학업 수행 및 운영 실태 조사" 한국체육학회 42 (42): 97-110, 2003

      8 김윤태, "지역개발’보다는 ‘복지확대’"

      9 국가인권위원회, "중·고교 학생운동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보고서" 2009

      10 홍덕기, "인권으로 바라본 학생선수: 교육적 담론"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4 (14): 131-154, 2007

      1 김동규, "한국 엘리트스포츠 정책의 사회철학적 진단과 발전과제" 38 (38): 59-71, 1999

      2 김영갑, "한국 스포츠문화의 현실과 과제: 학교체육" 한국체육철학회 18 (18): 241-252, 2010

      3 류태호, "학원스포츠의 과제와 전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2 (12): 91-108, 2005

      4 박정근, "학원 스포츠의 개혁을 위한 장기발전 전략" 한국코칭능력개발원 6 (6): 89-110, 2004

      5 이학준, "학생운동선수를 생각한다" 한국체육학회 42 (42): 61-70, 2003

      6 이학준, "학생선수의 학습권 보장: 근거와 대안" 한국체육학회 48 (48): 35-44, 2009

      7 강신욱, "학교 운동부의 운동과 학업 수행 및 운영 실태 조사" 한국체육학회 42 (42): 97-110, 2003

      8 김윤태, "지역개발’보다는 ‘복지확대’"

      9 국가인권위원회, "중·고교 학생운동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보고서" 2009

      10 홍덕기, "인권으로 바라본 학생선수: 교육적 담론"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4 (14): 131-154, 2007

      11 이정학, "사회복지적 관점에서의 여가스포츠" 한국체육철학회 15 (15): 149-164, 2007

      12 이정학, "사회복지이념에 따른 생활체육의 의미" 한국체육철학회 15 (15): 45-58, 2007

      13 이정학, "노령화에 따른 사회복지적 측면에서의 체육활동" 한국체육철학회 13 (13): 265-282, 2005

      14 정재용, "美 학교체육 살린 ‘루즈벨트의 결단’"

      15 장환수, "[광화문에서] 기상 전문가 마이클 조든"

      16 Baker,R.L, "The social work dictionary(4th ed.)" NASW Press 1999

      17 Wilding, P, "Social values and social policy" 4 (4): 373-390, 1975

      18 문진영, ""문제는 양극화 속도다" [복지국가SOCIETY] '부의 대물림' 고착화는 시한폭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4-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3-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0.947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