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설계의 매개효과 = The influence of lifelong learning participatory motive of career-interrupted women on employabil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01680

      • 저자
      • 발행사항

        천안 : 백석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8 판사항(6)

      • DDC

        374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형태사항

        ix, 176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종표
        권말부록: 예비조사 설문지 등
        참고문헌: p. 132-153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백석대학교 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설계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로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일반 특성(인구 사회학적, 평생학습, 경력단절)에 따라 학습참여동기, 경력설계 및 고용가능성에 어떠한 수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경력단절여성의 학습참여동기가 경력설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셋째, 경력단절여성의 학습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넷째, 경력단절여성의 경력설계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다섯째, 경력단절여성의 경력설계는 학습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어떠한 매개효과(간접 효과, 직접 효과, 총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서울지역의 여성센터로 지역과 기관 특성을 고려하여 650명의 교육생을 조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조사 도구는 학습참여동기, 경력설계, 고용가능성, 일반 특성으로 구성된 설문지이고 선행연구에서 활용되었던 도구를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Amos 23.0과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첫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결혼여부, 연령, 학력, 가구 월평균 소득)은 학습참여동기, 경력설계, 고용가능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학습참여동기에서는 미혼보다 기혼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력단절 이유의 기타 사유는 난임 치료(22.3%)가 가장 높았으며, 권고 및 희망퇴직(13.3%), 적성이 맞지 않거나 비전이 없어서(10.0%)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단절여성의 학습참여동기가 경력설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경력계획과 행동계획의 상관계수(.732)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단절여성의 경력설계는 학습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학습참여동기가 경력설계를 통하여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간접 효과가 .423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하위요인인 경력계획은 학습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학습지향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가 이루어짐이 밝혀졌다. 변인별로 상관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고용가능성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변인은 고용가능성의 하위요인인 구직기술과 경력설계의 하위요인인 경력계획(상관계수 .553)으로 나타났으며, 경력계획이 고용가능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력계획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변인은 학습참여동기의 하위요인 중에서 학습지향(상관계수 .435)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지향 동기를 가진 사람은 학습 그 자체에 목적과 의미가 있어 사회적인 접촉을 통하여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기관, 단체,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학습에 참여하기 때문에 높은 학습지향 동기를 가진 사람이 경력계획을 잘 수립하게 된다. 이것이 고용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 경력단절여성의 학습참여동기의 하위요인들이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때 경력설계가 매개변인으로 완전매개가 이루어졌다. 즉, 경력설계가 매개변인으로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경력설계가 매개변인으로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력설계는 고용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여성센터는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설계 단계에서부터 학습자체를 경력설계와 연계하여 고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고려되어져야 함이 규명되었다.
      둘째, 학습참여동기의 하위요인중에서 학습지향동기가 높은 사람이 고용가능성을 높인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경력단절여성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이 설계되어져야 한다. 이것이 일자리 및 일자리의 질을 높여주는 기술의 향상과 연계되는 학습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학습참여동기 중 하위요인인 목표지향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도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목표지향이 높을수록 고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경력단절여성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달성을 위해서 경력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하여 여성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경력단절여성의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지향점을 보여주며, 또 다른 매개변인들에 의해 고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후속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설계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로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일반 특성(인구 사회학적, 평생학습, 경력단절)에 ...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설계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로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일반 특성(인구 사회학적, 평생학습, 경력단절)에 따라 학습참여동기, 경력설계 및 고용가능성에 어떠한 수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경력단절여성의 학습참여동기가 경력설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셋째, 경력단절여성의 학습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넷째, 경력단절여성의 경력설계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다섯째, 경력단절여성의 경력설계는 학습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어떠한 매개효과(간접 효과, 직접 효과, 총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서울지역의 여성센터로 지역과 기관 특성을 고려하여 650명의 교육생을 조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조사 도구는 학습참여동기, 경력설계, 고용가능성, 일반 특성으로 구성된 설문지이고 선행연구에서 활용되었던 도구를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Amos 23.0과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첫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결혼여부, 연령, 학력, 가구 월평균 소득)은 학습참여동기, 경력설계, 고용가능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학습참여동기에서는 미혼보다 기혼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력단절 이유의 기타 사유는 난임 치료(22.3%)가 가장 높았으며, 권고 및 희망퇴직(13.3%), 적성이 맞지 않거나 비전이 없어서(10.0%)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단절여성의 학습참여동기가 경력설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경력계획과 행동계획의 상관계수(.732)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단절여성의 경력설계는 학습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학습참여동기가 경력설계를 통하여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간접 효과가 .423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하위요인인 경력계획은 학습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학습지향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가 이루어짐이 밝혀졌다. 변인별로 상관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고용가능성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변인은 고용가능성의 하위요인인 구직기술과 경력설계의 하위요인인 경력계획(상관계수 .553)으로 나타났으며, 경력계획이 고용가능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력계획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변인은 학습참여동기의 하위요인 중에서 학습지향(상관계수 .435)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지향 동기를 가진 사람은 학습 그 자체에 목적과 의미가 있어 사회적인 접촉을 통하여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기관, 단체,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학습에 참여하기 때문에 높은 학습지향 동기를 가진 사람이 경력계획을 잘 수립하게 된다. 이것이 고용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 경력단절여성의 학습참여동기의 하위요인들이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때 경력설계가 매개변인으로 완전매개가 이루어졌다. 즉, 경력설계가 매개변인으로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경력설계가 매개변인으로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력설계는 고용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여성센터는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설계 단계에서부터 학습자체를 경력설계와 연계하여 고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고려되어져야 함이 규명되었다.
      둘째, 학습참여동기의 하위요인중에서 학습지향동기가 높은 사람이 고용가능성을 높인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경력단절여성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이 설계되어져야 한다. 이것이 일자리 및 일자리의 질을 높여주는 기술의 향상과 연계되는 학습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학습참여동기 중 하위요인인 목표지향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도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목표지향이 높을수록 고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경력단절여성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달성을 위해서 경력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하여 여성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경력단절여성의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지향점을 보여주며, 또 다른 매개변인들에 의해 고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후속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ⅶ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제2절 연구 문제 6
      • 국문초록 ⅶ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제2절 연구 문제 6
      • 제3절 용어의 정의 7
      • 제2장 이론적 배경 9
      • 제1절 경력단절여성 9
      • 1. 경력단절여성의 개념 9
      • 2. 경력단절여성과 평생학습 10
      • 3. 경력단절여성에 관한 선행연구 19
      • 제2절 학습참여동기 22
      • 1. 학습참여동기의 개념 22
      • 2. 학습참여동기의 구성요소 24
      • 3. 학습참여동기에 관한 선행연구 30
      • 제3절 경력설계 32
      • 1. 경력설계의 개념 32
      • 2. 경력설계의 구성요소 35
      • 3. 경력설계에 관한 선행연구 40
      • 제4절 고용가능성 43
      • 1. 고용가능성의 개념 43
      • 2. 고용가능성의 구성요소 47
      • 3. 고용가능성에 관한 선행연구 49
      • 제5절 학습참여동기, 고용가능성, 경력설계의 관계 51
      • 1. 학습참여동기와 고용가능성 관계 51
      • 2. 학습참여동기와 경력설계 관계 53
      • 3. 경력설계와 고용가능성 관계 55
      • 4. 학습참여동기, 고용가능성, 경력설계의 관계 57
      • 제3장 연구방법 59
      • 제1절 연구 모형 및 가설 59
      • 1. 연구의 개념적 틀 59
      • 2. 연구 모형 60
      • 3. 연구 가설 62
      • 제2절 연구방법 63
      • 1. 조사 방법 63
      • 2. 조사 도구 66
      • 3. 분석 방법 90
      • 제4장 연구결과 93
      • 제1절 연구대상자의 일반 특성 93
      • 제2절 분석 및 검증 96
      • 1. 집단 간 수준 차이 분석 96
      • 2. 상관관계 분석 103
      • 제3절 연구문제 검증 105
      • 1. 측정모형의 검증 105
      • 2.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109
      • 3. 연구변인 간의 매개효과 분석 113
      • 제4절 논의 115
      • 제5장 요약, 결론 및 제언 122
      • 제1절 요약 122
      • 제2절 결론 125
      • 제3절 제언 130
      • 참고문헌 132
      • ABSTRACT 154
      • [부 록] 1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