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 정교사 2인 공동담임체제의 협력적 운영 = Collaborative Management of the Joint Homeroom Teacher System with Two Regular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48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joint homeroom teacher system with two regular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a realistic manner, thus contributing to its application to the field, establishing a system of teachers with professionalism, and providing basic data to create and manage the collaborative capabilities of teachers.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13 semi-structured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with 16 teachers at K Kindergarten in Gyeonggi Province, eight field observations, and four participant observations for about three months from April to July, 2017. The data were analyzed in the stage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involving keyword categories, classification, and discovery of sub-theme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categorized the collaborative management of the joint homeroom teacher system with two regular teachers into "job performance," "difficulties," "institutional supports" and "changes." These findings lead to an expectation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joint homeroom teacher system with two regular teachers will establish a foundation for higher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and changes of collaborative management between two teachers with professionalism.
      번역하기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joint homeroom teacher system with two regular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a realistic manner, thus contributing to its application to the field, establishing a system of teachers with pr...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joint homeroom teacher system with two regular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a realistic manner, thus contributing to its application to the field, establishing a system of teachers with professionalism, and providing basic data to create and manage the collaborative capabilities of teachers.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13 semi-structured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with 16 teachers at K Kindergarten in Gyeonggi Province, eight field observations, and four participant observations for about three months from April to July, 2017. The data were analyzed in the stage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involving keyword categories, classification, and discovery of sub-theme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categorized the collaborative management of the joint homeroom teacher system with two regular teachers into "job performance," "difficulties," "institutional supports" and "changes." These findings lead to an expectation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joint homeroom teacher system with two regular teachers will establish a foundation for higher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and changes of collaborative management between two teachers with professional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정교사 2인 공동담임제의 현실적인 탐색을 통해 현장적용을 실천하는데 도움이 되고 이를 통해 전문성을 갖춘 교사체제를 정립함으로써 교사간의 협력적인 능력 창출과 운영에 대한 기초연구가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4월부터 7월까지 약 3개월간 경기도 소재의 K유치원에서 교사 16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된 개인 및 집단면담 13회, 현장관찰 8회, 참여관찰 4회에 걸쳐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질적 자료 분석 방법인 키워드 분류, 유목화, 소주제 발견 단계로 진행 되었다. 그 결과, 정교사 2인 공동담임제의 협력적 운영에 대해‘업무 수행’, ‘어려움’, ‘기관의 지원’, ‘변화’로 범주화하여 기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정교사 2인 공동담임제를 도입하여 전문성을 갖춘 2인 교사가 협력적 운영의 과정, 변화를 통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정교사 2인 공동담임제의 현실적인 탐색을 통해 현장적용을 실천하는데 도움이 되고 이를 통해 전문성을 갖춘 교사체제를 정립함으로써 교사간의 협력적인 능...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정교사 2인 공동담임제의 현실적인 탐색을 통해 현장적용을 실천하는데 도움이 되고 이를 통해 전문성을 갖춘 교사체제를 정립함으로써 교사간의 협력적인 능력 창출과 운영에 대한 기초연구가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4월부터 7월까지 약 3개월간 경기도 소재의 K유치원에서 교사 16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된 개인 및 집단면담 13회, 현장관찰 8회, 참여관찰 4회에 걸쳐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질적 자료 분석 방법인 키워드 분류, 유목화, 소주제 발견 단계로 진행 되었다. 그 결과, 정교사 2인 공동담임제의 협력적 운영에 대해‘업무 수행’, ‘어려움’, ‘기관의 지원’, ‘변화’로 범주화하여 기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정교사 2인 공동담임제를 도입하여 전문성을 갖춘 2인 교사가 협력적 운영의 과정, 변화를 통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연심, "현장역량 강화를 위한 영유아교육기관 관찰 및 실습" 공동체 2017

      2 서혜정, "행복한 수업을 찾아가는 유아교사의 이야기" 한국아동학회 33 (33): 149-175, 2012

      3 박주호, "학습활동으로서 교사협력이수업개선 정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43-265, 2016

      4 정유진, "학생지도 혼선, 1수업 2교사제 반발확산" 문화일보

      5 Shaplin, J. T, "팀티칭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1971

      6 이영미, "팀티칭 상황에서 유치원 초임 부담임교사들이 인식한 어려움 탐색" 한국보육학회 14 (14): 207-227, 2014

      7 김효정,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영아반 경력교사에게 주는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521-551, 2011

      8 전윤숙, "초임보육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한국보육학회 11 (11): 167-187, 2011

      9 권현서, "정담임-정담임 팀티칭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갈등과 불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박미경,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잇감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25-349, 2010

      1 문연심, "현장역량 강화를 위한 영유아교육기관 관찰 및 실습" 공동체 2017

      2 서혜정, "행복한 수업을 찾아가는 유아교사의 이야기" 한국아동학회 33 (33): 149-175, 2012

      3 박주호, "학습활동으로서 교사협력이수업개선 정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43-265, 2016

      4 정유진, "학생지도 혼선, 1수업 2교사제 반발확산" 문화일보

      5 Shaplin, J. T, "팀티칭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1971

      6 이영미, "팀티칭 상황에서 유치원 초임 부담임교사들이 인식한 어려움 탐색" 한국보육학회 14 (14): 207-227, 2014

      7 김효정,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영아반 경력교사에게 주는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521-551, 2011

      8 전윤숙, "초임보육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한국보육학회 11 (11): 167-187, 2011

      9 권현서, "정담임-정담임 팀티칭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갈등과 불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박미경,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잇감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25-349, 2010

      11 나은숙,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유아들의 흥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281-304, 2007

      12 서혜정,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교사 역할을 찾아가는 현장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163-188, 2012

      13 김안나,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및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14 (14): 153-175, 2014

      14 김경희,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나는 교사와 유아의 설명을 통한 공동구성"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91-214, 2013

      15 김수정,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역할 및 갈등요인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6 전효훈,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놀이의 활용에 관한 경력 교사의 경험과 어려움의 해결방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305-334, 2011

      17 Cannella, G. S., "유아교육이론 해체하기 : 비판적 접근" 창지사 2002

      18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사전(용어편)" 한국사전연구사 1996

      19 백나리, "유아교육기관에 따른 팀티칭 교수법 운영현황과 교사의 인식"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2

      20 장윤정,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 만 3~5세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7 (17): 181-203, 2017

      21 조인숙,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직수행에서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 (1): 197-218, 2001

      22 김희연, "유아 교실에서의 교사 협력:2교사제 교사들의 내러티브"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77-296, 2009

      23 김정은, "어린이집의 팀티칭 현황 및 원장과 교사의 인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24 오지선, "어린이집 교사들의 경력차이에 따른 팀티칭 경험"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247-273, 2016

      25 김현진,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8 (8): 17-30, 2008

      26 양승희, "보육교사 직무만족도와 보육시설 근무환경과의 관계 분석" 한국보육학회 7 (7): 46-67, 2007

      27 유희정, "만1세반 3인 담임제 교사의 팀티칭에 대한 어려움 이야기" 대한아동복지학회 12 (12): 79-105, 2014

      28 엄정애, "놀이와 유아교육 : 그 조화와 방향에 대한 탐색" 5 (5): 1-25, 2001

      29 곽향림, "구성주의 교실에서 진정한 자유선택활동을 위한 유아들의 노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401-424, 2012

      30 염지숙,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6 (6): 119-140, 2003

      31 이문구,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멘토링 실태 및 요구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2 김혜진, "교사 협력이 교사 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123-148, 2015

      33 홍정선, "‘장난감 없는 교실’에 나타난 유아의 놀이 경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429-457, 2008

      34 Enz, B., "Teacher Play Interaction Styles : Effects on Play Behavior and Realtionships with Teacher Training and Experience" 2 : 55-75, 1997

      35 Isenberg, J., "Play : A Necessity for All Children" 64 (64): 138-145, 1988

      36 Bronson, C. E., "Facilitating effective collaborative team teaching: What instructional leaders need to know"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2 1.92 2.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1.93 2.336 0.8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