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Kainic acid로 유발된 경련에 의한 해마의 손상과정에서 nimodipine의 신경세포 보호효과 = The effect of nimodipine in preventing the hippocampal neuronal death caused by kainic acid-induced seiz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130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경련에 의해 해마의 신경세포가 사멸하는 과정에서 칼슘이 관여한다는 것이 알려져 왔다. 따라서 칼슘통로 차단약물인 nimodipine 이 이러한 과정에서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으며 흰쥐의 kainic acid (KA) 간질모델에서 이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특정무균 수컷 Sprague-Dawley 흰쥐를 무작위로 A (5 마리), B (5 마리), 및 대조군(2 마리)으로 나누었다. A군 흰쥐에게는 40㎎/㎏의 nimodipine을 복강내로 주사하고 30분 후에 age-specific dose의 KA를 복강내로 주사하였다. B군에게는 대신에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주사한 다음 30분 후에 KA를 주사하였다. 대조군에게는 nimodipine과 KA 대신에 생리식염수를 주사하였다. KA를 주사한 후 발작의 일어나는 시간과 지속시간을 관찰하였고, 3일이 경과한 다음 희생시켜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으로 해마의 병리를 관찰하였다.
      결과: A, B군의 흰쥐는 모두에서 발작과 해마의 신경세포사가 관찰되었다. A군에서 alternate limb scratching이 나타난 시간이 51.0±4.2 분으로, B군 흰쥐의 26.6±5.5 분에 비하여 늦었고(p=0.008) 지속시간도 짧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또한 A군에서 더 많은 해마 신경세포가 살아남아 있음이 관찰되었다. 한편, 대조군의 흰쥐에서는 경련이 관찰되지 않았고, 해마도 정상이었다.
      결론: 본 실험결과에 의하면 칼슘통로봉쇄약물인 nimodipine은 KA 간질모델에서 항경련 효과 및 신경세포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경련에 의해 해마의 신경세포가 사멸하는 과정에서 칼슘이 관여한다는 것이 알려져 왔다. 따라서 칼슘통로 차단약물인 nimodipine 이 이러한 과정에서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있을 것...

      연구목적: 경련에 의해 해마의 신경세포가 사멸하는 과정에서 칼슘이 관여한다는 것이 알려져 왔다. 따라서 칼슘통로 차단약물인 nimodipine 이 이러한 과정에서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으며 흰쥐의 kainic acid (KA) 간질모델에서 이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특정무균 수컷 Sprague-Dawley 흰쥐를 무작위로 A (5 마리), B (5 마리), 및 대조군(2 마리)으로 나누었다. A군 흰쥐에게는 40㎎/㎏의 nimodipine을 복강내로 주사하고 30분 후에 age-specific dose의 KA를 복강내로 주사하였다. B군에게는 대신에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주사한 다음 30분 후에 KA를 주사하였다. 대조군에게는 nimodipine과 KA 대신에 생리식염수를 주사하였다. KA를 주사한 후 발작의 일어나는 시간과 지속시간을 관찰하였고, 3일이 경과한 다음 희생시켜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으로 해마의 병리를 관찰하였다.
      결과: A, B군의 흰쥐는 모두에서 발작과 해마의 신경세포사가 관찰되었다. A군에서 alternate limb scratching이 나타난 시간이 51.0±4.2 분으로, B군 흰쥐의 26.6±5.5 분에 비하여 늦었고(p=0.008) 지속시간도 짧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또한 A군에서 더 많은 해마 신경세포가 살아남아 있음이 관찰되었다. 한편, 대조군의 흰쥐에서는 경련이 관찰되지 않았고, 해마도 정상이었다.
      결론: 본 실험결과에 의하면 칼슘통로봉쇄약물인 nimodipine은 KA 간질모델에서 항경련 효과 및 신경세포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It has been known that seizure-induced hippocampal neuronal death was partly mediated by the Ca2+ influx,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lcium channel blocker, nimodipine in preventing hippocampal neuronal death caused by kainic acid (KA)-induced seizures.
      Materials and Methods: Specific pathogen-free,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assigned randomly to one of three groups: (ⅰ) A group (n=5), (ⅱ) B group (n=5), and (ⅲ) control group (n=2). The A group received a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nimodipine (40㎎/㎏) and an age-specific dose of KA 30 minutes later. The B group received an injection consisting of a volume of saline and the same dose of KA. Control rats were injected with equal volumes of saline instead of nimodipine and KA. After the KA injection, the latency and duration of each KA seizure was observed. Three days later the rats were sacrificed for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of the hippocampus.
      Results: all rats of the A and the B groups showed prolonged seizures and hippocampal neuronal degeneration. In the A group, seizures were milder and more hippocampal neurons were spared. Control rats showed no seizure and hippocampal neuronal degener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lcium channel blocker nimodipine have cell protecting effect during the hippocampal neuronal degeneration caused by KA-induced seizures.
      번역하기

      Purpose: It has been known that seizure-induced hippocampal neuronal death was partly mediated by the Ca2+ influx,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lcium channel blocker, nimodipine in preventing hippocampal neuronal death caused...

      Purpose: It has been known that seizure-induced hippocampal neuronal death was partly mediated by the Ca2+ influx,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lcium channel blocker, nimodipine in preventing hippocampal neuronal death caused by kainic acid (KA)-induced seizures.
      Materials and Methods: Specific pathogen-free,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assigned randomly to one of three groups: (ⅰ) A group (n=5), (ⅱ) B group (n=5), and (ⅲ) control group (n=2). The A group received a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nimodipine (40㎎/㎏) and an age-specific dose of KA 30 minutes later. The B group received an injection consisting of a volume of saline and the same dose of KA. Control rats were injected with equal volumes of saline instead of nimodipine and KA. After the KA injection, the latency and duration of each KA seizure was observed. Three days later the rats were sacrificed for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of the hippocampus.
      Results: all rats of the A and the B groups showed prolonged seizures and hippocampal neuronal degeneration. In the A group, seizures were milder and more hippocampal neurons were spared. Control rats showed no seizure and hippocampal neuronal degener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lcium channel blocker nimodipine have cell protecting effect during the hippocampal neuronal degeneration caused by KA-induced seiz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