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
1. 고시라카와(後白河)법황의 입지
2. 고시라카와(後白河)법황과 헤이케(平家)의 대립 구도
3. 3종 신기의 의미와 그 환원에의 노력
4. 平家의 멸망과 왕권 부흥에의 시도
결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38369
2003
-
351
KCI등재
학술저널
23-41(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능동문과 수동문에서의 조사의 연속성에 대하여 - 동작주체를 나타내는 조사를 중심으로
고등학교 일본어교과 수행평가의 실제 및 활용방안에 대한 고찰
요쿄쿠(謠曲)의 여주인공과 달 - 『이즈쓰』(井筒)『기누타』(砧)의 경우
나가이 가후(永井荷風)의『냉소』(冷笑)론 - 공간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