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체육과 인격형성의 관계 또는 체육이 인격형성에 기여하는 바를 문제 삼는, 체육의 인격형성론의 논리 구조와 논제 성격을 분석하였다. 체육의 인격형성론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 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0432
200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체육과 인격형성의 관계 또는 체육이 인격형성에 기여하는 바를 문제 삼는, 체육의 인격형성론의 논리 구조와 논제 성격을 분석하였다. 체육의 인격형성론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 논...
본고는 체육과 인격형성의 관계 또는 체육이 인격형성에 기여하는 바를 문제 삼는, 체육의 인격형성론의 논리 구조와 논제 성격을 분석하였다. 체육의 인격형성론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 논제, 파생 논제 등을 분석함과 동시에 체육의 인격형성론으로 귀결되는 체육의 교육적 정당화 담론의 전개에 있어 주목해야 하는 쟁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 1) 체육의 인격형성론은 네 개의 핵심 논제로 구성된다. ① 인(간)은 무엇인가. ② (인)격이란 무엇인가. ③ (신)체는 무엇인가. ④ (교)육은 무엇인가. 네 가지 중 어떤 한 가지의 문제를 다룬다는 것은 나머지 세 가지 문제와 관련된 논의를 요구하거나 파생하게 된다. 따라서 체육의 인격형성론을 다루고자 하는 시도에 있어 위의 네 가지 문제 중 어떤 하나라도 소홀히 하다면 그러한 시도는 정당한 형식을 갖추었다고 보기 어렵다. 네 가지 문제 중 어떤 한 가지 문제를 독립적으로 다룰 수는 있지만 그로 인하여 나머지 세 가지 문제와 관련된 파생적 물음 또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 2) 체육의 인격형성론은 존재론, 가치론 그리고 동시에 방법론(정당화론)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연관된 논제이다. ① 체육의 인격형성론은 존재론의 논제이다. 인(간)은 무엇인가, 격이란 무엇인가, (신)체는 무엇인가, (교)육은 무엇인가의 문제는 모두 존재론의 문제가 된다. 인간이 본성 상 격이 있는 존재 또는 격이 문제가 되는 존재(being)이며, (신)체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존재이고, (교)육이 인(간)과 관련된 것이라는 점에서 위의 네 가지 문제는 근본적으로 인간은 무엇인가라는 존재(론)문제로 귀결된다. 문제의 방향을 반대로 하면 인간 존재 해명이 의하여 나머지 세 가지 문제는 연쇄적으로 논의의 방향 및 내용이 정해지게 된다. ② 체육의 인격형성론은 가치론의 논제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격이란 무엇인가의 문제에서 기인한다. 격이 높고 낮음의 차를 문제 삼는 것이라고 한다면 그 높고 낮음의 기준이 문제가 된다. 즉 어떠한 기준에 의하여 격의 높고 낮음을 규정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그 기준은 다름 아닌 가치(value)가 될 것이다. 즉 가치가 무엇인가에 따라 높다, 낮다와 같은 평가적 결론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가치기준을 전제로 할 때 어떤 인간의 격이 높다 또는 낮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이 인(간)의 격을 높이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삼는다고 한다면, 격의 높고 낮음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인 가치의 해명을 앞세우지 않을 수 없다. // 3) 체육의 인격형성론은 인(간의 품)격을 중심에 두는 논의라는 점에서 인격의 품격이 마련되고 고양되는 과정을 해명할 수 있어야 하며, 인간다운 인간, 품격을 갖춘 인간에서 말하는 인(간의 품)격의 기준을 해명할 수 있어야 한다. 체육의 인격형성론은 인격이 가치론적, 윤리론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 방식을 담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즉 도덕, 선은 무엇이고, 그것이 어떻게 한 인간에게 내면화될 수 있으며, 구체적 행위로 실현될 수 있는지를 다루어야 하는 것이다. 어떤 면모가 인격이라고 말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그 같은 면모가 도덕적으로 합당한, 또는 가치 있는, 또는 선한 것임을 정당화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아울러 도덕적으로 합당한, 선한 면모인 인격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될 수 있는지를 합당하게 밝힐 수 있어야 한다. // 이상의 요건들이 갖추어질 때 도덕교육에 관한 하나의 정당한 논의로서 체육의 인격형성론은 성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