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전산 유체역학을 통한 베개 높이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전산 유체역학을 사용하여 베개 높이에 따라 상기도에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발생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머리 지지대의 초기 높이가 0cm인 모델 1, +2㎝인 모델 2,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산 유체역학을 사용하여 베개 높이에 따라 상기도에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발생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머리 지지대의 초기 높이가 0cm인 모델 1, +2㎝인 모델 2, 그리고 +4㎝인 모델 3에 대한 CB-CT(cone beam CT) 이미지를 통해 만들어진 3차원 상기도 모델이 전산 유체역학을 위해 이용되었다. 인두에서 6개의 단면은 각 모델에 대하여 최대 흡기, 휴식기, 호기에 따라 속도, 압력, 면적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머리 지지대의 높이는 상기도의 유동 특성과 관계가 있었다. 모든 모델에서 단면적이 좁을수록 큰 유량과 음압이 발생하였지만, 모델 2에서 상기도 저항과 연인두에서의 평균 압력이 가장 낮았다. 그러므로 적절한 베개 높이를 선택하는 것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n the upper airway according to pillow height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Three-dimensional upper airway models made from cone-beam compu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n the upper airway according to pillow height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Three-dimensional upper airway models made from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using the initial height of the head support for model 1 and 2- and 4-㎝ heights of the head support for models 2 and 3, respectively) were used for the CFD. Six cross-sectional planes in the pharynx were used to measure the variations of the area, pressure, and velocity at maximum inspiration, rest, and maximum expiration at each plane according to the models. The height of the head support was related to the fluid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the upper airway. In all the cases, the narrower the cross-sectional area, the greater the flow rate and negative pressure. However, model 2 showed the lowest upper airway resistance and average pressure in the velopharynx. Therefore,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pillow height might reduce the incidence of OS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 참고문헌(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훈,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진단적 측면에서 수면다원검사" 대한의사협회 55 (55): 138-145, 2012

      2 정유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진단"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33 (33): 227-232, 2013

      3 박광민,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설문조사 간의 비교분석" 대한이비인후과학회 50 (50): 888-895, 2007

      4 Kim, H. W., "The Nasal Airflow Pressure Monitoring and the Measurement of Airway Pressure Changes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Upper Airway Resistance Syndrome" 7 (7): 27-33, 2000

      5 Nam, Y. J., "The Ergonomic Study on the Height of the Pillow" 8 (8): 3-17, 1989

      6 Lee, S. J., "Snoring Clinic Visitors’ Knowledge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18 (18): 87-94, 2011

      7 Sun-Mi Jin, "Retrospective study on the airway obstruction aspects of computed tomography and lateral cephalometry and the correlation of polysomnography i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38 (38): 295-304, 2012

      8 Gislason, T., "Prevalence of Sleep Apnea Syndrome among Swedish Men-An Epidemiological Study" 41 (41): 571-576, 1988

      9 Gonzaga, C., "Obstructive Sleep Apnea,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s" 29 (29): 705-712, 2019

      10 Cisonni, J., "Effect of the Velopharynx on Intraluminal Pressures in Reconstructed Pharynges Derived from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Sleep Apnea" 46 (46): 2504-2512, 2013

      1 이승훈,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진단적 측면에서 수면다원검사" 대한의사협회 55 (55): 138-145, 2012

      2 정유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진단"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33 (33): 227-232, 2013

      3 박광민,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설문조사 간의 비교분석" 대한이비인후과학회 50 (50): 888-895, 2007

      4 Kim, H. W., "The Nasal Airflow Pressure Monitoring and the Measurement of Airway Pressure Changes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Upper Airway Resistance Syndrome" 7 (7): 27-33, 2000

      5 Nam, Y. J., "The Ergonomic Study on the Height of the Pillow" 8 (8): 3-17, 1989

      6 Lee, S. J., "Snoring Clinic Visitors’ Knowledge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18 (18): 87-94, 2011

      7 Sun-Mi Jin, "Retrospective study on the airway obstruction aspects of computed tomography and lateral cephalometry and the correlation of polysomnography i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38 (38): 295-304, 2012

      8 Gislason, T., "Prevalence of Sleep Apnea Syndrome among Swedish Men-An Epidemiological Study" 41 (41): 571-576, 1988

      9 Gonzaga, C., "Obstructive Sleep Apnea,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s" 29 (29): 705-712, 2019

      10 Cisonni, J., "Effect of the Velopharynx on Intraluminal Pressures in Reconstructed Pharynges Derived from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Sleep Apnea" 46 (46): 2504-2512, 2013

      11 Laratta, C. R., "Diagnosis and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Adults" 189 (189): 1481-1488, 2017

      12 Sung, S. J., "Customized Three-Dimensional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of the Upper Airway of Obstructive Sleep Apnea" 76 (76): 791-799, 2006

      13 Fan, 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is on the Upper Airways of Obstructive Sleep Apnea Using Patient-Specific Models" 38 (38): 401-408, 2011

      14 Yu, X., "Cephalometric Analysis in Obese and Non-obese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124 (124): 212-218,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2 0.19 0.552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