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고대 국제 관계에서 불교의 역할을 다른 국가에서의 양상과 비교하고, 국제질서 속에서 그 필요성을 이해함으로써 한국 고대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1090
2018년
Korean
한국 고대 ; International relations ; Foreign relations ; Foreign negotiation ; International Order ; Buddhism ; Buddhist culture ; Confucian culture ; Tribute ; East Asia ; Universality ; Locality ; Uniqueness ; Buddhist texts ; wheel-turning sage king ; bodhisattva precepts ; d ; 국제관계 ; 대외관계사 ; 대외교섭 ; 국제질서 ; 불교 ; 불교문화권 ; 유교문화권 ; 조공 ; 책봉 ; 동아시아 ; 보편성 ; 지역성 ; 고유성 ; 글로컬리티 ; 전륜성왕轉輪聖王 ; 보살계菩薩戒 ; 보살계제자. 불서佛書 ; 만불산 ; 외교문서 ; 범망경 ; 돈황 사본 ; 사경寫經 ; 티벳 불교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고대 국제 관계에서 불교의 역할을 다른 국가에서의 양상과 비교하고, 국제질서 속에서 그 필요성을 이해함으로써 한국 고대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
본 연구는 한국 고대 국제 관계에서 불교의 역할을 다른 국가에서의 양상과 비교하고, 국제질서 속에서 그 필요성을 이해함으로써 한국 고대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현재 구상하고 있는 목차 순으로 간략히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Ⅰ장 서설에서는 한국고대사학계의 대외관계, 국제관계, 국제질서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본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유교문화권’과 ‘불교문화권’의 개념을 소개하고, ‘불교문화권’의 타당성에 대해 논해본다.
Ⅱ장 ‘삼국의 국제 질서로의 편입과 불교 전래’에서는 고대 국가 초기 불교 전래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한다.
1절 <조공-책봉 관계의 성립과 불교>에서는 조공-책봉 관계의 성립과 불교의 관계에 대해 다룬다. 고구려, 백제는 중국 대륙의 국가들과 조공-책봉 관계를 맺음과 동시에(때론 약간의 시간 차를 두고) 불교 승려나 불경, 불상 등을 수용하였다. 4세기 동아시아 국제 관계의 형성에 불교가 왜 필요하게 된 것일까? 그 배경과 과정에 대해 고찰한다.
2절 <불교 지식인의 외교 업무>에서는 국가 공인 출가 승려의 역할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 도승度僧의 절차를 이해함으로써 승려의 사회적 지위를 확인한다. 불교를 수용한 많은 국가들에서 승려들은 일반 관리의 사행에 동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자신이 ‘사신(외교관)’ ‘외교문서 작성’ 등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다른 국가의 사례와 비교하여, 삼국의 승려를 비롯한 불교 지식인들의 외교상의 업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Ⅲ장 ‘삼국의 국제 관계에서 불교적 수식의 필요성’에서는 국왕에게 ‘전륜성왕’ ‘보살계제자’ 등의 불교적 수식이 더해진 배경을 국제 관계 속에서 이해해보고자 한다.
1절 <전륜성왕의 보편성과 지역성>에서는 5세기에 ‘전륜성왕’ 인식이 유행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이후 전륜성왕 인식을 받아들인 아시아의 왕조들을 종합 정리한다. ‘전륜성왕’ 인식이 등장하는 이유를 대내적 요인뿐만 아니라 대외 교섭 속에서 고찰한다. ‘왕권강화’라는 상투적 해석, 그 이상의 역사상을 찾아보고자 한다.
2절 <국왕과 보살계>에서는 특히 중국, 일본과 다른 삼국의 특징을 부각시켜 보려 한다. 우선 보살계를 받은 동아시아 국왕들의 사례를 정리하고, 각 왕조에서 국왕의 보살계 수지가 지니는 의미에 대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소개하도록 하겠다. 다음의 삼국의 사례를 다루는데, ‘보살계’를 받은 삼국의 왕이 적은(혹은 없는) 이유가 무엇이고, 이 현상이 지니는 역사적 의미를 국제관계 속에서 풀어보고자 한다.
마지막 Ⅳ장 ‘신라의 국제 사회에서의 위상과 불교 문화’에서는 신라의 불교 관련 업적을 통해 신라의 국제 사회에서의 위상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1절 <신라 찬술 불서佛書의 범凡아시아적 유통>에서는 당唐은 물론, 일본・돈황・티벳 등지로 전해진 신라 찬술 불서들을 추적하고자 한다. 7세기 중반 이후 신라는 원효를 비롯한 고승들에 의해 수준 높은 불서를 창작하게 되었고, 이는 주변 나라들로 전해졌다. 8세기 사경 기록을 통해 일찍이 신라 불서들이 일본에 전해졌음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어떤 과정을 통해 일본에 전해졌는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신라 찬술 불서의 유통이 가능했던 국가적, 초국가적 시스템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2절 <당과의 교류와 만불산萬佛山의 정치외교적 의미>에서는 삼국유사에 나오는 만불산을 河上麻由子의 ‘불교적 조공(Buddhist Missionaries)’이라는 맥락에서 의미 부여하고, 이를 통해 8세기 중후반 신라의 당 중심의 국제관계를 설명해보고자 한다. 경덕왕이 당 대종代宗에게 보낸 만불산을 정치외교적 측면에서 의미 부여하고, 아울러 8세기 중후반 신라의 국제질서 및 불교계의 변화도 탐색한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주제로 한국 고대의 국제관계 및 국제질서를 조명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불교문화권’이라는 용어의 타당성을 검토해보도록 하겠다.
동아시아 불교사상 키워드
K-MOOC 동국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소 이수미동아시아 지식 네트워크 속의 유학과 불교
K-MOOC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허준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