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운영의 일선에서 부하 직원들과 함께 실제 업무를 수행하며 그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는 일선 관리자의 리더십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해줄 수 있는 평가도구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26441
2012
-
325
학술저널
368-394(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운영의 일선에서 부하 직원들과 함께 실제 업무를 수행하며 그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는 일선 관리자의 리더십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해줄 수 있는 평가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운영의 일선에서 부하 직원들과 함께 실제 업무를 수행하며 그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는 일선 관리자의 리더십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해줄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육군의 초급 지휘관(자)을 대상으로 이들의 리더십 실태와 기존 연구 문헌들을 분석하여 리더십 평가 요인 및 평가 문항을 도출하였다. 평가의 범주는 크게 올바른 품성, 투철한 군인정신, 지적 역량, 리더십 발휘, 조직 개발, 그리고 임무 달성의 6가지로 분류하였다. 본 검사에 앞서 평가요소의 적정성 및 반응경향성을 판단하기 위해 전방 사단 1개 대대를 대상(n=203)으로 다면 평가를 통한 예비 검사를 실시하였고, 일부 항목들을 수정 및 추가하여 총 90개 문항으로 구성된 평가 설문지를 확정하였다. 이어서 전방 6개 사단 내 7개 대대를 대상(n=1,944)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편중성 검토 결과 과도하게 편중된 문항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내적 신뢰도 분석 결과 대인관계 기법 변수를 제외하고 모든 변수 및 요인들의 Cronbach's alpha 값이 .81 이상으로 내적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요인분석 결과와 전문가 토의를 거쳐 평가 요인을 확정하고, 총 82개 문항의 소·중대장 리더십 평가도구를 으로 개발하였다. 전방 사단 1개 대대를 대상으로 평가도구의 예측 타당도를 검증해본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평가 요인들과 리더십 효과성 지표들 간에 명확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