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충무공 이순신의 군사적 리더십을 분석, 현대 군 리더십에 적용시켜 지휘계통 상의 원활한 소통과 조직성과 달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56691
2018
-
300
KCI등재
학술저널
109-130(22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충무공 이순신의 군사적 리더십을 분석, 현대 군 리더십에 적용시켜 지휘계통 상의 원활한 소통과 조직성과 달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이 연구는 충무공 이순신의 군사적 리더십을 분석, 현대 군 리더십에 적용시켜 지휘계통 상의 원활한 소통과 조직성과 달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순신의 군사적 리더십 요소는 현재 한국군이 조직을 관리하고 전장에서 승리를 위한 군 지휘관의 리더십 적용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순신 장군의 리더십을 현대적 군사 리더십에 적용하여 군 지휘관들로 하여금 지휘계통상 원활한 소통, 냉철한 상황 인식과 합리적 의사결정, 부하에 대한 배려와 관심을 통한 조직 통솔, 적절한 전술과 전략 대비, 군법과 군율의 원칙 준수를 통한 기강 확립 등 리더십 형성과 발휘를 통해 승리하는 군대를 만드는 데 정책적 시사점과 함의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and apply the military leadership of Admiral Yi Sun-shin to modern military leadership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r smooth communication, coordination and achievement of the command system. Implementation of Yi s mi...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and apply the military leadership of Admiral Yi Sun-shin to modern military leadership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r smooth communication, coordination and achievement of the command system. Implementation of Yi s military leadership is important in the current management and application of military leadership to win in the battlefield. Admiral Yi s leadership can be used in modern military organizations to smoothly communicate, recognize the situation, decide rationally the best course of action, and manage the military command through consideration and interest in his subordinat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평, "흔들리는 마흔, 이순신을 만나다" 흐름출판부 2013
2 정경환, "한국사상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9-40, 2012
3 김진윤, "한국 사상의 원류와 그 정체성, 민족 사상" 한국 민족 사상회 2002
4 이은상, "충무공의 생애와 사상" 삼성문화재단 출판부 1975
5 허남성, "충무공 이순신의 리더십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21 (21): 147-176, 2005
6 유성룡, "징비록" 역사의 아침 출판부 2007
7 김설환, "전략적 리더십이 군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7
8 조성도, "임진장초" 연경문화사 출판부 1984
9 김헌식, "이순신의 일상에서 리더십을 읽다" 평민사 출판부 2009
10 이선호, "이순신의 리더십" 팔복원 출판부 2001
1 박종평, "흔들리는 마흔, 이순신을 만나다" 흐름출판부 2013
2 정경환, "한국사상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9-40, 2012
3 김진윤, "한국 사상의 원류와 그 정체성, 민족 사상" 한국 민족 사상회 2002
4 이은상, "충무공의 생애와 사상" 삼성문화재단 출판부 1975
5 허남성, "충무공 이순신의 리더십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21 (21): 147-176, 2005
6 유성룡, "징비록" 역사의 아침 출판부 2007
7 김설환, "전략적 리더십이 군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7
8 조성도, "임진장초" 연경문화사 출판부 1984
9 김헌식, "이순신의 일상에서 리더십을 읽다" 평민사 출판부 2009
10 이선호, "이순신의 리더십" 팔복원 출판부 2001
11 김종대, "이순신, 신은 이미 준비를 마치었나이다" 시루 출판부 2016
12 최해진, "이순신 장군의 전략적 리더십" 인적자원관리연구 출판부 2007
13 김성태, "이순신 장군의 인격: 성숙 인격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4
14 김흔정, "이순신 장군의 의사소통방법 연구 : 난중일기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5 유성은, "이순신 장군의 리더십" 평단문화사 출판부 2001
16 조신호, "이순신 리더십의 성격과 교육적가치" 대구카톨릭대학교 2015
17 오상택, "육군 조직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투상황과 평시상황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2
18 김헌식, "위인전이 숨기는 이순신이야기" 평민사 출판부 2004
19 김정운, "선조와 이순신의 리더십 특징이 군사작전에 미친 영향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20 최재후, "사도 바울과 이순신 장군 리더십 비교" 로고스경영연구소 2007
21 강문정,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5
22 강희정,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經營大學院 1999
23 박경준, "리더십이 군 조직의 사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2
24 김명섭, "리더십유형이 공무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8
25 최상호, "리더십 유형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전 및 IT 서비스 종사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2011
26 이순신, "난중일기" 민음사 출판부 2010
27 류수영, "군자적 리더십의 개념·측정·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28 이종인, "군리더십" 한국국방연구원 출판부 1999
29 최병순, "군 리더십" 북코리아 출판부 2011
30 장정호, "공자의 禮 개념의 형성과 그 교육적 함의" 교육사학연구 출판부 2010
31 이기동, "공자사상의 근본구조" 11 : 23-24, 1998
32 Hernandez, "Loci and Mechanisms of Leadership: Exploring a More Comprehensive View of Leadership Theory" 22 (22): 1165-1185, 2011
33 Dinh, Jessica E., "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 in the New Millennium : Current Theoretical Trends and Changing Perspectives" 25 (25): 36-62, 2014
개인 영역과 집단 영역에서의 종교적 힐링 : 케이닉(Harold Koenig)의 주장과 최자실 목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저작권 제한의 규정 체계 개선에 관한 소고 : 저작인격권에 대한 공정이용의 확대 적용을 중심으로
엘리아데의 종교적 관점으로 본 프로이트의 “문명 속의 불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9-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6-06-1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Institut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4 | 0.837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