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許生傳>에 구현된 전통적 가치관과 그 교육적 의미 - 出處의 義理를 통해 본 許生의 형상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716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출처관을 중심으로 <허생전>에 구현된 전통적 가치관의 의미를 검토한 것이다. 동아시아 유가지식인의 핵심적 윤리관인 출처관은 기본적으로는 士階層의 계층적 이익을 바탕으로 출현하 였지만 그 내용의 公共的 성격으로 인해 동아시아 유가지식인의 삶을 결정하는 중요한 판단기준이 되었다. 특히 출처의 의리에 철저하기 위해서는 생활의 유지가 어려울 수도 있었기에, 출처관은 한 편으로 생존과 관련된 실존적 결단의 문제이기도 하였다.
      <허생전>에 형상화된 허생의 삶은 출처의 의리에 철저한 삶이었다. 허생은 변화한 시대에 걸맞은 실질적인 능력을 갖춘 점에서 높이 평가되지만, 한편으로 현실 개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되기도 한다. 하지만 허생의 이러한 면모는 전통적 가치관인 출처관에 철저한 면모이다. 그는 출처의 의리에 철저하였기에 개인의 도덕성이 이익 때문에 훼손되지 않을 수 있었고, 개인의 능력이 권력의 도구로 활용되지 않을 수 있었다. 나아가 불의한 현실 세계를 비판할 수 있었다. 이익과 효용이 모든 가치의 기준이 되고 있는 현실에서, 한문과 교육은 무엇보다도 출처의 의리에 철저한 허생의 면모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출처관을 중심으로 <허생전>에 구현된 전통적 가치관의 의미를 검토한 것이다. 동아시아 유가지식인의 핵심적 윤리관인 출처관은 기본적으로는 士階層의 계층적 이익을 바탕...

      본 논문은 출처관을 중심으로 <허생전>에 구현된 전통적 가치관의 의미를 검토한 것이다. 동아시아 유가지식인의 핵심적 윤리관인 출처관은 기본적으로는 士階層의 계층적 이익을 바탕으로 출현하 였지만 그 내용의 公共的 성격으로 인해 동아시아 유가지식인의 삶을 결정하는 중요한 판단기준이 되었다. 특히 출처의 의리에 철저하기 위해서는 생활의 유지가 어려울 수도 있었기에, 출처관은 한 편으로 생존과 관련된 실존적 결단의 문제이기도 하였다.
      <허생전>에 형상화된 허생의 삶은 출처의 의리에 철저한 삶이었다. 허생은 변화한 시대에 걸맞은 실질적인 능력을 갖춘 점에서 높이 평가되지만, 한편으로 현실 개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되기도 한다. 하지만 허생의 이러한 면모는 전통적 가치관인 출처관에 철저한 면모이다. 그는 출처의 의리에 철저하였기에 개인의 도덕성이 이익 때문에 훼손되지 않을 수 있었고, 개인의 능력이 권력의 도구로 활용되지 않을 수 있었다. 나아가 불의한 현실 세계를 비판할 수 있었다. 이익과 효용이 모든 가치의 기준이 되고 있는 현실에서, 한문과 교육은 무엇보다도 출처의 의리에 철저한 허생의 면모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traditional values, especially focusing on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出處觀, in <Heosaengjeon許生傳> written by YeonAhm Park Jiwon燕巖 朴趾源(1737~1805).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 the core ethics of the intellectuals of East Asia emerged based on the hierarchical interests of the intellectuals. However, due to its public nature, it became an important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life of intellectuals in East Asia. Particularly, in order to thoroughly stick by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life, so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is also an issue of existential decision related to survival.
      The life of Heosaeng許生, shaped in <Heosaengjeon>, was a thorough life in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While Heosaeng is highly praised for having substantial capabilities that are appropriate for a changing age, but it is also pointed out that he is not directly involved in real reform. However, this aspect of him is a thoroughness in traditional values -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Because he was thorough in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the morality of the individual could not be undermined by his interests, and his ability could not be used as a tool of power. Furthermore, he was able to criticize the unrighteous real world. In the reality that profit and utility become the standard of all values, the aspect of Heosaeng who was thorough in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needs to be paid more attention in the Chinese classics education.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traditional values, especially focusing on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出處觀, in <Heosaengjeon許生傳> written by YeonAhm Park Jiwon燕巖 朴趾源(1737~1805). Viewpoint of taking and...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traditional values, especially focusing on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出處觀, in <Heosaengjeon許生傳> written by YeonAhm Park Jiwon燕巖 朴趾源(1737~1805).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 the core ethics of the intellectuals of East Asia emerged based on the hierarchical interests of the intellectuals. However, due to its public nature, it became an important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life of intellectuals in East Asia. Particularly, in order to thoroughly stick by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life, so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is also an issue of existential decision related to survival.
      The life of Heosaeng許生, shaped in <Heosaengjeon>, was a thorough life in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While Heosaeng is highly praised for having substantial capabilities that are appropriate for a changing age, but it is also pointed out that he is not directly involved in real reform. However, this aspect of him is a thoroughness in traditional values -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Because he was thorough in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the morality of the individual could not be undermined by his interests, and his ability could not be used as a tool of power. Furthermore, he was able to criticize the unrighteous real world. In the reality that profit and utility become the standard of all values, the aspect of Heosaeng who was thorough in viewpoint of taking and leaving government posts needs to be paid more attention in the Chinese classics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出處觀의 논리 구조와 出處의 어려움
      • Ⅲ. 出處觀을 통해 본 許生의 초상 – 許生의 도덕군자적 면모
      • Ⅳ. <許生傳>에 구현된 출처관의 교육적 의미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出處觀의 논리 구조와 出處의 어려움
      • Ⅲ. 出處觀을 통해 본 許生의 초상 – 許生의 도덕군자적 면모
      • Ⅳ. <許生傳>에 구현된 출처관의 교육적 의미
      • Ⅴ. 나가며
      • 參考文獻 Reference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集註大全"

      2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3 윤희원, "중학교 생활국어)(2-2)" 금성출판사 2011

      4 이남호, "중학교 생활국어 (2-2)" 미래앤컬처 2011

      5 윤여탁, "중학교 국어(2-2)" 미래앤컬처 2011

      6 김영, "연암의 “士”의식과 독서론" 연세대 국학연구원 53 : 1986

      7 이우성, "실학파의 문학" 국어국문학회 16 : 84-100, 1957

      8 김명석, "소설 교육과 독자의 내면화과정 연구 - 최시한의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0) : 69-102, 2012

      9 최시한, "모두 아름다운 아이들" 문학과지성사 1996

      10 조남현, "고등학교 문학 (상)"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03

      1 "論語集註大全"

      2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3 윤희원, "중학교 생활국어)(2-2)" 금성출판사 2011

      4 이남호, "중학교 생활국어 (2-2)" 미래앤컬처 2011

      5 윤여탁, "중학교 국어(2-2)" 미래앤컬처 2011

      6 김영, "연암의 “士”의식과 독서론" 연세대 국학연구원 53 : 1986

      7 이우성, "실학파의 문학" 국어국문학회 16 : 84-100, 1957

      8 김명석, "소설 교육과 독자의 내면화과정 연구 - 최시한의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0) : 69-102, 2012

      9 최시한, "모두 아름다운 아이들" 문학과지성사 1996

      10 조남현, "고등학교 문학 (상)"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03

      11 朴趾源, "燕巖集"

      12 "孟子集註大全"

      13 김병국, ""\고등학교 문학(하)" 케이스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8-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 The Korea Association For Han-character and classical writte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 0.53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