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KRAS 돌연변이는 고형암의 약 20%에서 발견되고 있는 비교적 흔한 암유전자 돌연변이로, 특히, 이 돌연변이는 주로 췌장 및 대장의 선암, 폐암 등에서 가장 흔하...
Ⅰ.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KRAS 돌연변이는 고형암의 약 20%에서 발견되고 있는 비교적 흔한 암유전자 돌연변이로, 특히, 이 돌연변이는 주로 췌장 및 대장의 선암, 폐암 등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고 있음. 그러나, 그러나, K-Ras 에 의존성을 보이는 종양에서 Kras 를 표적으로하는 새로운 치료법, 즉 Ras-GTPase를 차단하는 small molecule 의 개발하고자 하는 오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그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임.본 연구는 KRAS 의존성 세포주에서 K-Ras 신호전달체계를 목표로 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임.
Ⅱ.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KRAS 돌연변이를 가진 세포주에서 의 K-Ras 의존성 여부를 확인하고,
2. KRAS 돌연변이를 가진 세포주에서 MEK/PI3K 억제에 대한 감수성의 차이 규명하고,
3, KRAS 돌연변이의 임상적 의의를 확인하고자 함.
Ⅲ. 연구개발결과
1. 다양한 유전자 변이를 각종 암 세포주에서 MEK 억제제 와 PI3K 억제제의 단독 혹은 병용요법에 대한 효능을 평가하였고, 다양한 감수성 정도를 확인함
2. KRAS 돌연변이를 가진 췌장암 및 대장암 세포주에서 의 K-Ras 의존성 여부를 확인하였고, MEK 및 PI3K 억제에 대한 감수성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음
3. KRAS 의존성 암 세포주에서 RAS Sinatuire score 에 따른 K-Ras 의존성 여부 확인 및 MEK/PI3K 억제에 대한 감수성의 차이 확인하였음
4. 담도암 환자 샘플에서 KRAS 돌연변이 여부를 확인하고, 임상양상 및 치료성적과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분석함
Ⅳ.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1. KRAS 돌연변이 세포주에서 KRAS 의존성의 정도 및 MEK 억제제 와 PI3K 억제제에 대한 감수성에 차이가 나는지에 대한 기전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예정임
2. 향후 KRAS 의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