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화성 지질공원 제부도 지질명소의 지질교육적 가치 = Geo-educational Values of the Jebudo Geosite in the Hwaseong Geopark,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1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en geosites have been considered in Hwaseong for endorsement as national geoparks, including the Jebudo, Gojeongri Dinosaur Egg Fossils, and Ueumdo geosites. The Jebudo geosit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great p...

      Recently, ten geosites have been considered in Hwaseong for endorsement as national geoparks, including the Jebudo, Gojeongri Dinosaur Egg Fossils, and Ueumdo geosites. The Jebudo geosit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great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 new geoscience educational site because it has geological, geographical (landscape), and ecological significance. In this study, we described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field surveys in the Jebudo geosite. We evaluated its potential as a geo-education site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geosites in Hwaseong Geopark. In addition, we reviewed the practical effect of field education at geosites on the essential concepts and critical competence-oriented education emphasized in the current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e Jebudo Geosite is geologically diverse, with various metamorphic rocks belonging to the Precambrian Seosan Group, such as quartzite, schist, and phyllite. Various geological structures, such as clastic dikes, faults, joints, foliation, and schistosity have also been recorded. Moreover, coastal geological features have been observed, including depositional landforms (gravel and sand beaches, dunes, and mudflats), sedimentary structures (ripples), erosional landforms (sea cliffs, sea caves, and sea stacks), and sea parting. The Jebudo geosite has considerable value as a new geo-education site with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distinction from the Gojeongri Dinosaur Egg Fossils and Ueumdo geosites. The Jebudo geosite also has opportunities for geo-education and geo-tourism, such as mudflat experiences and infrastructures, such as coastal trails and viewing points. This geosite can help develop diverse geo-education programs that improve key competencies in the science curriculum, such as critical thinking, inquiry, and problem-solving. Furthermore, by conducting optimized geo-education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osite, the following can be established: (1) the expansion of learning space from school to geopark, (2)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of specific content elements and linkage between essential concepts, and (3) the extension of the education scope throughout the earth system. There will be positive impacts on communication,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skills through geopark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화성시의 국가지질공원 인증 추진을 위해 10개의 지질명소가 개발되었으며, 이 중에서 제부도 지질명소는다양한 지질·지형(경관)·생태유산이 분포하여 고정리, 우음도 지질명소와 함�...

      최근 화성시의 국가지질공원 인증 추진을 위해 10개의 지질명소가 개발되었으며, 이 중에서 제부도 지질명소는다양한 지질·지형(경관)·생태유산이 분포하여 고정리, 우음도 지질명소와 함께 수도권 남부의 새로운 지구과학 교육 장소로 개발 잠재성이 크다. 이번 연구에서는 화성지질공원 제부도 지질명소의 야외조사를 통해 지질유산의 특징을 기재하고, 화성지질공원 내 다른 지질명소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지질교육 명소로서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지질공원 및 지질명소에서의 현장교육이 현행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개념과 교과역량 중심 교육에실질적으로 미칠 수 있는 효과를 제부도 지질명소에 적용해 제시하였다. 제부도 지질명소에는 규암, 편암, 천매암 등다양한 변성암류가 분포하며, 쇄설성암맥, 석영맥, 단층, 절리, 엽리, 편리 등의 지질구조들도 함께 관찰되어 지질다양성이 풍부하다. 또한, 해안가를 따라서는 역빈과 사빈, 해안사구, 갯벌 등 해안 퇴적지형과 연흔 등의 퇴적구조가 발달하고 있으며, 해식절벽, 해식동굴, 시스택 등의 해안침식지형과 함께 바다갈라짐 등 다양한 해안지형을 관찰할 수 있다.
      제부도 지질명소는 기존에 현장교육에 활용되고 있는 화성지질공원의 고정리 공룡알화석산지 및 우음도 지질명소와 지질 및 지형학적으로 차별점을 가지므로 새로운 지질교육 현장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제부도 지질명소에는 갯벌체험장과 같은 지질교육 및 지질관광 연계 콘텐츠가 풍부하고, 해안산책로, 전망대와 같은 탐방인프라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다채로운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기대된다. 더 나아가 각 지질명소별 특성을 중심으로 최적화된 지질공원 교육을 수행함으로써 1) 학교에서 지질공원으로 학습 공간의 확장, 2) 구체적인 내용 요소의 이해도 향상과 핵심개념 사이의 연계, 3) 지구시스템 전반으로 교육 영역의 확대가 이루어질 수 있어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인 사고력, 탐구력,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질공원 교육의 주체로 참여하는 경험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및 참여와 평생학습능력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형성, "화성 지질공원 우음도 지질명소의 지질학적 가치와 지질교육에의 활용" 대한지질학회 57 (57): 257-273, 2021

      2 조형성, "화성 국가지질공원 후보지의 지질명소, 지질유산 그리고 지오트레일" 한국암석학회 28 (28): 195-215, 2019

      3 조형성, "충청권 지질유산의 분포와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 52 (52): 639-664, 2016

      4 권창우, "백악기 탄도분지의 퇴적환경과 분지발달" 대한지질학회 49 (49): 47-71, 2013

      5 기원서, "백악기 남양분지의 퇴적환경과 구조적 진화" 대한지질학회 42 (42): 329-351, 2006

      6 허민, "남한의 공룡알화석 산출 현황" 대한지질학회 42 (42): 523-547, 2006

      7 나준석, "경기육괴 북서부 영흥도-선재도-대부도에 분포하는 변성퇴적암 내 쇄설성 저어콘의 SHRIMP U-Pb 연대" 한국암석학회 21 (21): 31-45, 2012

      8 Lee, Y. N., "The preliminary research on the dinosaur eggs and nests found in the reclaimed area south to the Siwha Lake, Gyeonggi Province, Korea" 16 : 27-36, 2000

      9 Kee, W. -S., "Tectonic evolution of upper crustal units in the mid-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59-, 2009

      10 최범영, "Subdivision of the Upper Paleozoic Taean Formation in the Anmyeondo-Boryeong area, west Korea: a preliminary approach to the sedimentary organization and structural features" 한국지질과학협의회 12 (12): 373-384, 2008

      1 조형성, "화성 지질공원 우음도 지질명소의 지질학적 가치와 지질교육에의 활용" 대한지질학회 57 (57): 257-273, 2021

      2 조형성, "화성 국가지질공원 후보지의 지질명소, 지질유산 그리고 지오트레일" 한국암석학회 28 (28): 195-215, 2019

      3 조형성, "충청권 지질유산의 분포와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 52 (52): 639-664, 2016

      4 권창우, "백악기 탄도분지의 퇴적환경과 분지발달" 대한지질학회 49 (49): 47-71, 2013

      5 기원서, "백악기 남양분지의 퇴적환경과 구조적 진화" 대한지질학회 42 (42): 329-351, 2006

      6 허민, "남한의 공룡알화석 산출 현황" 대한지질학회 42 (42): 523-547, 2006

      7 나준석, "경기육괴 북서부 영흥도-선재도-대부도에 분포하는 변성퇴적암 내 쇄설성 저어콘의 SHRIMP U-Pb 연대" 한국암석학회 21 (21): 31-45, 2012

      8 Lee, Y. N., "The preliminary research on the dinosaur eggs and nests found in the reclaimed area south to the Siwha Lake, Gyeonggi Province, Korea" 16 : 27-36, 2000

      9 Kee, W. -S., "Tectonic evolution of upper crustal units in the mid-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59-, 2009

      10 최범영, "Subdivision of the Upper Paleozoic Taean Formation in the Anmyeondo-Boryeong area, west Korea: a preliminary approach to the sedimentary organization and structural features" 한국지질과학협의회 12 (12): 373-384, 2008

      11 Park, S. D.,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y of the Crust of Mid-west Korea : Analysis of Sedimentary Basins in the Namyang and Tando Areas, Kyeonggi Province, Korea" 21 : 563-582, 2000

      12 Oh, C. W., "Spinel granulite in Odesan area, South Korea : Tectonic implications for the collision between the North and South China blocks" 92 : 557-575, 2006

      13 Eyal, Y., "Sandstone dikes as evidence of localized transtension in a transpressive regime, Bir Zreir area, eastern Sinai" 7 (7): 1279-1289, 1988

      14 조문섭,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in metasandstones of the Taean Formation,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Tectonic implications" 한국지질과학협의회 14 (14): 99-109, 2010

      15 Oh, C. W., "Permo-Triassic and Paleoproterozoic metamorphism related to continental collision in Yangpyeong" Lithos 216-217, 2015

      16 McCalpin, J.P., "Paleoseismology, chap. 7" Academic Press, INC 331-396, 1996

      17 Cho, H., "Magnetic fabric(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constraints on emplacement mechanism of clastic dikes" 122 (122): 3306-3333, 2017

      18 "Korea National Geopark"

      19 Fernández Álvarez, R., "Geoparks and education : UNESCO Global Geopark Villuercas-Ibores-Jara as a case study in Spain" 10 (10): 27-, 2020

      20 Sohn, Y. K., "Geoheritage in Korea and its conservation, utilization and management plans" 50 : 1-2, 2014

      21 Oh, C. W., "First finding of eclogite facies metamorphic event in South Korea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Dabie-Sulu collision belt in China" 113 : 226-232, 2005

      22 Oh, I.S., "Explana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Suwon Sheet(1:50,000)"

      23 Park, N.Y., "Explana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Nam Yang Sheet (1:50,000)"

      24 Kim, S. W., "Early to Middle Paleozoic tectonometamorphic evolution of the Hongseong area, central western Korean Peninsula : Tectonic implications" 47 : 308-322, 2017

      25 Kim, H. S., "Development and timing of two orthogonal fold systems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44 : 83-97, 2021

      26 Kim, S. B, "Depositional facies, architecture and environments of the Sihwa Formation(Lower Cretaceous), mid-west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dinosaur eggs" 30 : 100-126, 2009

      27 이현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개념과 교과역량의 현장 적용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 및 학생의 인식" 교육과학연구소 22 (22): 1-23, 2020

      28 Ministry of Education, "2015 revised curriculum Science"

      29 Kim, H., "1:100,000 Tectonostratigraphic map of the Dangjin-Daesan area"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909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