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言 ‘ 麧 籺 ’는 ‘겨’라는 義를 공유하고, 독음은 上古音 혹은 中古音에서, 韻頭는 ‘ㅎ’ 혹은 ‘ㄱ,’ 韻尾는 ‘ㅌ(ㄷ ㄹ)’으로, 대략 ‘곁 걑’ 등으로 읽었던 音近義通의 同源詞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文言 ‘ 麧 籺 ’는 ‘겨’라는 義를 공유하고, 독음은 上古音 혹은 中古音에서, 韻頭는 ‘ㅎ’ 혹은 ‘ㄱ,’ 韻尾는 ‘ㅌ(ㄷ ㄹ)’으로, 대략 ‘곁 걑’ 등으로 읽었던 音近義通의 同源詞이...
文言 ‘ 麧 籺 ’는 ‘겨’라는 義를 공유하고, 독음은 上古音 혹은 中古音에서, 韻頭는 ‘ㅎ’ 혹은 ‘ㄱ,’ 韻尾는 ‘ㅌ(ㄷ ㄹ)’으로, 대략 ‘곁 걑’ 등으로 읽었던 音近義通의 同源詞이다. ‘겨’는 곡물의 속껍질을 나타내는데, 文言 ‘ 麧 籺 ’의 독음이 그대로 우리말로 정착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특히 이들 가운데 우리에게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의 독음이 우리말 ‘겨’로 정착되는데 다른 어떤 글자들보다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麧 籺 ’의 聲符 气는 氣가 아닌 乞의 變體이다. 이들의 독음은 중고음 이후에나 운미 ‘ㅌ(ㄹ)’이 탈락되었지만, ‘’는 上古音에서 이미 初聲이 ‘ㄱ’으로 분화되었고, 아울러 韻尾도 中古音에서 이미 ‘ㅌ’이 탈락되어 우리말 ‘겨’에 가깝게 읽었기 때문이다.
‘ 麧 籺 ’를 우리말 ‘겨’의 語源으로 보는 이유는 이들의 음운변화와 우리말 ‘겉, 표면’을 나타내는 同源語들의 음운변화가 유사하기 때문이다. 上古音에서 ‘겉, 걑’ 정도로 읽던 ‘ 麧 籺 ’는 中古音 혹은 近代音에서 韻尾 ‘ㅌ’이 탈락되어 ‘괴, 기, 괘’로 읽었다. 이들과 우리말에서 사물의 표면, 껍질을 나타내는 ‘겉’ ‘곁’의 ‘ㅌ’이 탈락되어 거푸집의 ‘거,’ 거죽의 ‘거,’ 거품의 ‘거,’ 꺼풀의 ‘꺼,’ 겨드랑이의 ‘겨,’ 알곡의 속껍질을 ‘겨’로 읽는 음운 변화가 同軌이고, ‘겨’란 단어는 농경문화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인류 문명 초기는 열매나 알곡을 그대로 따 먹었을 것이다. 문화가 발전되면서 도정을 하였을 것이고, 나아가 소화나 밥맛을 고려하여 현미 상태를 백미상태로 가공하면서 ‘겨’란 부산물이 생산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겨’는 유목민 중심의 알타이어 보다는 농경정착민인 중국어에서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이러한 문화적 환경은 위 文言들을 우리말 ‘겨’의 語源으로 추론함에 어느 정도 정당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국문 초록 (Abstract)
Chinese characters goe(괴⋅), heul(흘⋅麧), geul(⋅글), geul(글⋅籺), gi(기⋅), gi(기⋅) mean ‘chaff(겨, gyeo)’ In the 上古音(sangoeum) and 中古音(Jungoeum) eras, The pronunciation of the first sound was ‘h(ㅎ),’ or ‘g(...
Chinese characters goe(괴⋅), heul(흘⋅麧), geul(⋅글), geul(글⋅籺), gi(기⋅), gi(기⋅) mean ‘chaff(겨, gyeo)’ In the 上古音(sangoeum) and 中古音(Jungoeum) eras, The pronunciation of the first sound was ‘h(ㅎ),’ or ‘g(ㄱ),’ and the ending sound was ‘t(ㅌ), d(ㄷ), r(ㄹ),’ which was read ‘gyeot(곁)’. Etymologically, A korean word ‘chaff(gyeo)’ is from Chinese character ‘goe(), heul(麧), geul(), geul(籺), gi(), gi()’.
Especially, ‘goe()’ was believed to have directly affected to it’s origin. Because ‘goe()’ was read ‘geot(곁), gyat(걑)’ in 上古音(sangoeum) era, but as the ending sound ‘t(ㅌ)’ has dropped out of its pronunciation, it was changed to read ‘goe(괴),’ ‘gi(기),’ ‘goe(괘)’ in 中古音(Jungoeum) era, which is similar to phonetic change of korean words ‘goet(겉)’, ‘gyoet(곁)’ meaning surface or peel of things, ‘geo(거)’ meaning a mold(거푸집, geopujip), and ‘gyeo(겨)’ meaning the inner skin of grain. it was believed to have changed to gyeo(겨) as the ending sound ‘t(ㅌ)’ has dropped out of ‘gyeot(곁), geot(겉)’.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문식, "호랑이와 거렁뱅이의 語源硏究" 한국어원학회 3 (3): 31-53, 2001
2 고려대학교민족문화원, "한국어대사전" 2009
3 조영언, "한국어 어원사전" 다솜 문화출판사 2004
4 박재연, "필사본 고어대사전" 學古房 2010
5 백문식,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三光출판사 1988
6 김민수, "우리말 語源辭典" 태학사 1997
7 이희승,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1999
8 段玉裁,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1995
9 許愼, "說文解字" 中華書局 1994
10 漢語大詞典編纂委員會 漢語大詞典編纂處, "漢語大詞典(1986(1권)~1993(12권)" 上海辭書出版社 1993
1 최문식, "호랑이와 거렁뱅이의 語源硏究" 한국어원학회 3 (3): 31-53, 2001
2 고려대학교민족문화원, "한국어대사전" 2009
3 조영언, "한국어 어원사전" 다솜 문화출판사 2004
4 박재연, "필사본 고어대사전" 學古房 2010
5 백문식,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三光출판사 1988
6 김민수, "우리말 語源辭典" 태학사 1997
7 이희승,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1999
8 段玉裁,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1995
9 許愼, "說文解字" 中華書局 1994
10 漢語大詞典編纂委員會 漢語大詞典編纂處, "漢語大詞典(1986(1권)~1993(12권)" 上海辭書出版社 1993
11 郭錫良, "漢字古音手冊" 北京大學出版社 1986
12 李珍華, "漢字古今音表" 中華書局 1993
13 서정범, "國語語源辭典" 도서출판 보고사 2001
14 王力, "同源字典" 商務印書館 1987
15 南廣祐, "古語辭典" 교학사 2017
16 孟蓬生, "上古漢語同源詞語音關系硏究" 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01
17 "isbn 978-89-7155-122-6. isbn 978-89-7155-121-9.(세트)"
지식습득 관점에서 본 한자어교육 논쟁의 해결 방안 연구
逸話에 담긴 전통적 가치관의 양상과 가치의 내면화 방안
한시에 나타난 ‘仁 범주 가치’의 이월적 의미와 교육적 가능성에 대하여
<許生傳>에 구현된 전통적 가치관과 그 교육적 의미 - 出處의 義理를 통해 본 許生의 형상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8-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 The Korea Association For Han-character and classical written language Education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3 | 0.534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