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침식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45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일부 시·도교육청에서는 일선 초·중·고등학교의 등교시간을 오전 9시로 늦추어 시행 하고 있다. 9시 등교정책의 주요 취지는 학생의 등교시간을 늦추어 부족한 수면을 보충하고 아침식사를 거르지 않도록 하여 학습의 집중력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9시 등교 정책의 시행 근거 중 하나인 아침식사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하고 이러한 효과를 사회·경제적 지위(Socioeconomic status)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고 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9시 등교정책과 아침식사와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의 초·중·일반고 학 생의 1-2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합동 최소자승 회귀 모형(Pooled OLS)과 1차 차분 모형(First Difference Model)을 통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합동 최소자승 회귀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는 모든 학교급에서 아침식사가 학업 성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특히 초등학교에서 그러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지만, 개인의 고유 특성과 오차항의 자기상관 문제를 고려한 1차 차분 모형을 적용한 경우 그러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아침식사의 학업성취 제고 효과가 초등학생의 경우 저소득층의 수학과목에서 있는 것 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학교급과 소득계층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못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첫째, ‘9시 등교정책’의 시행 근거로 여겨지는 아침 식사의 효과에 대한 재검토와 과학적인 분석 및 접근이 필요함을 둘째, 차별적 처치 효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아침급식 및 돌봄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일부 시·도교육청에서는 일선 초·중·고등학교의 등교시간을 오전 9시로 늦추어 시행 하고 있다. 9시 등교정책의 주요 취지는 학생의 등교시간을 늦추어 부족한 수면을 보충하고 아침�...

      최근 일부 시·도교육청에서는 일선 초·중·고등학교의 등교시간을 오전 9시로 늦추어 시행 하고 있다. 9시 등교정책의 주요 취지는 학생의 등교시간을 늦추어 부족한 수면을 보충하고 아침식사를 거르지 않도록 하여 학습의 집중력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9시 등교 정책의 시행 근거 중 하나인 아침식사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하고 이러한 효과를 사회·경제적 지위(Socioeconomic status)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고 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9시 등교정책과 아침식사와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의 초·중·일반고 학 생의 1-2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합동 최소자승 회귀 모형(Pooled OLS)과 1차 차분 모형(First Difference Model)을 통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합동 최소자승 회귀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는 모든 학교급에서 아침식사가 학업 성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특히 초등학교에서 그러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지만, 개인의 고유 특성과 오차항의 자기상관 문제를 고려한 1차 차분 모형을 적용한 경우 그러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아침식사의 학업성취 제고 효과가 초등학생의 경우 저소득층의 수학과목에서 있는 것 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학교급과 소득계층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못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첫째, ‘9시 등교정책’의 시행 근거로 여겨지는 아침 식사의 효과에 대한 재검토와 과학적인 분석 및 접근이 필요함을 둘째, 차별적 처치 효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아침급식 및 돌봄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 of 9 o'clock school attend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analyzed the effect of breakfast, which is one of the grounds of the policy implement. Besides, this study examined how these effec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ocioeconomic status. By doing so, this research intended to verify the validity of breakfast effects and deducted policy implication of the 9 o'clock school attendance. For answering to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exploited the data from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and utilzed Pooled OLS & First Difference Model. After the analysis, breakfas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when Pooled OLS were applied (the effects are most positive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these effects were disappeared when First Difference Model were applied. in the case of socioeconomic-based analysis, these effects did not show any school level and socioeconomic stratum except for math subject of primary students of low-status. On the basis of findings above, this research provides some implications. First, it is imperative to re-examine the effect of breakfast, which is regarded as the ground of policy implementation of 9 o'clock school attendance. Also, scientific analysis and approach are needed. Second, based on differentiating intervention of policy, school breakfast and care program are needed for low socioeconomic statu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 of 9 o'clock school attend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analyzed the effect of breakfast, which is one of the grounds of the pol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 of 9 o'clock school attend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analyzed the effect of breakfast, which is one of the grounds of the policy implement. Besides, this study examined how these effec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ocioeconomic status. By doing so, this research intended to verify the validity of breakfast effects and deducted policy implication of the 9 o'clock school attendance. For answering to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exploited the data from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and utilzed Pooled OLS & First Difference Model. After the analysis, breakfas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when Pooled OLS were applied (the effects are most positive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these effects were disappeared when First Difference Model were applied. in the case of socioeconomic-based analysis, these effects did not show any school level and socioeconomic stratum except for math subject of primary students of low-status. On the basis of findings above, this research provides some implications. First, it is imperative to re-examine the effect of breakfast, which is regarded as the ground of policy implementation of 9 o'clock school attendance. Also, scientific analysis and approach are needed. Second, based on differentiating intervention of policy, school breakfast and care program are needed for low socioeconomic statu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병부, "학업성취와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사회학회 17 (17): 101-129, 2007

      2 이기종, "학업성취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공부시간 효과 추정" 한국조사연구학회 11 (11): 43-61, 2010

      3 김현주,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배경과사회?문화적 자원의 다중상호작용방식" 한국사회학회 41 (41): 171-203, 2007

      4 조인근, "학업 성취의 사회적 목표와 학업 성취의 관계에 있어서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학업 불안의 매개 효과" 교육종합연구소 6 (6): 131-152, 2008

      5 강소희, "초등학교 고학년의 아침식사 실태 및 식습관과 학업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2013

      6 류방란, "초⋅중학생의 학업 성취수준에 미치는 가정과 학교경험의 영향력 분석" 교육연구소 10 (10): 1-25, 2009

      7 이광현, "초·중등 교육경제학 연구의 주요 쟁점과 연구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 (20): 131-160, 2011

      8 김영식, "청소년기 학생들의 이른 기상 효과(Early Bird Effect) 분석 연구: 기상시간과 학업성취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소 44 (44): 271-290, 2013

      9 성기선,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가정배경의 영향력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0 (20): 83-103, 2010

      10 전창완, "중ㆍ고등학생의 주관적 수업 태도와 학업 성적의 상호 관계" 과학교육연구소 53 (53): 204-219, 2014

      1 백병부, "학업성취와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사회학회 17 (17): 101-129, 2007

      2 이기종, "학업성취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공부시간 효과 추정" 한국조사연구학회 11 (11): 43-61, 2010

      3 김현주,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배경과사회?문화적 자원의 다중상호작용방식" 한국사회학회 41 (41): 171-203, 2007

      4 조인근, "학업 성취의 사회적 목표와 학업 성취의 관계에 있어서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학업 불안의 매개 효과" 교육종합연구소 6 (6): 131-152, 2008

      5 강소희, "초등학교 고학년의 아침식사 실태 및 식습관과 학업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2013

      6 류방란, "초⋅중학생의 학업 성취수준에 미치는 가정과 학교경험의 영향력 분석" 교육연구소 10 (10): 1-25, 2009

      7 이광현, "초·중등 교육경제학 연구의 주요 쟁점과 연구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 (20): 131-160, 2011

      8 김영식, "청소년기 학생들의 이른 기상 효과(Early Bird Effect) 분석 연구: 기상시간과 학업성취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소 44 (44): 271-290, 2013

      9 성기선,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가정배경의 영향력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0 (20): 83-103, 2010

      10 전창완, "중ㆍ고등학생의 주관적 수업 태도와 학업 성적의 상호 관계" 과학교육연구소 53 (53): 204-219, 2014

      11 이호준, "장학금 지원 정책의 변화가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27-52, 2014

      12 정동욱,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교과교실제의 시행이 교수-학습 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259-282, 2013

      13 김지하, "이성교제의 경제학 -이성교제가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7 (17): 49-84, 2008

      14 아시아경제, "아침식사하니 성적 쑥쑥 올라"

      15 이데일리, "아침식사, 학업성적 향상에 도움"

      16 유미영,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915-937, 2010

      17 정동욱, "시⋅도 교육청별 단위학교 간 교육자원 배분의 형평성 비교 분석 -전국 공립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275-295, 2011

      18 황여정, "수준별 이동수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안암교육학회 14 (14): 71-101, 2008

      19 장한별,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 (가구 월수입, 부모 교육수준)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과체중 및 식습관, 식사 질과의 관계" 한국영양학회 44 (44): 416-427, 2011

      20 김영식, "국가별 교육책무성 정책과 학업성취도 분석" 서울대학교 2014

      21 백일우, "교육경제학(제2판)" 학지사 2007

      22 이쌍철, "교육경비보조금의 공평성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149-170, 2009

      23 류방란, "교육격차 : 가정배경과 학교교육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6

      24 성기선,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효과에 대한 위계적선형모형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14 (14): 87-106, 2004

      25 백병부, "경기도 혁신학교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4

      26 백병부, "경기도 혁신고등학교 성과분석" 경기도교육연구원 2013

      27 김광혁, "가족소득의 변화가 아동의 학업성취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분석" 서울대학교 2008

      28 손진희, "가정환경, 자아개념, 자기학습량과 학업성취의 관계" 교육연구소 7 (7): 235-265, 2006

      29 김현진, "가정배경과 학교교육 그리고 사교육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485-508, 2007

      30 김수혜, "가정배경, 사회심리학적 매개요인들과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안암교육학회 16 (16): 153-182, 2010

      31 Ronning, M., "Who benefits from homework assignment?" 30 (30): 55-64, 2011

      32 Chiu, J., "Which matters most? Perceptions of family income or parental educ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2012

      33 Dahl, G. B., "The impact of family income on child achievement : Evidence from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102 (102): 1927-1956, 2012

      34 Balsa, A. I., "The effects of alcohol use on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30 (30): 1-15, 2011

      35 Fuligni, A. J.,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dolescents from immigrant families : The role of family background, attitudes, and behavior" 68 (68): 351-363, 1997

      36 Bradley,R.,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53 : 371-399, 2002

      37 Woessmann, L., "Single-Parent Families and Student"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2015

      38 Meyers, A. F., "School breakfast program and school performance" 143 (143): 1234-1239, 1989

      39 Powell, C. A., "Nutrition and education : a randomized trial of the effects of breakfast in rural primary school children" 68 (68): 873-879, 1998

      40 Meunier, M., "Immigration and student achievement : Evidence from Switzerland" 30 (30): 16-38, 2011

      41 Guimarães, J., "Family background and students’ achievement on a university entrance exam in Brazil" 21 (21): 38-59, 2013

      42 West, M. R., "Every Catholic child in a catholic school : Historical resistance to state schooling, contemporary private competition and student achievement across countries" 120 (120): 229-255, 2010

      43 Coleman, J. S.,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6

      44 Kaestner, R., "Effects of weight on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28 (28): 651-661, 2009

      45 Cliona Ni Mhurchu, "Effects of a free school breakfast programme on school attendance, achievement, psychosocial function, and nutrition: a stepped wedge cluster randomised trial" 10 : 738-, 2010

      46 정동욱, "EBS 교육 프로그램의 사교육 경감 효과 분석: 서울특별시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21-42, 2012

      47 Becker, S. O., "Does women's education affect fertility? Evidence from pre-demographic transition Prussia" 17 (17): 24-44, 2013

      48 Woessmann, L., "Cross-country evidence on teacher performance pay" 30 (30): 404-418, 2011

      49 Becker, G. S., "A Treatise on the Family"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50 구자억, "2013년 서울형 혁신학교 평가 연구사업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