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연심, "현장역량 강화를 위한 영유아교육기관 관찰 및 실습" 공동체 2017
2 서혜정, "행복한 수업을 찾아가는 유아교사의 이야기" 한국아동학회 33 (33): 149-175, 2012
3 박주호, "학습활동으로서 교사협력이수업개선 정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43-265, 2016
4 정유진, "학생지도 혼선, 1수업 2교사제 반발확산" 문화일보
5 Shaplin, J. T, "팀티칭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1971
6 이영미, "팀티칭 상황에서 유치원 초임 부담임교사들이 인식한 어려움 탐색" 한국보육학회 14 (14): 207-227, 2014
7 김효정,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영아반 경력교사에게 주는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521-551, 2011
8 전윤숙, "초임보육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한국보육학회 11 (11): 167-187, 2011
9 권현서, "정담임-정담임 팀티칭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갈등과 불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박미경,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잇감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25-349, 2010
1 문연심, "현장역량 강화를 위한 영유아교육기관 관찰 및 실습" 공동체 2017
2 서혜정, "행복한 수업을 찾아가는 유아교사의 이야기" 한국아동학회 33 (33): 149-175, 2012
3 박주호, "학습활동으로서 교사협력이수업개선 정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43-265, 2016
4 정유진, "학생지도 혼선, 1수업 2교사제 반발확산" 문화일보
5 Shaplin, J. T, "팀티칭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1971
6 이영미, "팀티칭 상황에서 유치원 초임 부담임교사들이 인식한 어려움 탐색" 한국보육학회 14 (14): 207-227, 2014
7 김효정,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영아반 경력교사에게 주는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521-551, 2011
8 전윤숙, "초임보육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한국보육학회 11 (11): 167-187, 2011
9 권현서, "정담임-정담임 팀티칭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갈등과 불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박미경,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잇감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25-349, 2010
11 나은숙,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유아들의 흥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281-304, 2007
12 서혜정,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교사 역할을 찾아가는 현장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163-188, 2012
13 김안나,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및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14 (14): 153-175, 2014
14 김경희,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나는 교사와 유아의 설명을 통한 공동구성"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91-214, 2013
15 김수정,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역할 및 갈등요인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6 전효훈,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놀이의 활용에 관한 경력 교사의 경험과 어려움의 해결방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305-334, 2011
17 Cannella, G. S., "유아교육이론 해체하기 : 비판적 접근" 창지사 2002
18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사전(용어편)" 한국사전연구사 1996
19 백나리, "유아교육기관에 따른 팀티칭 교수법 운영현황과 교사의 인식"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2
20 장윤정,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 만 3~5세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7 (17): 181-203, 2017
21 조인숙,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직수행에서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 (1): 197-218, 2001
22 김희연, "유아 교실에서의 교사 협력:2교사제 교사들의 내러티브"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77-296, 2009
23 김정은, "어린이집의 팀티칭 현황 및 원장과 교사의 인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24 오지선, "어린이집 교사들의 경력차이에 따른 팀티칭 경험"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247-273, 2016
25 김현진,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8 (8): 17-30, 2008
26 양승희, "보육교사 직무만족도와 보육시설 근무환경과의 관계 분석" 한국보육학회 7 (7): 46-67, 2007
27 유희정, "만1세반 3인 담임제 교사의 팀티칭에 대한 어려움 이야기" 대한아동복지학회 12 (12): 79-105, 2014
28 엄정애, "놀이와 유아교육 : 그 조화와 방향에 대한 탐색" 5 (5): 1-25, 2001
29 곽향림, "구성주의 교실에서 진정한 자유선택활동을 위한 유아들의 노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401-424, 2012
30 염지숙,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6 (6): 119-140, 2003
31 이문구,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멘토링 실태 및 요구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2 김혜진, "교사 협력이 교사 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123-148, 2015
33 홍정선, "‘장난감 없는 교실’에 나타난 유아의 놀이 경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429-457, 2008
34 Enz, B., "Teacher Play Interaction Styles : Effects on Play Behavior and Realtionships with Teacher Training and Experience" 2 : 55-75, 1997
35 Isenberg, J., "Play : A Necessity for All Children" 64 (64): 138-145, 1988
36 Bronson, C. E., "Facilitating effective collaborative team teaching: What instructional leaders need to know"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