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이 대학생의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수준을 알아보고, 그들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대학 오케스트라 동아리가 대학생에게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362288
서울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2019. 8
2019
한국어
서울
26 cm
지도교수: 김미숙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이 대학생의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수준을 알아보고, 그들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대학 오케스트라 동아리가 대학생에게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이 대학생의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수준을 알아보고, 그들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대학 오케스트라 동아리가 대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 소재 4년제 대학교의 7개 대학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을 하는 대학생 17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4.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의 수준은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관계형성(3.96)과 대인관계능력의 신뢰감 형성(4.15)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바이올린 단원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에서는 관계형성(t=1.843, p=0.069, p<.1)과 권리주장(t=2.055, p=0.043, p<.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자가 여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관계형성과 권리주장 점수를 보였으며, 이것은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을 하는 바이올린 단원 중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은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보였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전공에 따른 사회적 자기효능감에서는 권리주장(F=2.307, p=0.060, p<.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타 전공이 가장 높은 권리주장을 보였으며, 예체능이 가장 낮은 권리주장 점수를 나타냈다.
넷째, 악기군에 따른 대인관계능력에서는 관계자신감(F=3.500, p=0.009, p<.01)과 자기표현(F=2.779, p=0.029,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금관악기가 가장 높은 관계자신감과 자기표현을 나타냈고 타악기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오케스트라 동아리 활동을 하는 대학생 중에서 금관악기 연주자가 가장 높은 대인관계능력 수준을 보였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활동기간에 따른 대인관계능력에서는 관계자신감(t=2.080, p=0.039,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활동기간 2년 이상의 단원들이 2년 미만 활동한 경우보다 관계자신감이 낮았다.
여섯째,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의 상관관계는 모두 서로 관련이 있었으며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 중에서도 관계형성과 권리주장간의 상관계수(0.621)가 가장 높았으며 타인지향과 상호관리가 가장 낮은 상관관계(0.207)를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social self-efficiency and interpersonal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 in extracurricular musical orchestra activities, and thereby analyze the correlation to identify any potential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social self-efficiency and interpersonal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 in extracurricular musical orchestra activities, and thereby analyze the correlation to identify any potential influence. To achieve this purpose, 175 university orchestra members of 7 different universities around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were selected and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as run through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correlation analysis on the statistics software SPSS Ver. 24.0. The results are as followes.
Firstly, social self-efficiency’s ‘formation of relationships’ (3.96) and interpersonal skills’ ‘formation of trust’ (4.15) showed highest results as elements of social self-efficiency and interpersonal skills.
Secondly, out of the elements of social self-efficienc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nce was found between ‘formation of relationships’ (t=1.843, p=0.069, p<.1) and ‘claims of rights’ (t=2.055, p=0.043, p<.1) of violinist members. Male violinists recorded higher averages in ‘formation of relationships’ and ‘claims of rights’ compared to female violinists. Such finding indicates that among the violinists, male members had a higher sense of social self-efficiency than did the female members.
Thirdly, the level of ‘claims of rights’ (F=2.307, p=0.060, p<.1)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tudents’ academic major. Students with majors in ‘other’ category felt recorded highest level of ‘claims of rights’, and students with majors in the field of ‘arts and physical activities’ recorded the lowest.
Fourthly, there was a substantial difference in ‘confidence in relationships’ (F=3.500, p=0.009, p<.01) and ‘self-expression’ (F=2.779, p=0.029, p<.05) depending on the musical instrument of choice. Brass players recorded the highest in ‘confidence in relationships’ and ‘self-expression’, while percussion players recorded the lowest. This draws to a deduction that brass players have the highest level of interpersonal skills among university students who play in the extracurricular orchestra.
Fifthly, the level of ‘confidence in relationships’ (t=2.080, p=0.039, p<.05)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varying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the membership in the orchestra. Those who played for 2 years or more had lower ‘confidence in relationships’ than those who played for less than two years.
Finally, there were no notable correlations found between all factors of social self-efficiency and interpersonal skills, showing static correlation. Of the elements, ‘formation of relationships’ and ‘claims of right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dex(0.621), and ‘selflessness’ and ‘consideration of mutual benefit’ showed the lowest correlation index (0.207).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