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HP를 이용한 웹 정보의 신뢰성 평가 모델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19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정보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척도 및 평가 모델의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온라인 정보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평가 영역 구분, 세부 평가 영역 및 평가 항목 도출, 평가 영역과 세부 요인의 계층적 분류 등의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아울러 전국적 단위의 일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의견을 AHP 기법에 적용하여 평가 영역별·요인별 웹사이트의 신뢰성 평가에 미친 가중치 산정 등의 작업이 진행되었다. 1차 지표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해 본 결과 진실성 요인의 중요도가 0.471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전문성 0.375, 안전성 0.154의 상대적 중요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온라인 정보원의 유형별로 보면, 포털과 카레, 블로그, 미니홈피, 토론방, 집단지성, 뉴스 사이트 등에 게시된 정보의 경우 진실성 요인이, 그리고 나머지 정보원의 경우 전문성 요인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토론방에 게시된 정보의 경우 다른 어떤 요인보다 진실성 요인의 중요도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차 지표의 경우 진실성 영역에서는 사이트의 명성이나 평판(0.416)보다는 콘텐트의 믿음성(0.584)의 가중치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성 영역에서는 유용성(0.499), 경쟁력(0.288), 시의성(0.213)의 순으로 나타나 유용성을 가장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안전성 영역에서는 사생활 보호의 보안성(0.487)보다는 기술적 시스템의 안정성(0.513)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3차 지표 중에는 ‘유명 사이트(0.0863)’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많은 조회 수(0.0556)’, ‘많은 댓글(0.0524)’, ‘평판 좋은 기관에 의해 운영(0.0451)’,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리뷰 제공(0.0445)’, ‘과거의 사용 경험(0.0409)’ 등과 같은 요인들이 뒤를 잇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정보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척도 및 평가 모델의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온라인 정보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평가 영역 구분, 세부 평가 영역 및 평가 ...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정보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척도 및 평가 모델의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온라인 정보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평가 영역 구분, 세부 평가 영역 및 평가 항목 도출, 평가 영역과 세부 요인의 계층적 분류 등의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아울러 전국적 단위의 일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의견을 AHP 기법에 적용하여 평가 영역별·요인별 웹사이트의 신뢰성 평가에 미친 가중치 산정 등의 작업이 진행되었다. 1차 지표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해 본 결과 진실성 요인의 중요도가 0.471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전문성 0.375, 안전성 0.154의 상대적 중요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온라인 정보원의 유형별로 보면, 포털과 카레, 블로그, 미니홈피, 토론방, 집단지성, 뉴스 사이트 등에 게시된 정보의 경우 진실성 요인이, 그리고 나머지 정보원의 경우 전문성 요인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토론방에 게시된 정보의 경우 다른 어떤 요인보다 진실성 요인의 중요도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차 지표의 경우 진실성 영역에서는 사이트의 명성이나 평판(0.416)보다는 콘텐트의 믿음성(0.584)의 가중치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성 영역에서는 유용성(0.499), 경쟁력(0.288), 시의성(0.213)의 순으로 나타나 유용성을 가장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안전성 영역에서는 사생활 보호의 보안성(0.487)보다는 기술적 시스템의 안정성(0.513)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3차 지표 중에는 ‘유명 사이트(0.0863)’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많은 조회 수(0.0556)’, ‘많은 댓글(0.0524)’, ‘평판 좋은 기관에 의해 운영(0.0451)’,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리뷰 제공(0.0445)’, ‘과거의 사용 경험(0.0409)’ 등과 같은 요인들이 뒤를 잇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ired to develop the web credibility evaluation model by calculating weighted values which presented on preceding researches using AHP. All parts of the country, 3,068 users are answered for this questionnaire.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i) importance analysis in first level factors: trustworthiness(0.471), expertness(0.375), safety(0.154), ii) importance analysis in second level factors: trustfulness(0.276), reputation(0.196), usefulness(0.187), timeliness(0.080), competency(0.108), security(0.075), reliability(0.079). iii) some of the importance analysis in third level factors: the site reputation(0.0863)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evaluate the web credibility, the next, inquiry(click) frequency(0.0556), replye frequency(0.0524), etc.
      번역하기

      This study tired to develop the web credibility evaluation model by calculating weighted values which presented on preceding researches using AHP. All parts of the country, 3,068 users are answered for this questionnaire.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

      This study tired to develop the web credibility evaluation model by calculating weighted values which presented on preceding researches using AHP. All parts of the country, 3,068 users are answered for this questionnaire.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i) importance analysis in first level factors: trustworthiness(0.471), expertness(0.375), safety(0.154), ii) importance analysis in second level factors: trustfulness(0.276), reputation(0.196), usefulness(0.187), timeliness(0.080), competency(0.108), security(0.075), reliability(0.079). iii) some of the importance analysis in third level factors: the site reputation(0.0863)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evaluate the web credibility, the next, inquiry(click) frequency(0.0556), replye frequency(0.0524), etc.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