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갑상선 우연종에서 초음파 유도하의 세포검사: 병리 소견과의 비교 = Ultrasonography-guided Fine Needle Aspirations of Thyroid Incidentaloma: Correlation with Pathologic Find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721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re are many reports that diagnostic accuracy of fine needle aspiration (FNA) of thyroid is improved with ultrasound guidance, especially for impalpable nodules. Despite its general acceptance, routine use of ultrasound 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USGFNA) has been the source of much controversy due to the lack of large-scale studies and lack of data on the natural course of well-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of small size. Method: The aim of our study was to define the rate of malignancy in relatively large numbers of patients with incidentally detected impalpable thyroid nodules and to assess the extent of disease in patients with suspicious or malignant cytology on USGFNA of thyroid nodules by surgery.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267 patients who underwent USGFNA of incidental thyroid nodules from January 2000 through December 2001. Results: Three hundred and seventeen nodules from 267 patients were aspirated. The average size of nodules was 0.9⁑0.3 cm, a range of 0.2 cm to 1.5 cm. All 317 lesions were impalpable. Cytological diagnosis included 101 inadequate specimen (32%), 139 benign (44%), 29 indeterminate (9%), 4 suspicious of follicular or Hrthle cell neoplasm (1%), 42 papillary carcinoma (13%), and 2 others. The size of the nodule was not related to the probability of getting an adequate specimen for cytological diagnosis. Forty of 48 patients with suspicious or malignant cytology underwent surgery. All 35 patients with a cytological diagnosis of papillary carcinoma were confirmed to have papillary carcinoma on histological results. One of 3 patients with a cytological diagnosis of follicular neoplasm had a follicular carcinoma. In 36 patients with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extrathyroidal extension was observed in 44% (16/36),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was found in 50% (18/36), and multifocal tumors were found in 39% (14/36). Conclusion: The rate of malignancy in incidentally detected impalpable thyroid nodules was 12% in retrospective analysis of our patients. Among those, 69% (25/36) of patients had either extrathyroidal extension or regional node involvement and 39% had multifocal tumors at surgery. This suggests that the small size itself could not guarantee a good prognosis in incidentally found thyroid cancers. USGFNA is a useful diagnostic method in those patients. (Korean J Endocrine Surg 2003;3:127-135)
      번역하기

      Purpose: There are many reports that diagnostic accuracy of fine needle aspiration (FNA) of thyroid is improved with ultrasound guidance, especially for impalpable nodules. Despite its general acceptance, routine use of ultrasound guided fine needle a...

      Purpose: There are many reports that diagnostic accuracy of fine needle aspiration (FNA) of thyroid is improved with ultrasound guidance, especially for impalpable nodules. Despite its general acceptance, routine use of ultrasound 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USGFNA) has been the source of much controversy due to the lack of large-scale studies and lack of data on the natural course of well-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of small size. Method: The aim of our study was to define the rate of malignancy in relatively large numbers of patients with incidentally detected impalpable thyroid nodules and to assess the extent of disease in patients with suspicious or malignant cytology on USGFNA of thyroid nodules by surgery.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267 patients who underwent USGFNA of incidental thyroid nodules from January 2000 through December 2001. Results: Three hundred and seventeen nodules from 267 patients were aspirated. The average size of nodules was 0.9⁑0.3 cm, a range of 0.2 cm to 1.5 cm. All 317 lesions were impalpable. Cytological diagnosis included 101 inadequate specimen (32%), 139 benign (44%), 29 indeterminate (9%), 4 suspicious of follicular or Hrthle cell neoplasm (1%), 42 papillary carcinoma (13%), and 2 others. The size of the nodule was not related to the probability of getting an adequate specimen for cytological diagnosis. Forty of 48 patients with suspicious or malignant cytology underwent surgery. All 35 patients with a cytological diagnosis of papillary carcinoma were confirmed to have papillary carcinoma on histological results. One of 3 patients with a cytological diagnosis of follicular neoplasm had a follicular carcinoma. In 36 patients with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extrathyroidal extension was observed in 44% (16/36),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was found in 50% (18/36), and multifocal tumors were found in 39% (14/36). Conclusion: The rate of malignancy in incidentally detected impalpable thyroid nodules was 12% in retrospective analysis of our patients. Among those, 69% (25/36) of patients had either extrathyroidal extension or regional node involvement and 39% had multifocal tumors at surgery. This suggests that the small size itself could not guarantee a good prognosis in incidentally found thyroid cancers. USGFNA is a useful diagnostic method in those patients. (Korean J Endocrine Surg 2003;3:127-135)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갑상선 결절의 세포검사시 초음파 유도는 진단적 정확도를 높혀주며 특히 촉진되지 않는 결절의 경우는 실제 검사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그러나 촉진되지 않는 작은 결절에서 실제 일상적으로 초음파 유도하에 세포검사를 할 필요가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며 이는 작은 크기의 갑상선암의 자연경과가 아직 분명하지 않는 것에도 원인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은 촉진되지 않는 갑상선 우연종에서 갑상선암의 빈도를 알아보고 이를 수술하여 병리학적인 병변의 범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초음파유도하에 세포검사를 받은 갑상선 우연종 환자 267명의 기록을 확인하였다. 결과: 267명에서 317개의 촉진되지 않는 결절을 대상으로 초음파 유도하에 세포검사를 시행하였다. 결절의 평균 크기는 0.9 cm이었고 0.2 cm에서 1.5 cm 사이의 크기였으며 모든 317개의 결절이 촉진되지 않았다. 세포검사 결과로는 139명(44%)에서 양성, 29명(9%)에서 중간형, 4명(1%)에서 여포성 종양, 41명(13%)에서 유두선암, 2명에서 기타의 악성종양의 소견이었고 101명(32%)은 검체가 적절하지 못하였다. 결절의 크기는 세포검사에서 적절한 검체를 얻는 것과 관계없었다. 악성으로 진단되거나 의심스러운 48명 중 40명에서 수술이 시행되었으며 세포검사상 유두선암으로 진단되었던 35명은 전원 유두선암으로 확진되었고 세포검사상 여포성 종양으로 진단되었던 3명중 1명에 여포선암을 가지고 있었다. 분화된 갑상선암 36명중 갑상선 피막외로 침윤을 보인 경우는 16명(44%), 국소 림프절 전이를 동반한 경우는 18명(50%) 다발성 병소를 지는 경우는 14명(39%)이었다. 결론: 저자들의 후향적 연구결과 촉진되지 않는 갑상선 우연종에서 악성의 빈도는 12%였다. 이중 69% (25/36)는 수술결 과 갑상선 피막외 침윤, 국소 림프절 전이 또는 다발성 병소 등의 소견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너발 병소의 크기가 작아도 우연히 발견된 갑상선암이 항상 좋은 예후를 보인다고 말하기 어렵게 한다. (Korean J Endocrine Surg 2003;3: 127-135)
      번역하기

      목적: 갑상선 결절의 세포검사시 초음파 유도는 진단적 정확도를 높혀주며 특히 촉진되지 않는 결절의 경우는 실제 검사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그러나 촉진되지 않는 작은 결절에...

      목적: 갑상선 결절의 세포검사시 초음파 유도는 진단적 정확도를 높혀주며 특히 촉진되지 않는 결절의 경우는 실제 검사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그러나 촉진되지 않는 작은 결절에서 실제 일상적으로 초음파 유도하에 세포검사를 할 필요가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며 이는 작은 크기의 갑상선암의 자연경과가 아직 분명하지 않는 것에도 원인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은 촉진되지 않는 갑상선 우연종에서 갑상선암의 빈도를 알아보고 이를 수술하여 병리학적인 병변의 범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초음파유도하에 세포검사를 받은 갑상선 우연종 환자 267명의 기록을 확인하였다. 결과: 267명에서 317개의 촉진되지 않는 결절을 대상으로 초음파 유도하에 세포검사를 시행하였다. 결절의 평균 크기는 0.9 cm이었고 0.2 cm에서 1.5 cm 사이의 크기였으며 모든 317개의 결절이 촉진되지 않았다. 세포검사 결과로는 139명(44%)에서 양성, 29명(9%)에서 중간형, 4명(1%)에서 여포성 종양, 41명(13%)에서 유두선암, 2명에서 기타의 악성종양의 소견이었고 101명(32%)은 검체가 적절하지 못하였다. 결절의 크기는 세포검사에서 적절한 검체를 얻는 것과 관계없었다. 악성으로 진단되거나 의심스러운 48명 중 40명에서 수술이 시행되었으며 세포검사상 유두선암으로 진단되었던 35명은 전원 유두선암으로 확진되었고 세포검사상 여포성 종양으로 진단되었던 3명중 1명에 여포선암을 가지고 있었다. 분화된 갑상선암 36명중 갑상선 피막외로 침윤을 보인 경우는 16명(44%), 국소 림프절 전이를 동반한 경우는 18명(50%) 다발성 병소를 지는 경우는 14명(39%)이었다. 결론: 저자들의 후향적 연구결과 촉진되지 않는 갑상선 우연종에서 악성의 빈도는 12%였다. 이중 69% (25/36)는 수술결 과 갑상선 피막외 침윤, 국소 림프절 전이 또는 다발성 병소 등의 소견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너발 병소의 크기가 작아도 우연히 발견된 갑상선암이 항상 좋은 예후를 보인다고 말하기 어렵게 한다. (Korean J Endocrine Surg 2003;3: 127-13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