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 경학자 서명응(徐命膺, 1716-1787)의 『대학직지(大學直指)』를 중심으로 그의 경학 해석과 학문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서명응은 주희(朱熹)의 『대학장구』해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82218
이시연 (한국교통대학교)
2025
Korean
서명응(徐命膺) ; 대학직지(大學直指) ; 주희(朱熹) ; 심법(心法) ; 삼강령(三綱領) ; 팔조목(八條目) ; 경학(經學) ; 18세기 ; 조선철학 ; 한국철학 ; Seo Myung-eung(徐命膺) ; Direct pointing to the Great Learning(大學直指) ; Zhu Xi(朱熹) ; Mind Cultivation(心法 ; Simbeop) ; Three Guidelines(三綱領 ; Samgangnyeong) ; Eight Articles(八條目 ; Paljomok) ; Studies of Oriental Scriptures(經學) ; 18th Century ; Joseon Philosophy ; Korean Philosophy
KCI등재
학술저널
117-149(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 경학자 서명응(徐命膺, 1716-1787)의 『대학직지(大學直指)』를 중심으로 그의 경학 해석과 학문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서명응은 주희(朱熹)의 『대학장구』해석...
본 연구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 경학자 서명응(徐命膺, 1716-1787)의 『대학직지(大學直指)』를 중심으로 그의 경학 해석과 학문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서명응은 주희(朱熹)의 『대학장구』해석을 계승하면서도 ‘심법(心法)’이라는 독창적 개념을 도입하여 『대학』의 본질을 내면 수양에 두었다. 그는 삼강령과 팔조목의 모든 내용이 외부적 실천이 아닌 심법을 통해 완성된다고 보았으며, 이를 통해 개인과 가정, 국가의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특히 『대학직지』 서문과 경1장의 분석을 중심으로, 서명응의 해석이 주자학적 전통과 조선 후기 학문 세계에서 어떻게 변화를 모색하였는지 조명하였다. 특히, 『대학직지』에서 경1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문장 구조의 정밀함과 삼강령과 팔조목의 상호 연계를 논리적으로 강조한 점은 그의 해석적 독창성을 잘 보여준다. 서명응은 주자의 해석에 기반하면서도 자신의 관점을 추가해 명덕(明德)의 허령불매(虛靈不昧)적 성격을 다양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지와 행의 조화를 통해 심법을 실현할 것을 제시하였다. 『대학』에 대한 그의 독창적 해석은 조선 후기 경학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학문적 기여로 평가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서명응이 경학적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방법론과 시각을 적용한 해석을 통해 조선 후기 경학의 전환과 발전에 기여했음을 규명하였으며, 그의 사유가 중요한 학문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pretation and academic features of 『Direct pointing to the Great Learning(大學直指)』 by Seo Myung-eung(徐命膺, 1716-1787), a prominent Confucian scholar of late Joseon Korea. While Seo Myung-eung inherited Zhu...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pretation and academic features of 『Direct pointing to the Great Learning(大學直指)』 by Seo Myung-eung(徐命膺, 1716-1787), a prominent Confucian scholar of late Joseon Korea. While Seo Myung-eung inherited ZhuXi’s(朱熹) 『commentary on The Great Learning(Daehakjanggu, 大學章句)』, he introduced an original concept of “Mind Cultivation(心法)”, emphasizing the essence of the 『Great Learning』 in terms of internal cultivation. He argued that all aspects of the Three Guidelines(三綱領) and Eight Articles(八條目) are not mere external practices but are fulfilled through Simbeop, aiming to achieve harmonious development at the individual, familial, and national levels.
This research highlights Seo Myung-eung’s unique interpretation, focusing on the preface and Chapter1(經一章)of 『Direct pointing to the Great Learning(大學直指)』. His meticulous analysis of Chapter 1’s structure and the logical interplay between the Three Guidelines and Eight Articles exemplifies his interpretative originality. While grounded in Zhu Xi’s commentary, Seo Myung-eung expands on it by elucidating the mingde(明德) concept through its xulingbumai(虛靈不昧) characteristics, offering various examples. He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chieving harmony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as a means to realize Mind Cultivation(心法).
Seo Myung-eung’s re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 signifies an innovative scholarly contribution that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Confucian studies in late Jose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eo Myung-eung’s approach not only preserves traditional Confucian principles but also applies new methodologies and perspectives, marking a pivotal point in the transition and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18th-century Joseon. His intellectual insights are shown to retain significant academic value, extending beyond his era.
전쟁단카(短歌)와 가해의 기억 - 트라우마 체험의 이해와 성찰의 형식
서사적 위반과 경계 넘나들기(2) - 에.테.아. 호프만의 『브람빌라 공주』 연구
한류(韓流)의 문화적 조건 - 독일 다큐멘터리 영화 「문화의 왕 한국 Kultur-King Korea」를 중심으로
县官与贞烈:古代中越文学比较的两个重要维 - 以越南汉文抄本≪旅行吟集≫为中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