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Factors Influencing Social Media Use in Local Gover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16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se of social media in government has expanded steadily around the world on the basis of Web 2.0 technology. The government uses social media as a tool for enhancing transparency, participation, collaboration, and saving costs. However, the use of social media in the public sector has not only been positive. It has also been described as a double-edged sword. Most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use social media for a variety of reasons but there has not been enough practical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social media use in the public sector. Local governments generally have positive views of their social media use but the real application of social media is not consistent in each local government. This study tried to determine the reality of social media use in local government and what factors influenced its use. The research analyzed the data from a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Local Informatio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KLID) in 2015 and data from Facebook in each local government. The results show that most local governments were using Facebook for promotional purposes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similarly recognized that they were using Facebook well. However, local governments showed great differences in their use and practical effect. Meanwhile, the study found that population, financial independence, level of government, the entity operating social media, the median age, and whether social media are used for interaction or to gather opinion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hat make a difference in utilization in local government.
      번역하기

      The use of social media in government has expanded steadily around the world on the basis of Web 2.0 technology. The government uses social media as a tool for enhancing transparency, participation, collaboration, and saving costs. However, the use of...

      The use of social media in government has expanded steadily around the world on the basis of Web 2.0 technology. The government uses social media as a tool for enhancing transparency, participation, collaboration, and saving costs. However, the use of social media in the public sector has not only been positive. It has also been described as a double-edged sword. Most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use social media for a variety of reasons but there has not been enough practical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social media use in the public sector. Local governments generally have positive views of their social media use but the real application of social media is not consistent in each local government. This study tried to determine the reality of social media use in local government and what factors influenced its use. The research analyzed the data from a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Local Informatio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KLID) in 2015 and data from Facebook in each local government. The results show that most local governments were using Facebook for promotional purposes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similarly recognized that they were using Facebook well. However, local governments showed great differences in their use and practical effect. Meanwhile, the study found that population, financial independence, level of government, the entity operating social media, the median age, and whether social media are used for interaction or to gather opinion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hat make a difference in utilization in local govern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기범, "한미 국방관련 정부조직의 소셜미디어 비교연구: 소셜미디어 성숙도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17 (17): 71-91, 2013

      2 최상한, "지방정부의 소셜미디어로 주민참여는 실현 가능한가?"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415-440, 2013

      3 서진완, "지방자치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 현황 분석과 의미" 한국행정학회 46 (46): 131-155, 2012

      4 남기범, "지방자치단체의 소셜미디어 정책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외국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15 (15): 79-102, 2011

      5 김민경, "정부기관의 SNS 활용 및 수용자 반응 분석: 청와대와 17부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9 (19): 1-37, 2015

      6 김종무, "전자정부 웹사이트(Website)의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행정학회 37 (37): 331-356, 2003

      7 김구, "자치단체장의 개인적 특성과 지역특성이 지방정부의 정보화인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정부학회 16 (16): 79-98, 2013

      8 진상기, "우리나라 웹 접근성 정책 영향요인 분석 -16개 광역자치단체 패널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 18 (18): 42-58, 2011

      9 김위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이용동기가 실제 이용과 메시지 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트위터’, ‘싸이월드’, ‘미투데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60 (60): 150-171, 2012

      10 임희경, "소셜 미디어의 이용행태 및 소셜 디바이드 현황 분석-소셜 미디어 접근과 이용 격차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0 (30): 143-164, 2014

      1 남기범, "한미 국방관련 정부조직의 소셜미디어 비교연구: 소셜미디어 성숙도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17 (17): 71-91, 2013

      2 최상한, "지방정부의 소셜미디어로 주민참여는 실현 가능한가?"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415-440, 2013

      3 서진완, "지방자치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 현황 분석과 의미" 한국행정학회 46 (46): 131-155, 2012

      4 남기범, "지방자치단체의 소셜미디어 정책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외국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15 (15): 79-102, 2011

      5 김민경, "정부기관의 SNS 활용 및 수용자 반응 분석: 청와대와 17부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9 (19): 1-37, 2015

      6 김종무, "전자정부 웹사이트(Website)의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행정학회 37 (37): 331-356, 2003

      7 김구, "자치단체장의 개인적 특성과 지역특성이 지방정부의 정보화인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정부학회 16 (16): 79-98, 2013

      8 진상기, "우리나라 웹 접근성 정책 영향요인 분석 -16개 광역자치단체 패널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 18 (18): 42-58, 2011

      9 김위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이용동기가 실제 이용과 메시지 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트위터’, ‘싸이월드’, ‘미투데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60 (60): 150-171, 2012

      10 임희경, "소셜 미디어의 이용행태 및 소셜 디바이드 현황 분석-소셜 미디어 접근과 이용 격차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0 (30): 143-164, 2014

      11 허진희, "소셜 미디어 활용에 따른 정부신뢰와 효능감의 변화: 대학생층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4 (24): 267-293, 2014

      12 윤정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 유사성과 서비스 선호도에 관한 포지셔닝 분석" 한국방송학회 26 (26): 416-457, 2012

      13 권오성, "민선지방자치제도의 실시가 시 정부의 재정분권화에 미치는 영향: 59개 시 정부를 중심으로 한 실증연구" 한국행정학회 38 (38): 137-154, 2004

      14 최정민, "관료의 정보공개행태 영향 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15 Ryu, H., "The Twitter Craze and the Evolution of Social Media" KT Economy Management Research Center 2009

      16 Bertot, J., "The Impact of Polices on Government Social Media Usage: Issues, Challenges, and Recommendations" 29 : 30-40, 2013

      17 Ellison, N.,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12 (12): 1143-1168, 2007

      18 Zavattro, S., "Social Media for Government: Theory and Practice" Routledge 2016

      19 KLID, "Social Media Use and Future Development Plan in Local Governments" Korea Local Information Rewearch &Development Institute 2015

      20 Reddick, C., "Social Media Sdoption at the American Grass Roots: Web 2.0 or 1.5" 30 : 498-507, 2013

      21 Utz, S.,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in MUDs: The Development of Friendships in Virtual Worlds" 1 (1): 2000

      22 Shin, S., "SNS Usage Status" 13 (13): 11-15, 2013

      23 Ferro, E., "Policy Making 2.0: from Theory to Practice" 30 (30): 359-368, 2013

      24 Tapscott, D., "Grown Up Digital: How the Net Generation Is Changing Your World" McGraw-Hill 2009

      25 Landsbergen, D., "Government as Part of the Revolution: Using Social Media to Achieve Public Goals" 8 (8): 135-147, 2010

      26 Criado, J., "Government Innovation through Social Media" 30 : 319-326, 2013

      27 Chun, S., "Government 2.0: Making Connections between Citizens, Data and Government" 15 (15): 1-9, 2010

      28 Mergel, I., "Gov 2.0 Revisited: Social Media Strategies in the Public Sector" 33 (33): 2010

      29 Linders, D., "From e-government to wegovernment: Defining a Typology for Citizen Coproduction in the Age of Social Media" 29 : 446-454, 2012

      30 Guillam´on, M., "Factors Influencing Social Media Use in Local Governments: The Case of Italy and Spain" 33 : 460-471, 2016

      31 Hrdinova, J., "Designing Social Media Policy for Government" 4 : 1-9, 2011

      32 Hilgers, D., "Citizensourcing:Applying the Concept of Open Innovation to the Public Sector" 4 (4): 67-88, 2010

      33 Han, S., "A Study on the Evaluation Model of Regional Informatization Policy" 3 (3): 1-19, 2000

      34 Mergel, I., "A Framework for Interpreting social media Interactions in the Public Sector" 30 : 327-334, 2013

      35 KISA, "2016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 한국정보화진흥원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Informatization Polic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전산원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KCI등재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정보화정책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5 1.55 1.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31 1.756 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