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터액티브 펜-입력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효과적인 특징점 추출법 = An Efficient Feature Point Detection for Interactive Pen-Input Display Ap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80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식 연구 분야에서 많은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들이 개발되었지만, 태블릿 PC나 LCD 태블릿과 같은 펜-입력 디스플레이를 위한 인터액티브 애플리케이션들은 기존과는 다른 요구사항을 가진다. 사용자 마다 다른 다양한 스케치 스타일의 대해서 세그멘테이션 및 특징점 추출을 그림을 그리는 동안 실시간에 안정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본 논문은 사용자로부터 자유로이 입력된 펜 입력을 분할(segmentation)하기 위해 필수적인 곡률(curvature)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국소적인 모양 정보(shape descriptors)만을 사용하므로 펜 입력동안 곧바로(on-the-fly) 곡률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알고리즘은 3차원 스케치 기반 모델링 애플리케이션에서 펜 마킹 인식을 위해서 사용되었다.
      번역하기

      인식 연구 분야에서 많은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들이 개발되었지만, 태블릿 PC나 LCD 태블릿과 같은 펜-입력 디스플레이를 위한 인터액티브 애플리케이션들은 기존과는 다른 요구사항을 가진...

      인식 연구 분야에서 많은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들이 개발되었지만, 태블릿 PC나 LCD 태블릿과 같은 펜-입력 디스플레이를 위한 인터액티브 애플리케이션들은 기존과는 다른 요구사항을 가진다. 사용자 마다 다른 다양한 스케치 스타일의 대해서 세그멘테이션 및 특징점 추출을 그림을 그리는 동안 실시간에 안정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본 논문은 사용자로부터 자유로이 입력된 펜 입력을 분할(segmentation)하기 위해 필수적인 곡률(curvature)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국소적인 모양 정보(shape descriptors)만을 사용하므로 펜 입력동안 곧바로(on-the-fly) 곡률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알고리즘은 3차원 스케치 기반 모델링 애플리케이션에서 펜 마킹 인식을 위해서 사용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ist many feature point detection algorithms that developed in pattern recognition research. However, interactive applications for the pen-input displays such as Tablet PCs and LCD tablets have set different goals; reliable segmentation for different drawing styles and real-time on-the-fly feature point detection. This paper presents a curvature estimation method crucial for segmenting freehand pen input. It considers only local shape descriptors, thus, performing a novel curvature estimation on-the-fly while drawing on a pen-input display. This has been used for pen marking recognition to build a 3D sketch-based modeling application.
      번역하기

      exist many feature point detection algorithms that developed in pattern recognition research. However, interactive applications for the pen-input displays such as Tablet PCs and LCD tablets have set different goals; reliable segmentation for different...

      exist many feature point detection algorithms that developed in pattern recognition research. However, interactive applications for the pen-input displays such as Tablet PCs and LCD tablets have set different goals; reliable segmentation for different drawing styles and real-time on-the-fly feature point detection. This paper presents a curvature estimation method crucial for segmenting freehand pen input. It considers only local shape descriptors, thus, performing a novel curvature estimation on-the-fly while drawing on a pen-input display. This has been used for pen marking recognition to build a 3D sketch-based modeling appli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Feature Point Detection and Curve Approximation for Early Processing of Free-Hand Sketches. PhD thesis EECS of UC Berkeley" 2001.

      2 "A theory of multiscale-based shape representation for planar curves" 1992-, 8

      3 "A curve bend function based method to characterize contour shapes" 1661-1671, 1997.

      1 "Feature Point Detection and Curve Approximation for Early Processing of Free-Hand Sketches. PhD thesis EECS of UC Berkeley" 2001.

      2 "A theory of multiscale-based shape representation for planar curves" 1992-, 8

      3 "A curve bend function based method to characterize contour shapes" 1661-1671,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4-09-01 평가 학술지 통합(기타)
      2013-04-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br>외국어명 : Journal of KIISE : Computer Systems and Theor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br>외국어명 : Journal of KISS : Computer Systems and Theory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