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용 허가제 이후 이주 노동자 선교의 과제와 전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927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고용 허가제가 실시된 2004년 이후 변화된 상황을 전제하고 이주 노동자의 현실을 살피고(Ⅱ장), 이주 노동자의 선교 현황에 대해 민중의 사회 전기(傳記)를 통해서(Ⅲ장), 설문 조사를 통해서(Ⅳ장) 알아본 후 이주 노동자 선교신학을 모색하고(Ⅴ장), 이 모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해서 이주 노동자 선교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려 한다(Ⅵ장). 본 연구는 2005년 11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학술진흥재단에서 지원하여 진행된 박사 후 연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연구 결과 전문은 2007년 2월 한국선교신학회에서 발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제한된 지면으로 인해 그 중요한 흐름만(특히 Ⅱ장과 Ⅲ장) 실었음을 밝힌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 제시된 민중의 사회 전기, 타자와 만남의 선교론, 그리고 설문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Ⅱ장에서는 이주 노동자의 일반 상황으로서 국제 노동력의 이동과 고용 허가제 실시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14개 국가 출신 이주 노동자 39명(어린이 2명 제외)의 사회전기를 통해 본 이주 노동자 선교의 과제는 한국 교회의 갱신, 감동을 주는 선교, 치유 선교, 이주 노동자 양육, 돈의 유혹 극복과 하나님 사랑, 한국 교인에 대한 교육, 정주화 대비, 세계 선교의 새로운 지평 확대, 종교 간 갈등 대비 등이었다.
      Ⅳ장에서는 10개 국가(11개 그룹)를 대상으로 546명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이주 노동자의 42%가 입국 전에 기독교 신자였지만 입국 후 57%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주 노동자 선교가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 평가를 받지만 이주 노동자 선교의 주요 과제로는 첫째, 한국 교회가 복음으로 돌아가야 한다. 둘째, 한국 교회나 선교 단체의 욕구가 아니라 이들의 종교적 욕구를 수용해야 한다. 셋째, 한국인들의 외국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 정주화 경향이 나타나는 만큼 가정을 돌보는 사역, 자녀 양육 사역 등에 대해 대비해야 한다.
      Ⅴ장에서는 이주 노동자 선교신학으로 성경적 전거를 보았다. 구약이나 신약 모두 이주민과 미등록 노동자에 해당하는 각각의 용어가 있지만 성경은 지속적으로 법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이주 노동자들을 섬기고 보호하라고 명한다. 이웃 사랑의 대상은 이주민을 넘어서서 미등록 이주 노동자를 향한 것이 성경의 가르침이다. 그리고 이주 노동자 선교가 함의하는 교회론은 나그네 교회와 만민이 기도하는 집으로서의 교회를 보았다. 나그네/이주민 교회는 집 없는 자들에게 집이 되는 교회, 사회적으로 소외당하는 자들에게 새로운 가정이 되는 교회, 인종성으로부터의 해방이 아니라 인종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해방을 체험하는 교회이며, 이를 통해 다른 인종이나 사람들에게도 참된 해방을 이루게 함으로써 하나님 나라가 이 땅에 이루어지게 히는 데 기여하는 교회이다. 만민이 기도하는 집으로서의 교회는 다인종 교회, 다문화 교회를 가리키는데 교회 성장 신학에 기반을 둘 수도 있고, 인종 간 화해를 지향하거나 평화 공동체나 하나님 나라를 지향할 수 있지만 이 글에서는 후자에 무게를 두었다. 이주 노동자 선교신학의 유형으로는 개종 유형, 회심 유형, 환대로서의 선교, 역전된 선교, 소수자 선교 등으로 나뉜다. 이러한 구분은 타자와의 만남의 선교론에 바탕을 두고 구별했다. 가장 바람직한 유형으로서 소수자 선교를 제시했다.
      Ⅵ장에서는 이주 노동자 선교의 전망을 살펴보았다. 이주 노동자 선교는 이제 막 드러나기 시작한 세계 선교의 새로운 방법과 접근 방식을 많이 보여주는데 앞으로는 세계 선교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줄 것으로 본다. 또 이주 노동자들의 정주화에 대비해야 한다. 그리고 이주 노동자들이나 이주민 가운데 타종교인들과 한국 기독교인들, 또는 이주 노동자들 사이에 종교 간 갈등의 우려가 있어 이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국 동포를 통한 중국 선교와 남북의 평화 통일에 기여해야 한다. 이주 노동자 선교가 이주민 선교에 기여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아시아 출신의 이주 노동자 선교를 통해 아시아인들이 연대하여 아시아의 평화에 참여하는 길을 찾도록 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고용 허가제가 실시된 2004년 이후 변화된 상황을 전제하고 이주 노동자의 현실을 살피고(Ⅱ장), 이주 노동자의 선교 현황에 대해 민중의 사회 전기(傳記)를 통해서(Ⅲ장), 설문 조...

      이 논문은 고용 허가제가 실시된 2004년 이후 변화된 상황을 전제하고 이주 노동자의 현실을 살피고(Ⅱ장), 이주 노동자의 선교 현황에 대해 민중의 사회 전기(傳記)를 통해서(Ⅲ장), 설문 조사를 통해서(Ⅳ장) 알아본 후 이주 노동자 선교신학을 모색하고(Ⅴ장), 이 모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해서 이주 노동자 선교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려 한다(Ⅵ장). 본 연구는 2005년 11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학술진흥재단에서 지원하여 진행된 박사 후 연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연구 결과 전문은 2007년 2월 한국선교신학회에서 발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제한된 지면으로 인해 그 중요한 흐름만(특히 Ⅱ장과 Ⅲ장) 실었음을 밝힌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 제시된 민중의 사회 전기, 타자와 만남의 선교론, 그리고 설문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Ⅱ장에서는 이주 노동자의 일반 상황으로서 국제 노동력의 이동과 고용 허가제 실시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14개 국가 출신 이주 노동자 39명(어린이 2명 제외)의 사회전기를 통해 본 이주 노동자 선교의 과제는 한국 교회의 갱신, 감동을 주는 선교, 치유 선교, 이주 노동자 양육, 돈의 유혹 극복과 하나님 사랑, 한국 교인에 대한 교육, 정주화 대비, 세계 선교의 새로운 지평 확대, 종교 간 갈등 대비 등이었다.
      Ⅳ장에서는 10개 국가(11개 그룹)를 대상으로 546명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이주 노동자의 42%가 입국 전에 기독교 신자였지만 입국 후 57%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주 노동자 선교가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 평가를 받지만 이주 노동자 선교의 주요 과제로는 첫째, 한국 교회가 복음으로 돌아가야 한다. 둘째, 한국 교회나 선교 단체의 욕구가 아니라 이들의 종교적 욕구를 수용해야 한다. 셋째, 한국인들의 외국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 정주화 경향이 나타나는 만큼 가정을 돌보는 사역, 자녀 양육 사역 등에 대해 대비해야 한다.
      Ⅴ장에서는 이주 노동자 선교신학으로 성경적 전거를 보았다. 구약이나 신약 모두 이주민과 미등록 노동자에 해당하는 각각의 용어가 있지만 성경은 지속적으로 법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이주 노동자들을 섬기고 보호하라고 명한다. 이웃 사랑의 대상은 이주민을 넘어서서 미등록 이주 노동자를 향한 것이 성경의 가르침이다. 그리고 이주 노동자 선교가 함의하는 교회론은 나그네 교회와 만민이 기도하는 집으로서의 교회를 보았다. 나그네/이주민 교회는 집 없는 자들에게 집이 되는 교회, 사회적으로 소외당하는 자들에게 새로운 가정이 되는 교회, 인종성으로부터의 해방이 아니라 인종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해방을 체험하는 교회이며, 이를 통해 다른 인종이나 사람들에게도 참된 해방을 이루게 함으로써 하나님 나라가 이 땅에 이루어지게 히는 데 기여하는 교회이다. 만민이 기도하는 집으로서의 교회는 다인종 교회, 다문화 교회를 가리키는데 교회 성장 신학에 기반을 둘 수도 있고, 인종 간 화해를 지향하거나 평화 공동체나 하나님 나라를 지향할 수 있지만 이 글에서는 후자에 무게를 두었다. 이주 노동자 선교신학의 유형으로는 개종 유형, 회심 유형, 환대로서의 선교, 역전된 선교, 소수자 선교 등으로 나뉜다. 이러한 구분은 타자와의 만남의 선교론에 바탕을 두고 구별했다. 가장 바람직한 유형으로서 소수자 선교를 제시했다.
      Ⅵ장에서는 이주 노동자 선교의 전망을 살펴보았다. 이주 노동자 선교는 이제 막 드러나기 시작한 세계 선교의 새로운 방법과 접근 방식을 많이 보여주는데 앞으로는 세계 선교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줄 것으로 본다. 또 이주 노동자들의 정주화에 대비해야 한다. 그리고 이주 노동자들이나 이주민 가운데 타종교인들과 한국 기독교인들, 또는 이주 노동자들 사이에 종교 간 갈등의 우려가 있어 이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국 동포를 통한 중국 선교와 남북의 평화 통일에 기여해야 한다. 이주 노동자 선교가 이주민 선교에 기여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아시아 출신의 이주 노동자 선교를 통해 아시아인들이 연대하여 아시아의 평화에 참여하는 길을 찾도록 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on the migrant worker mission was carried out as the post-doctorate course supported by the Korea Research Fund from November 2005 to October 2006.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too long to reproduce within this limited space, the writer had to omit two chapters(literature survey and characteristics of migrant worker mission of Korean churches /mission centers) from the original report including some parts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chapters. Three methodologies adopted by the research were explained in the first chapter: the social biography of minjung suggested by Kim Yong-bock, missiology as the encounter with the others, and survey by the questionnaires.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migrant workers such as the move of the international labor force, the life of migrant workers, the implementation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and some perspective on the migrant workers.
      In the third chapter, the writer applied the social biography of minjung to 39 migrant workers coming from 14 countries. According to their social biographies the writer identifie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churches/mission centers they attended and their suggestions for the churches/mission centers. These migrant workers made some suggestions as main tasks for migrant worker mission of the Korean church/mission center such as: renewal of Korean church, mission that moved migrant workers, healing mission, nursing migrant workers’ faith, education for the Korean Christians, and preparing for the religious conflicts.
      The fourth chapter analyz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responded by 546 migrant workers coming from 10 countries. This chapter deals with their nationality, age, gender, length of stay, current job, status of visa, worship and table community, preaching, and missionary tasks of Korean church. These migrant workers suggested to the Korean church that she return to the Gospel; she accept their religious aspirations; she teach Korean Christians how to understand the migrant workers; she care for their families, especially their children.
      Theological reflections on the migrant worker mission was presented in the fifth chapter. First of all, the biblical foundation for the migrant worker mission was identified by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Then the church for the stranger and the church as the house of prayer for all nations were identified as the ecclesiology for the migrant workers. Lastly, five types of mission theology for the migrant worker were suggested as proselytism, conversion, mission as hospitality, mission in reverse, and minority mission.
      The last chapter presented the prospects of migrant worker mission. Even though the migrant worker mission is at the beginning stage, it opens a new dimension for the world mis-sion in terms of missionary methods and approaches. And it should prepare for the forthcoming immigrants. Also it has to find out how to contribute to the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 by serving Korean Chinese and how to contribute to the peace of Asia by Korean Christians solidarity with Asian migrant workers.
      번역하기

      The research on the migrant worker mission was carried out as the post-doctorate course supported by the Korea Research Fund from November 2005 to October 2006.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too long to reproduce within this limited space, the wr...

      The research on the migrant worker mission was carried out as the post-doctorate course supported by the Korea Research Fund from November 2005 to October 2006.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too long to reproduce within this limited space, the writer had to omit two chapters(literature survey and characteristics of migrant worker mission of Korean churches /mission centers) from the original report including some parts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chapters. Three methodologies adopted by the research were explained in the first chapter: the social biography of minjung suggested by Kim Yong-bock, missiology as the encounter with the others, and survey by the questionnaires.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migrant workers such as the move of the international labor force, the life of migrant workers, the implementation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and some perspective on the migrant workers.
      In the third chapter, the writer applied the social biography of minjung to 39 migrant workers coming from 14 countries. According to their social biographies the writer identifie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churches/mission centers they attended and their suggestions for the churches/mission centers. These migrant workers made some suggestions as main tasks for migrant worker mission of the Korean church/mission center such as: renewal of Korean church, mission that moved migrant workers, healing mission, nursing migrant workers’ faith, education for the Korean Christians, and preparing for the religious conflicts.
      The fourth chapter analyz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responded by 546 migrant workers coming from 10 countries. This chapter deals with their nationality, age, gender, length of stay, current job, status of visa, worship and table community, preaching, and missionary tasks of Korean church. These migrant workers suggested to the Korean church that she return to the Gospel; she accept their religious aspirations; she teach Korean Christians how to understand the migrant workers; she care for their families, especially their children.
      Theological reflections on the migrant worker mission was presented in the fifth chapter. First of all, the biblical foundation for the migrant worker mission was identified by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Then the church for the stranger and the church as the house of prayer for all nations were identified as the ecclesiology for the migrant workers. Lastly, five types of mission theology for the migrant worker were suggested as proselytism, conversion, mission as hospitality, mission in reverse, and minority mission.
      The last chapter presented the prospects of migrant worker mission. Even though the migrant worker mission is at the beginning stage, it opens a new dimension for the world mis-sion in terms of missionary methods and approaches. And it should prepare for the forthcoming immigrants. Also it has to find out how to contribute to the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 by serving Korean Chinese and how to contribute to the peace of Asia by Korean Christians solidarity with Asian migrant work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 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연구 방법론
      • Ⅲ. 이주 노동자의 일반 상황
      • Ⅳ. 이주 노동자 사회 전기를 통하여 본 이주 노동자 선교 과제
      • 논문 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연구 방법론
      • Ⅲ. 이주 노동자의 일반 상황
      • Ⅳ. 이주 노동자 사회 전기를 통하여 본 이주 노동자 선교 과제
      • Ⅴ. 설문 작업을 통해 본 이주 노동자 선교 과제
      • Ⅵ. 이주 노동자 선교신학
      • Ⅶ. 이주 노동자 선교의 전망
      • Ⅷ. 나오는 말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설동훈, "한국의 외국인 노동 운동 1993-2003: 이주 노동자의 저항의 기록" (17) : 246-269, 2003

      2 이혜경, "한국 사회와 외국인 노동자- 그 종합적 이해를 위하여" 미래인력연구센터 1998

      3 황홍렬, "한국 민중교회 선교 역사(1983-1997)와 민중 선교론" 한들출판사 2004

      4 한건수, "타자 만들기: 한국 사회와 이주 노동자의 재현" 9 (9): 157-193, 2003

      5 이남석, "차이의 정치-이제 소수를 위하여" 책세상 2001

      6 황홍렬, "조선족의 사회 전기를 통해 본 조선족 선교의 과제, 조선족 선교의 현실과 미래" 한민족평화선교연구소 94-125,

      7 박천응, "이주민 신학과 국경 없는 마을 실천" 국경없는 마을 2006

      8 설동훈, "이주 노동자 지원 시민 단체의 발전, 1990-2002년: 쟁점과 과제" 2003

      9 윤수종, "우리 시대의 소수자 운동" 이학사 2005

      10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외국인 이주 노동자를 위한 국제 민간 포럼 자료집" 2001

      1 설동훈, "한국의 외국인 노동 운동 1993-2003: 이주 노동자의 저항의 기록" (17) : 246-269, 2003

      2 이혜경, "한국 사회와 외국인 노동자- 그 종합적 이해를 위하여" 미래인력연구센터 1998

      3 황홍렬, "한국 민중교회 선교 역사(1983-1997)와 민중 선교론" 한들출판사 2004

      4 한건수, "타자 만들기: 한국 사회와 이주 노동자의 재현" 9 (9): 157-193, 2003

      5 이남석, "차이의 정치-이제 소수를 위하여" 책세상 2001

      6 황홍렬, "조선족의 사회 전기를 통해 본 조선족 선교의 과제, 조선족 선교의 현실과 미래" 한민족평화선교연구소 94-125,

      7 박천응, "이주민 신학과 국경 없는 마을 실천" 국경없는 마을 2006

      8 설동훈, "이주 노동자 지원 시민 단체의 발전, 1990-2002년: 쟁점과 과제" 2003

      9 윤수종, "우리 시대의 소수자 운동" 이학사 2005

      10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외국인 이주 노동자를 위한 국제 민간 포럼 자료집" 2001

      11 외국인노동자대책협의회, "외국인 이주 노동자 인권 백서" 외국인이주 노동자대책협의회 2001

      12 외국인노동자대책협의회, "외국인 산업 기술 연수생 인권 백서: 인권 침해의 현장 보고" 외국인노동자대책협의회 2000

      13 유명기, "외국인 노동자의 차별 구조" (21) : 69-82, 1997

      14 석현호, "외국인 노동자의 일터와 삶" 지식마당 2003

      15 설동훈,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 사회"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16 허창수, "외국인 노동자:환영받지 못한 손님" 분도출판사 1998

      17 유명기, "외국인 노동자, 아직 미완성인 우리의 미래" (18) : 12-35,

      18 설동훈, "외국인 노동자 지원 단체 10년간의 쟁점과 과제" (6) : 34-46, 2002

      19 외국인노동자 의료공제회, "외국인 노동자 의료 백서" 청년의사 2001

      20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전도부 외국인근로자선교후원회, "외국인 노동자 선교와 신학, 외국인근로자선교 정책협의회 자료집" 한들출판사 2003

      21 설동훈, "외국 여성 성매매 실태 조사" 여성부 2003

      22 박경미, "신약성경에 나타나는 ‘외국인’ 개념과 초대 기독교인의 자기 의식의 표지로서의 ‘외국인’" (113) : 122-148, 2001

      23 이란주, "말해요,찬드라" 삶이 보이는 창 2003

      24 그린웨이, 로저, "도시 선교 사역에로의 여정" 10 : 120-141, 2002

      25 윤수종, "다르게 사는 사람들: 우리 사회의 소수자들 이야" 이학사 2002

      26 왕대일, "나그네(게르)- 구약신학적 이해" (113) : 101-121, 2001

      27 스타커, 피터, "국제 이주" 이소출판사 2004

      28 설동훈, "국내 거주 외국인 노동자 인권 실태 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02

      29 설동훈, "국내 거주 외국인 노동자 아동의 인권 실태 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03

      30 스타커, 피터, "국경 없는 노동자"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3

      31 케빈 그레이, "계급 이하의 계급'으로서 한국의 이주노동자들" 아세아문제연구소 47 (47): 97-128, 2004

      32 Campese, Gioacchino CS, "Walk Humbly with Your God! Notes on a Spirituality for Missionaries with Migrants" 25 (25): 131-140, 1997

      33 Ferris,Elizabeth G, "Uprooted! Refugees and Forced Migrants" Friendship Press 1998

      34 CCA, "Uprooted People in Asia" CCA,WCC 1995

      35 Stromberg, Jean S, "Responding to the Challenges of Migration: Churches within the Fellowship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2003

      36 Gittins, Anthony J, "Reflections from the Edge: Mission-in-Reverse and Missiological Research" 21 (21): 21-29, 1993

      37 Kelsey,George D, "Racism and the Christian Understanding of Man" Charles Scribner’s Sons 1965

      38 Jongeneel, Jan A. B, "Mission of Migrant Churches in Europe" 2003

      39 Sundermeier, Theo, "Missiology Yesterday and Tomorrow" Missonalia 1990

      40 Hanciles, Jehu J, "Migration and Mission: Some Implications for the Twenty-first-Century Church" 27 (27): 2003

      41 CCA URM, "Migrant Workers:victims of unbalanced development" CCA URM 1992

      42 Asian Migrant Centre, "Migrant Forum in Asia, Asian Migrant Yearboor" Asian Migrant Centre 1998

      43 Kim, Sungjae, "God of Migrants and Migrants with God towards Peace-Making" 22 (22): 34-48, 2006

      44 Koyama, Kosuke, "Extended Hospitality to Strangers-A Missiology of Theologia Crucis" 82 (82): 283-95, 1993

      45 Castles,Stephen, "Ethnicity and Globalization: From Migrant Worker to Transnational Citizen" Sage Publications 2000

      46 Gittins, Anthony J, "Beyond Hospitality? The Missionary Status and Role Revisited" 83 (83): 397-416, 1994

      47 Ferris,Elizabeth G, "Beyond Borders:Refugees,Migrants and Human Rights in the Post-Cold War Era" WCC Publications 1993

      48 CCA URM, "Asian Lobor:Migration from Poverty to Bondage" CCA URM 1990

      49 Kahl, Werner, "A Theological Perspective: The Common Missionary Vocation of Mainline and Migrant Churches" 91 (91): 2002

      50 Marti,Gerardo, "A Mosaic of Believers:Diversity and Innovation in a Multiethnic Church" Indiana University Press 2005

      51 WCC, "A Moment to Choose:Risking to be with uprooted People" WCC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5 1.35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0.96 1.006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