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패브릭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 : SPA 브랜드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중점적으로 = A study on consumer preferences that appear in the fabric design : focuses on the textile design of the SPA br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39196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동서대학교, 201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92.02 판사항(6)

      • DDC

        746.92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부산

      • 형태사항

        vii, 91장 : 삽화, 도표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서한석
        권말부록: 1차 설문조사지 (http://goo.gl/forms/T5NOF3F4cc) ; 2차 설문조사지 (http://goo.gl/forms/LxWkld8W4) ; 3차 설문조사지 (http://goo.gl/forms/53kzasXsJH)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서대학교 민석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래를 체험하고 싶다면 한국으로 가라.’미국 뉴스 전문 채널 CNN에서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것들’을 소개하면서 포함된 말이다. 워쇼스키 남매 감독 작품인 ‘클라우드 아틀...

      ‘미래를 체험하고 싶다면 한국으로 가라.’미국 뉴스 전문 채널 CNN에서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것들’을 소개하면서 포함된 말이다. 워쇼스키 남매 감독 작품인 ‘클라우드 아틀라스’에서도 미래도시로 ‘네오 서울’이 등장하면서 미래에 가장 가까운 도시로 묘사된다. 이토록 빠르게 발전하는 한국의 패션은 어떠한가.
      높은 스마트폰 보급률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83.0%로 세계 4위, 2015년 상반기 모바일 트렌드, kt경제경영연구소, 2015.7.
      과 인터넷의 발전은 빠른 정보의 확산을 초래했고, 빠른 정보의 확산은 한국인의 패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SNS에서는 옷 잘 입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고 공식화 시키며, 연예인이 TV에 입고 나온 옷은 다음날부터 불티나게 팔리고, 번화가를 걸어 다니면 비슷한 스타일의 젊은이가 넘쳐난다.
      최근 터져 나오기 시작한 젊은이들의 ‘똑같은 스타일’에 대한 불만이 본 논문의 출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토록 똑같은 스타일을 야기 시키는 문제의 해결점을 현대인들이 가장 많이 소비하며, 가장 빠른 트렌드를 반영하는 패션 브랜드인 SPA 브랜드에서 찾고자 한다.
      SPA 브랜드 의류의 외부 형태 디자인, 소재가 아닌 내부의 색채, 패턴, 패턴 배열, 그래픽을 주 연구 범위로 설정하고 전체 현황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여 현대인들이 가장 지향하는 패션에 대해서 알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현대인들이 인지하고 있는 현재 대한민국 패션의 문제점을 ‘내적 선호도’라고 규정하고 1차 설문조사를 실시, 그 후 실제 구매 선호도를 ‘외적 선호도’라고 규정하고 2차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SPA 브랜드 제품 보유 현황과 소비자 선호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텍스타일 디자인의 측면에서 소비자들은 색상에 대한 선호도와 패턴 혹은
      그래픽이 삽입된 의류에 대한 선호도는 어떠한가?
      3. 한국 SPA 브랜드의 현재와 한국 소비자들의 소비심리는 어떠한가?
      4. 소비자들의 내부적 선호도와 외부적 선호도는 서로 일치하는가?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이용했다.
      국내 시장규모 순위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상위 SPA 브랜드인 UNIQLO, ZARA, H&M에 대한 의류 제품의 현황의 색채, 패턴, 그래픽에 대해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색채는 총 7,664벌 중 1,694(22.1%)벌로 검정, 패턴 모티브 총 1,561벌 중 500(32.0%)벌로 체크, 패턴 배열 총 1,557벌 중 1,183(76.0%)벌로 규칙, 그래픽 총 301벌 중 이니셜 60(19.9%)벌로 각 항목 별로 가장 많았다.
      1차 설문조사인 ‘최근 한국 패션의 가장 큰 문제점이 뭐라고 생각되십니까?’의 질문에‘비슷한 스타일이 너무 많다.’가 전체 353 응답 중 145(41.1%)로 가장 높은 응답수를 보였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주관식 답안의 경우 ‘비슷한 스타일이 너무 많다.’를 응답한 응답자의 답안 중 ‘타인을 의식한다.’가 36(24.8%)으로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2차 설문조사인 각 항목의 선호도 조사 결과 남성복 전체 색채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총 1,072 중 334(31.2%)으로 검정, 여성복 전체 색채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총 1,340 중 389(29.1%)로 검정이다.
      패턴 모티브와 배열, 그래픽 선호도 조사의 경우 기본 무지(無地)도 설문항목에 포함시켜서 진행했다. 남성복 전체 패턴 모티브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총 670 중 343(51.3%)로 기본 무지, 여성복 전체 패턴 모티브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총 1,072 중 423(39.5%)로 기본 무지이다.
      남성복 전체 배열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총 670 중 343(51.2%)로 규칙, 여성복 전체 배열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총 1,072 중 505(47.1%)로 규칙이다.
      남성/여성복 전체 그래픽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총 938 중 230(24.5%)로 기본 무지이다.
      3차 설문조사인 SPA 브랜드 선호도에서는 총 응답자 173명 중 54(31.2%)명이 선택한 UNIQLO가 가장 높았다. 브랜드 선호 이유에서는 총 173명 중 58(31.2%)명이 선택한 ‘가격이 합리적이여서’가 가장 높았다. 국내 SPA 브랜드가 국외 SPA 브랜드보다 선호도가 떨어지는 이유에서는 총 173명 중 45명(26.0%)이 선택한 ‘디자인이 다양하지 않다.’가 가장 높았다. 국내 SPA 브랜드가 보다 성장하기 위해서 다음 중 가장 필요한 것에 관한 질문에서는 총 173명 중 52명(30.1%)이 선택한 ‘질 좋은 원재료 사용’이다.
      마지막으로 1차 설문조사와 2차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결과의 차이에 관한 질문으로 ‘비슷한 스타일이 너무 많다’를 문제점으로 생각하면서도 색상, 패턴, 그래픽의 선호도가 다양하지 않게 구매 하는 이유에 대해서 주관식 설문하였고, 주관식 답변이기 때문에 각 답변을 군집화 하였다. 총 응답자 45명 중 16명(35.6%)명이 선택한 '주위의 시선이 신경 쓰여서 튀는 옷을 구매 하지 못한다.’가 가장 많은 응답 수를 보였다.
      SPA 브랜드 현황과 2차 선호도 조사 비교 분석의 결과, 현황 조사의 비율 순위와 2차 선호도 결과의 순위가 매우 유사했다. SPA 브랜드의 현황이 소비자의 선호도를 그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 차 ⅲ
      • 그 림 목 차 ⅴ
      • 사 진 목 차 ⅵ
      • 국 문 초 록
      • Ⅰ. 서 론 1
      • 표 목 차 ⅲ
      • 그 림 목 차 ⅴ
      • 사 진 목 차 ⅵ
      • 국 문 초 록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목적 및 방법 4
      • 3. 선행연구의 고찰 6
      • Ⅱ. 이론적 배경 8
      • 1. SPA 브랜드 8
      • 1.1 SPA 브랜드의 정의 및 개념 8
      • 1.2 SPA 브랜드의 특징 9
      • Ⅲ. 현황 분석 12
      • 1. 분석 타겟 선정 12
      • 1.1 해외 SPA 브랜드 현황 12
      • 1.2 국내 SPA 브랜드 현황 13
      • 1.3 국내 입점 SPA 브랜드 선호도 16
      • 1.4 현황 조사 SPA 브랜드 선정 18
      • 2. 현황 조사 분류표 19
      • 3. UNIQLO 남성복 현황 22
      • 4. UNIQLO 여성복 현황 26
      • 5. ZARA 남성복 현황 30
      • 6. ZARA 여성복 현황 34
      • 7. H&M 남성복 현황 38
      • 8. H&M 여성복 현황 42
      • 9. 전체 색채 현황 분류 46
      • 10. 전체 패턴 모티브 현황 분류 48
      • 11. 전체 패턴 배열 현황 분류 50
      • 12. 전체 그래픽 현황 분류 51
      • Ⅳ. SPA브랜드 소비자 선호도 연구 53
      • 1. 설문연구 설계 및 방법 53
      • 1.1 연구 모형 53
      • 1.2 설문 방법 및 일시 54
      • 2. 1차 설문 조사 55
      • 2.1 1차 설문지 구성 55
      • 2.2 1차 설문 대상 기초 정보 56
      • 2.3 1차 설문 집계 57
      • 3. 2차 설문 조사 59
      • 3.1 2차 설문지 구성 59
      • 3.2 2차 설문 대상 기초 정보 60
      • 3.3 2차 설문 집계 62
      • 3.3.1 색채 선호도 집계 62
      • 3.3.2 패턴 모티브 선호도 집계 65
      • 3.3.3 패턴 배열 선호도 집계 68
      • 3.3.4 그래픽 선호도 집계 71
      • 4. 3차 설문 조사 72
      • 4.1 3차 설문지 구성 72
      • 4.2 3차 설문 대상 기초 정보 73
      • 4.3 3차 설문 집계 74
      • 4.3.1 SPA 브랜드 선호도 집계 74
      • 4.3.2 국내 SPA 브랜드 선호도 관련 집계 78
      • 4.3.3 1차, 2차 설문조사 차이에 관한 설문 조사 81
      • 5. 연구 결과 분석 82
      • 5.1 SPA 브랜드 제품 현황 조사 & 2차 설문 조사 비교 분석 82
      • 5.2 1차 설문 조사 & 2차 설문 조사 비교 분석 83
      • 5.3 3차 설문조사 분석 결과 85
      • 5.3.1 국내 SPA 브랜드의 인식과 문제점 85
      • 5.3.2 패션 제품 구매에 대한 한국인의 소비자세 86
      • Ⅴ. 결론 87
      • 1. 결론 87
      • 2. 제언 89
      • 3. 연구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 91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