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 머리말
- II. 고문서 디지털화의 의미와 과정
- 1. 디지털화의 의미
- 2. 고문서 디지털화의 과정
- III.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의 필요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해준, "호남지역의 고문서 정리ㆍ소장 현황과 그 성격" 13 : 1992
2 "호남기록문화시스템"
3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4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5 "한국사고문서데이타베이스"
6 강순애, "한국 고문서의 정리현황과 목록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한국서지학회 (26) : 51-84, 2003
7 "찢어진 ‘어진’ 들고 인사동으로?" 뉴스메이커
8 "지식정보자원관리법 제2조"
9 이명식, "디지털 정보에 의한 새로운 패러다임" 6-, 2002
10 "국학진흥사업내 고문서연구반"
1 이해준, "호남지역의 고문서 정리ㆍ소장 현황과 그 성격" 13 : 1992
2 "호남기록문화시스템"
3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4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5 "한국사고문서데이타베이스"
6 강순애, "한국 고문서의 정리현황과 목록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한국서지학회 (26) : 51-84, 2003
7 "찢어진 ‘어진’ 들고 인사동으로?" 뉴스메이커
8 "지식정보자원관리법 제2조"
9 이명식, "디지털 정보에 의한 새로운 패러다임" 6-, 2002
10 "국학진흥사업내 고문서연구반"
11 김헌식, "고문헌 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성균관대학교 고서/고문서 정보시스템-" 13 : 1997
12 전경목, "고문서 조사와 정리방법론" 9 : 2006
13 이병규, "고문서 전문연구인력 양성의 현황과 과제, In 전북지방 고문서의 연구현황과 과제" 신아출판사 2005
14 안상민, "고문서 웹서비스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2007
15 정보통신부, "2006년도 지식정보자원 지정계획" 2005
19세기말 조선에서의 淸商 활동 연구 - 1882~1894년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 | 0.4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3 | 1.181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