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아청소년 체중상태에 따른 식사의 질 평가 및 비만과의 연관성 분석 = Assessment of Diet Quality by Weight Status and Its Association with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umer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quantifying dietary intake according to the weight statu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owever, studies on differences in quality among diets remain scarce. This study compared diet quality by weight status and exami...

      Numer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quantifying dietary intake according to the weight statu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owever, studies on differences in quality among diets remain scarce. This study compared diet quality by weight status and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quality of diet and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wo hundred fourteen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between 9 and 18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Normal weight n=104, Obesity n=110). The data related to food intake were investigated by dietary records,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and Nutrition Quotient (NQ) and then compared with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 (KDRIs). In DQI-I, moderation factor (control of unhealthy foods) score was 21.7 in the normal weight group and 19.5 in the obesity group. The normal weight group showed a higher score for moderation factor than the obesity group (P<0.001). Compared with KDRIs, vitamin B6, folate, vitamin C, vitamin E, calcium, potassium, and zinc intakes were insufficient in both group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QI-I moder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obesity (OR=0.77, 95% CI 0.69-0.87) after adjustment for age, gender, income, and total energy intake. Our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require nutritional education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vitamin and mineral consumption. Especially, educ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besity needs to emphasize moderation of nutrient intake that can cause diseases with hyper-ingestion such as sodium and high calorie-low nutrition foo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순남, "중등도 이상 비만아동의 영양소 섭취, 영양지식, 식습관 및 생활태도 조사" 대한영양사협회 17 (17): 349-363, 2011

      2 유옥경, "전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남·여 학생의 식습관 및 식행동,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665-672, 2007

      3 차연수, "전주지역 중학생의 성별 및 비만판정에 따른 식행동 비교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995-1009, 2007

      4 박정숙, "일부 비만 중학생의 대사증후군 유병율과 영양소 섭취 실태 연구 -전북 남원시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7 (17): 159-170, 2008

      5 이효정, "인천지역 일부 여중생의 비만도에 따른 섭식장애경향과 식습관의 비교"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9 (19): 157-169, 2008

      6 배윤정, "여자 청소년에서 식품군 점수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 및 비만 관련 신체계측치의 평가: 2007-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419-428, 2012

      7 부미나, "어린이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를 이용한 제주 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 상태 평가" 한국영양학회 48 (48): 335-343, 2015

      8 김혜영A, "어린이 영양지수 (NQ, Nutrition Quotient) 모형 개발과 구성타당도 평가" 한국영양학회 45 (45): 390-399, 2012

      9 강명희, "어린이 영양지수 (NQ, Nutrition Quotient) 개발을 위한 평가항목 선정" 한국영양학회 45 (45): 372-389, 2012

      10 이수정, "어린이 영양지수 (NQ)를 활용한 대구 지역 남녀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식생활과 영양 상태 평가" 한국영양학회 46 (46): 440-446, 2013

      1 최순남, "중등도 이상 비만아동의 영양소 섭취, 영양지식, 식습관 및 생활태도 조사" 대한영양사협회 17 (17): 349-363, 2011

      2 유옥경, "전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남·여 학생의 식습관 및 식행동,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665-672, 2007

      3 차연수, "전주지역 중학생의 성별 및 비만판정에 따른 식행동 비교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995-1009, 2007

      4 박정숙, "일부 비만 중학생의 대사증후군 유병율과 영양소 섭취 실태 연구 -전북 남원시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7 (17): 159-170, 2008

      5 이효정, "인천지역 일부 여중생의 비만도에 따른 섭식장애경향과 식습관의 비교"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9 (19): 157-169, 2008

      6 배윤정, "여자 청소년에서 식품군 점수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 및 비만 관련 신체계측치의 평가: 2007-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419-428, 2012

      7 부미나, "어린이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를 이용한 제주 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 상태 평가" 한국영양학회 48 (48): 335-343, 2015

      8 김혜영A, "어린이 영양지수 (NQ, Nutrition Quotient) 모형 개발과 구성타당도 평가" 한국영양학회 45 (45): 390-399, 2012

      9 강명희, "어린이 영양지수 (NQ, Nutrition Quotient) 개발을 위한 평가항목 선정" 한국영양학회 45 (45): 372-389, 2012

      10 이수정, "어린이 영양지수 (NQ)를 활용한 대구 지역 남녀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식생활과 영양 상태 평가" 한국영양학회 46 (46): 440-446, 2013

      11 정나영, "서울 일부지역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영양지식, 식태도와 식행동"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4 (14): 55-66, 2009

      12 강나리, "비만에 이환된 아동청소년에서 보이는 정신건강문제"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7 (27): 119-129, 2016

      13 왕수경, "대전지역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비만율과 식습관 및 영양 상태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6 (16): 631-642, 2007

      14 채명재, "경북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비만도에 따른 생화학 검사치와 식습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4 (14): 441-450, 2009

      15 유정선, "경북 농촌지역 어린이 대상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조사 및 평가" 한국영양학회 46 (46): 427-439, 2013

      16 Salerno-Kennedy R, "Vitamin B: New Research" Nova Science Publishers 39-56, 2008

      17 Combs Jr GF, "The vitamins: fundamental aspects in nutrition and health" Elsevier Science 630-, 2016

      18 Flynn A, "The role of dietary calcium in bone health" 62 (62): 851-858, 2003

      19 Kim S, "The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provides an effective tool for cross-national comparison of diet quality as illustrated by China and the United States" 133 (133): 3476-3484, 2003

      20 Ministry of Education, "Student Health Examination - Sample Investigation"

      21 Veugelers P,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diet, physical activity and overweight of Canadian children" 3 (3): 152-159, 2008

      2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3 Malik VS, "Intake of sugar- sweetened beverages and weight gain: a systematic review" 84 (84): 274-288, 2006

      24 Ma Y, "High salt intake: independent risk factor for obesity?" 66 (66): 843-849, 2015

      25 Tanner JM, "Growth and maturation during adolescence" 39 (39): 43-55, 1981

      26 Jeffery RW, "Epidemic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are fast foods and television viewing contributing?" 88 (88): 277-280, 1998

      27 Bowman SA, "Effects of fast-food consumption on energy intake and diet quality among children in a national household survey" 113 (113): 112-118, 2004

      28 Serdula MK, "Do obese children become obese adul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22 (22): 167-177, 1993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6

      30 Kaur L, "Association between BMI & eating pattern: study among adolescents" 5 (5): 38-44, 2009

      31 Ku PJ, "A surve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15 (15): 201-213, 2000

      32 Hong YJ, "A study on the relation of eating behavior and food intake to obesity index of adolescents" 14 (14): 535-554, 1999

      33 천세영, "2010년~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성인의 나트륨 섭취와 비만과의 관련성" 한국영양학회 50 (50): 64-73,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4-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대한영양사협회 -> 대한영양사협회 KCI등재후보
      2005-04-26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3 1.584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